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구의 삶, 사랑의 말 - 어른이 되고 싶지 않은 이들을 위하여
양효실 지음 / 현실문화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기전에 맥긴리의 사진은 도발, 청춘이 전부였다.

하지만 지금은 맥긴리의 사진을 통해 그 어떤 말보다 '자유'와 이를 표현해낸 그들에게 '사랑'이 있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내용은 전혀 우습지 않지만 제목만큼은 눈에 확들어오는 피에르 바야르의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이라는 책이 있다. 천 권도 아니고 이제는 만 권 정도는 읽어야 스펙으로서의 독서량을 인정받는 시대에 다분히 유혹적인 책제목이다. 하지만 이런 책을 읽지 않더라도 대략적으로 타이틀을 통해 그 내용이 짐작되는 책이 대부분이다. 당연한 소린데 굳이 언급하는 까닭은 양효실 교수 [불구의 삶, 사랑의 말]은 적어도 내게 있어서 만큼은 제목에서 짐작했던 내용과는 전혀 다르다기 보다는 조그만 구멍가게인 줄 알고 들어갔다가 창고형 마트안에 들어와 있음을 깨달은 수준이었다. 그것도 세계 최대 규모의 마트.


'불구의 삶'이란게 무엇인가. 사실 자주 접하는 기도문 내용중에 '정신적 불구'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 부분을 입에 올릴 때 마다 나이들어 신체도 완전치 못하지만 정신과 영혼 역시 불구인게 맞구나 싶을 때가 많았다. 저자는 비행청소년, 우울증환자, 예술가들의 삶들을 불구의 삶이라고 말한다. 그들의 삶은 평균, 평범, 보통이라 퉁치는 '사회성' 을 갖춘 사람들과 비하면 불구자가 맞다.


앞서 계속 이야기해 왔듯이 좋은 행동에는 개인의 존재와 욕망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그것은 사회를 위한 것이지 개인을 위한 것이 아니다. 56쪽


스스로 만들어낸 불구의 삶 뿐 아니라 사회 혹은 제도가 만들어준 '불구'의 삶도 피폐하기는 마찬가지다. 사회성을 갖추고 그 속에서 '성공'도 했지만 상대에 대한 배신감과 여자로서 벗어날 수 없는 억압이 정신적 불구의 삶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신체적 불구와 정신적 불구 중 그 어느 것이 더하나 덜하다 논할 가치도 없다. 둘 모두 '불구'인 삶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방법이 '사랑'밖에 없고 저자는 바로 그 사랑이 왜 필요한지, 왜 그것만이 치료약이 될 수 밖에 없는지를 이미 있었던 작품들 속에서 꺼내온다. 그 사랑의 표현은 물론 과격한 퍼포먼스가 될 수 있고 사회에 대한 거친 욕설이될 수도 있다. 표현의 방식의 제재가 필요한 것은 맞지만 그 근원이 결코 사랑의 반대말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사랑에 빠진 사람은 기적을 일으키고 기적을 보는 사람이다. 사랑은 눈을 멀게 하고 죽었던 몸을 일으킨다. 사랑은 어디든 갈 수 있고 어디서든 잠들 수 있게 한다. 248쪽


프롤로그에서 저자는 말한다. 명민한 독자라면 분명 책속에 등장하는 음반, 영화, 책들을 하나하나 찾아보게 될 것이라고. 명민해서가 아니라 나이 마흔이 다되어가는 데도 여전히 호기심천국의 뇌를 가진 나는 300페이지도 안되는 이 책을 읽는데 몇 주가 걸렸다. 이름만 대충 알았던, 타이틀곡만 알고 들었었던 앨범과 뮤비는 물론 언급한 시인들의 시집을 들춰보고 사진집을 들여다보고 보았던 영환데 내용이 제대로 기억나지 않아 러닝타임 2시간이 넘는 영화를 다시 봐야했기 때문이다. 덕분에 놓쳤던 놓칠뻔 한 내용들을 알게 되는 기쁨도 있었지만 그보다 더 큰 수익은 이제 그만 '어른'이 되어야 한다고, 쇠퇴되기 전에 우선 성장부터 해보자고 스스로를 괴롭혔던 내게서 벗어날 수 있게 된 것이다. 불구의 삶이면 어떠랴. 타인으로 부터 듣지 못하는 사랑이면 어떠랴. 내가 나를, 그리고 저자가 애써 찾아내준 '멋진불구'동료들이 있는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