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철학이 서구 사상사의 근간을 이루고, 신화가 서구 문화에 끊임없는 상상력을 제공하듯이, 그리스 미술 또한 이후 2500여 년에 이르는 서양미술의 역사에 중요한 전례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그러한 수많은 예를 서양의 건축이나 조각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파르테논 신전으로 대표되는 그리스 신전은 열주 위에 가로의 보와 삼각형의 박공을 얹는 형태였습니다(도1). 이러한 신전 건축양식은 시대에 따라 건축의 기능이 끊임없이 변해왔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식 고층빌딩이 세워지기 이전까지 무수한 변화를 겪으며 지속되었습니다. 팔라디오가 지은 비센차의 16세기의 별장(도2)이나 18세기 유럽의 왕궁, 그리고 워싱턴의 백악관(도3)과 같은 19세기 미국의 공공건물에 이르기까지 열주와 삼각형의 팀파늄은 서양건축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였읍니다. 이러한 신전건축 양식은 근대기에 우리나라에도 전해져 덕수궁의 석조전과 같은 건물들이 세워집니다(도4).
|
 |
|
 |
 |
도1 익티누스 설계 <파르테논 신전 > |
기원전 448-432년, 동쪽, 대리석, 아테네 |
|
| |
|
|
 |
도2 팔라디오 <빌라 카프라 로톤다 > |
1567년 시작, 비센차, 이탈리아 |
 |
|
| | |
|
 |
 |
도3 백악관, 1800년 건축 후 소실 |
1814년 재건축, 미국 워싱턴 D.C |
|
| |
|
 |
 |
도4 덕수궁 석조전, 서울 |
|
|
| | |
 |
|
|
 | |
|
|
|
 |
그리스인이 이룩한 이상적인 사실주의는 인류가 역사를 통해 만들어낸 가장 완성된 아름다움이라 칭송 받아왔습니다. 그러나 아름다움이나 취향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각 시대와 지역의 여건에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본다면 고전적 아름다움 또한 기원전 5세기의 그리스 사회와의 관련 속에서 이해해야 할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이러한 대상물을 박물관이나 관광지에서 미술품으로 만나게 됩니다. 그러나 그리스 당시 대상들은 미술품이기 이전에 사회에서 구체적인 기능을 지닌 건물이며 조각이었습니다. 파르테논 신전의 원래 모습을 상상하여 그려놓은 아래 드로잉은 공공건물로서의 신전의 성격을 잘 보여줍니다(도8). 그리스 시대에 신전은 시민들이 모여 전쟁에서의 승리와 사회적 평안을 염원하던 장소였습니다. 또한 신전이나 광장에 장엄하게 세워졌던 조각상들은 그리스 사회의 갈등과 혼란을 해결하고자 신에게 올리는 봉헌물이었으며, 또한 통치자들의 정치이념을 전달하던 공공조각이었던 것입니다.
|
 |
|
|
|
 | |
|
자료 출처는 서양미술사 1 페이퍼에 나와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