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심야 플러스1 동서 미스터리 북스 27
개빈라이얼 지음, 김민영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드 멕베인의 <10+1> 과 제목이 비슷해서 혼동을 일으켰던 적이 있었다. 지명도에 비해 평가가 좋은 책이라는 사전 지식 정도로 읽기 시작했는데, 내용은 미리 예상했던 것과는 약간 달랐던 것 같다.

레지스탕스를 지원하던 영국 정보원 출신의 주인공은 전쟁이 끝났지만, 여전히 총을 놓지 못하고 있고, 전쟁 시절의 그늘에서도 벗어나지 못한 상태이다. 그리고, 그의 옛 전우들의 몇몇은 전쟁중에 죽지 않았다면, 여전히 그와 비슷한 일을 하고 있다. 이념이나 국가에 대한 충성, 신념으로 싸우던 이들이 이제는 돈에 의해 움직여야 하는 세상이 된 것이다.

주인공이 일을 맡으면서 의뢰인의 정당성과 결백함을 담보삼아야 하는 까닭은 이러한 변화된 세상에 던져진 자신의 현재 처지에 대한 연민이기도 하고,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고 위안하기 위한 최후의 보루이기도 하다. 그와 함께 고용된 동료 총잡이 허베이는 미국 정보국 출신의 엘리트임에도 불구하고, 킬러로써의 삶에 대한 고뇌로 알콜 중독이 된 사내이며, 레지스탕스였던 케인의 옛 연인은 역시 레지스탕스 였던 남편을 잃고 홀로 살아가고 있다. 일행이 잠시 쉬어가는 주인공의 옛 연인이 거주하는 오래된 성은 과거의 그늘 속에 뭍혀 살아가는 이같은 등장인물들을 위한 훌륭한 세트로 사용된다. 성안에서 루이스 케인은 잠시 20년전의 자신의 모습을 보았으리라.

심야 플러스 원은 단순 스릴러물로 읽어도 아주 훌륭하다고 할만큼 사실적 박진감을 놓치지 않고 있지만, 더더욱 이작품을 고전으로 만드는 것은 현실의 처절함을 더욱 돋보이게 만들면서도, 웬지 그들의 싸움이 낭만적으로 느껴지게 만드는 주인공과 그 주변인물들의 이러한 개인사들이 잘 엮여져 있기 때문이 아닐까.  일을 끝내고 돌아서는 주인공의 마지막 독백이 단지 폼잡는 주인공의 허세로 보이지 만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움직이는 표적 해문 세계추리걸작선 22
로스 맥도날드 지음, 이가형 옮김 / 해문출판사 / 2002년 3월
평점 :
품절


오랫동안 별러왔던 로스 맥도널드와의 첫만남.

어디선가 읽었던 서평에서도 언급했듯이 첫작품 <움직이는 표적>에서는 루 아처의 뚜렷한 개성이 드러나거나 로스 맥도널드 자신만의 독창적인 세계가 펼쳐지거나 하는 건 아니다. 루 아처는 아직 필립 말로와의 차별성을 크게 갖지도 못했고, 로스 맥도널드 자신도 챈들러의 그림자를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한 느낌이다.

막대한 부를 축적한 거부가 등장하고, 그의 비교적 젊은 아내와 이제 막 피어오르는 나이의 천방지축 딸도 어김없이 등장한다. 파격적인 신선함 보다는 선배 작가들에 의해 검증된 길로 출발한 셈인가.
많은 추리 작가들이 데뷔작, 혹은 데뷔 초창기에 빼어난 걸작들을 쏟아 낸것에 비하면, 로스 맥도널드는 꾸준히, 그리고 차근차근 자신의 작품 세계를 완성 시킨 것이 아닌가 예상해 본다. (달랑 첫 작품 하나 읽고 평가 하기엔 경솔하겠지만, 그래서 어디까지나 "예상"이다) 그리고, 그런 연유로 로스 맥도널드와 루 아처는 닮아 보이기도 한다. 천재성보다는 성실성으로, 냉소적이기 보다는 진지함으로, 차가움 보다는 온화함으로.

행방불명 사건의 의뢰를 받은 탐정은 이런 저런 경황으로 이것이 납치 사건임을 간파 하지만, 사건은 여러 우연한 요소들을 만나면서 뜻하지 않게 전개 된다. 하드보일드 탐정들이 흔히 그러하듯, 엄청난 고생끝에 아처는 사건을 해결하지만, 어찌 보면 이 사건을 맡아서 아처가 해결한 것은 아무것도 없어 보인다. 고생은 정말 엄청 했는데 말이다.

책을 읽는 내내 아처의 초인적인 체력에 감탄했다. 거의 삼일 밤낮을 잠도 안 자고, 미행하거나, 술 마시거나, 얻어 터지거나 한다. 삼십대 중반의 나이에!  탐정의 자질은 명석한 두뇌보다는 막강한 체력이라고 웅변하는 듯 하다. ("탐정은 힘!!!"~~ 이렇게.. )

영웅의 비범함을 벗어던진 가장 현실적인 탐정의 등장, 이것만으로도 <움직이는 표적>은 "거장의 위대한 첫 발자국"으로 부족함이 없을 듯 하다.

맥도널드라는 이름을 가진 일군(?)의 추리 작가들 중에서도 가장 뚜렷한 족적을 남긴, "하드 보일드의 삼위 일체" 중 한명으로 추앙 받는 "로스 맥도널드"와 그가 창조한 탐정 "루 아처". 앞으로 더욱 즐거운 만남이 있을 것 같아서 기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