원단이 쌓이고 있습니다.

돈 안 드는 취미는 없겠지만

바느질 하는 사람들은 압니다.

원단 사 모으는 취미가 얼마나 고질병인지.


또 원단 판매하는 사이트들마다 어쩜 그렇게 자주 새 원단을 선보이는지요.

자주 찾는 사이트는 평균 1주에 3번씩 새 원단을 선보입니다.

그리고 그때마다 클릭하려는 마음을 부여잡지요.

그래도 종종 실패하고 맙니다.


2년전에 질렀던 린넨 원단 10마는 아직 9마가 남았습니다.

방콕갔을 때 비명을 지르며 구입했던, 예쁜 코끼리들이 어지럽게 박혀있는 실크원단은 가위질 한 번 댄 적이 없어요.^^;

100주년 기념원단이라며 손을 부들부들 떨며 구입했던 빨강머리앤 원단도 대체로 많이 남은 편이고

(이 원단은 여전히 찾는 이들이 많아 구입가의 2배에 파는 건 일도 아니라는.. 문제는 절대로 팔고 싶지 않다는 것이지요. ^^;)

비좁은 원룸에 빼꼼한 구석이 없을 만큼 자꾸만 원단을 사다 나르는데

이제 그만해야겠다고 결심한 순간, 대폭 해지코튼원단이 올라오자마자 가슴 쿵쾅거리며 냅다 질렀습니다. --; 10마가 롤에 감겨 온 걸 본 순간, 또 그걸 지고 지하철에 오르면서 결심했어요.

3월 한달은 절대 원단 사지 말 것!!!!!(절대로 안 산다는 말을 절대로 할 수가 없는, 원단중독자의 한계랄까요?) 

하여튼 이번엔 기필코 이불을 만들어야 겠습니다.

작년엔 토토로 이불을 만들겠다 작심했으나 결국 실행에 옮기지 못했습니다. 

그러니 이번엔 그냥 심플하게 이불로. ^^


올겨울 따뜻하게 해줬던 극세사 이불은 곱게 빨아 장농속에 챙겨 넣고

진시장에 들러 이불솜을 사다 상큼한 기분 느낄 수 있게 해보렵니다.

이번엔 꼭 바쁘단 핑계 대신 이렇게 해보려구요.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rch 2012-03-13 09: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단중독자라니, 말의 어감에서 옷의 재료란 느낌이 들지 않고 뭔가 묘한 느낌이 들어요. 전 책이랑 머그컵 수집욕이 큰데요. 정말 꺅꺅거리다 사놓고 먼지만 쌓이고 있어요. 흑^^

rosa 2012-03-13 09:33   좋아요 0 | URL
바느질은 지난 몇 년간 질리지 않고 계속 하고 있는 취미인데요, 처음엔 옷을 만들기 시작했지만 이내 소품 만들기에 꽂혔고, 지금은 만들기보다 원단 사모으는 재미에 꽂힌 거 같아요. 언젠간 만들겠지 그러면서...... 퀼트 관련 까페에 가보면 방 가득 원단 사모으시는 분들이 계시지만 저야 뭐 새발의 피죠. 그래도 지금껏 사놓은 원단 가격은 장난 아니랍니다. ^^;;
책은 예전보다는 덜 사고 있는데, 사무실 도서관을 제가 관리하면서 읽고 싶은 책을 계속 볼 수 있으니까요.^^ 머그컵은 탐 납니다. 그치만 여기 원룸 찬장이 너무 좁아 지금보다 살림이 더 늘어나면 큰일납니다.^^;;
 

6월 1일~3일, 반핵을 주제로 

영화상영, 초청강연, 감독과의 대화(혹은 활동가와의 대화), 각종 체험 및 전시마당으로 구성됩니다.

세부 프로그램이 확정되는 대로 다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후쿠시마 사태 이후 탈핵을 기치로 전세계가 바뀌어가고 있는데

부산은 온갖 핵 문제의 집산지로 변해가고 있는 것 같아요.


노후화된 고리 원자력발전소를 옆에 끼고 있는 부산은

2011년말 녹산공단에서 방사능 누출 사고가 발생했고,

얼마전에는 허남식시장이 수출용 신형 원자로를 유치한다고 선언했답니다.


부산은 탈핵, 반핵이 아니라 친핵, 찬핵도시로 만들려는 계획일까요?

원자력이 안전하다는 신화가 붕괴되고 있는 이때,

부산은 한국에서 가장 불안한 도시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 서재에 들리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지난주에 지난 7개월 동안 작업한 내용을 정리하여 보고서도 만들고, 워크숍도 진행했습니다.

아직 부족한 점도 있지만, 초등학교 교과서의 문제점을 나름대로 정리한 것이라 스스로 보람과 책임감도 동시에 느끼고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이 계실 듯하여 간략히 정리하여 올립니다.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2009년 초등학교 1,2학년을 시작으로 2011년 초등학교 5,6학년까지 교과서가 모두 개정되었다. 개정 교과서의 특징 중 하나는 국제결혼한 이주여성, 다문화가정,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비중이 크게 높아졌다는 것이다.

다문화인권교육센터에서는 학교내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 첫 번째 사업으로 교과서 연구팀을 구성하여 초등학교 교과서를 검토하였다. 분석대상은 개정 교과서 가운데 3학년부터 6학년까지 국어, 사회, 도덕 과목이다.

▣ 요약 정리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시아 출신 이주민에 대한 부정적 묘사가 심각하며, 특히 이주여성과 그 자녀에 대한 편견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주여성 학부모들은 소극적이고 무능력한 사람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긍정적이고 밝은 이미지보다 외모가 다르고, 한국어가 서툴고, 놀림을 당하는 모습이 자주 등장한다.

둘째, 교과서에 등장하는 도서(대부분 문학작품이지만 일부 과학서적 포함)의 97.7%는 유럽과 미국의 작품들이며, 남성작가가 70.5%, 여 성작가가 29.5%를 차지한다.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작가의 작품은 한 편도 실려 있지 않다.

셋째, 사회 교과서의 사진과 삽화는 피부색에 대한 편견을 심어주고 있다. 긍정적 이미지의 사 진에는 백인들이, 부정적 이미지의 사진에는 흑인과 아시아인이 등장한다.

넷째,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절대 다수는 아시아인이지만, 교과서 속 외국인 관광객 사진과 삽화 22장 가운데 95.5%인 21장은 백인이며, 동남아인 사진은 1장에 불과하다.「2010년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연보」에 의하면, 아시아 지역 관광객이 전체 관광객의 85.2%를 차지하며, 북미 11.8%, 오세아니아 2.1%, 유럽 0.7% 순이다.

넷째, 생활의 길잡이 3학년 2학기 48쪽에는 기계를 다루는 이주노동자는 피부색이 검은 사람으로, 외국인 유학생은 백인으로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2010년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연보」에 의하 면, 한국에 유학 입국한 106,961명 가운데 아시아 출신 외국인 유학생은 98,825명으로 전체의 92.4%이다.

▣ 다문화 가정과 다문화 가정 자녀에 대한 편견을 만들어 내고, 피부색에 대한 편견을 심어주고 있는 초등학교 교과서는 반드시 개정되어야 한다. 다문화인권교육센터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 개정을 위한 활동을 계속할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양철나무꾼 2012-03-06 16: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토욜날 잘 들었습니다여~^^
너무 짧아 아쉽기는 했지만요.

어찌나 반갑던지요~
목소리가 생각보다 씩씩하셔서, 저도 내내 박수치며 응원하면서 들었습니다.
근데, 쫌 떠셨죠?(공중파의 위력인가요?)

rosa 2012-03-07 09:47   좋아요 0 | URL
앗, 들으셨군요!
저도 너무 짧아 아쉬웠습니다.^^;
1분 30초안에 할 말을 다 해야 하니까 어쩔 수 없이 긴장이 되더라구요.

목요일날 갑자기 섭외전화를 받아서 부랴부랴 원고 줄여서 준비했어요.
작가분께서 목소리 톤이 너무 무겁다며(내용이 비록 심각하긴 하지만) 조금은 밝게 대화하듯이 하라고 주문하셔서 약간 업~되게 녹음해야 했어요. 중간에 침도 꼴딱 삼키고.. 흐...

손석희아저씨가 제 이름을 불러주셔서 참 좋았습니다. 촌스럽지요? ^^;
 


국어 읽기 6학년 2학기 3단원 문제와 해결에는 '우리는 모두 형제이다'라는 제목으로 수잔 제퍼스의 '시애틀 추장(원제 : Brother Eagle, Sister Sky: A Message from Chief Seattle)이 실려 있다.


교과서 내용을 하나하나 검토하던 중, 인터넷에는 교과서에 실린 내용과 사뭇 다른 내용의 연설물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시애틀 추장과 관련한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하였다.


미국내에서는 시애틀 추장의 연설(혹은 편지)의 진위 여부를 놓고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며,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관하여 미국 국가기록문서소(U.S. National Archive & Recorded Administratives)의 직원인 Jerry L. Clark 현재까지는 시애틀 추장의 연설문 혹은 편지가 사실인지 확신해줄 수도 부인할 수도 없으며, 어느 행정기관에서도 진본이라고 내놓을 수 있는 텍스트를 갖고 있지 않다고 밝히고 있다. http://www.archives.gov/publications/prologue/1985/spring/chief-seattle.html 


John McCarthy 교수는 시애틀 추장의 연설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와 주장들을 개인 홈페이지에 정리해 놓았다. 그가 정리한 내용에 따르면, 시애틀 추장의 연설을 통역하고 32년후에 신문에 기고했던 Dr. Henry A. Smith의 능력조차 의심되는 상황이라고 한다. 즉, 그가 Washington 주(州)에 살고 있던 아메리칸 인디언인 두와미시족의 언어를 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지만, 그가 서부에 거주한지 겨우 1년 밖에 되지 않았고, 32년 후에 그가 신문에 기고한 글이 실제로 시애틀 추장의 말을 그대로 전한 것인지 그의 글인지 의심스럽다는 것이다. 그 밖에 여러 사람들에 의해 이 편지의 내용이 추가되고 윤색되었음을 보여하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http://www-formal.stanford.edu/jmc/progress/fake.html 을 참고하라.


한편, ‘시애틀 추장’을 쓴 수잔 제퍼스는 인터뷰에서 “기본적으로, 나는 시애틀 추장이 뭐라고 했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이러한 철학으로 살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이것이 진짜 중요한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Chief's Speech of 1854 Given New Meaning (and Words), By TIMOTHY EGAN, April 21, 1992, New York Times, http://www.nytimes.com


‘우리는 모두 형제이다’를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한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65쪽에서 시애틀 추장의 연설을 역사적 사실로 얘기하기 때문이다. 미국 내에서 진위에 대한 논란, 연설문 혹은 편지글에 대한 의혹이 분분한 상황임을 고려할 때, 조심스러울 필요가 있다. 

비록 이 책이 미국 내에서 많이 판매된 책일지라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