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탄력성]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김주환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고 배운 점만큼이나 놀라운 점이 많았는데 그 중에서 가장 충격적인 것은 바로 나의 회복탄력성 지수였다. 한국인의 평균에도 미치지 못한 내가 얼마나 나약하고도 비관적으로 세상을 살고 있는지를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사실 평소에도 나는 소심하고 나약해서 정도가 지나칠 정도로 신중한 면이 있었다. 또 실패가 두려워서 감히 도전해보지 못한 일도 다반사이다. 그렇지만 다행스럽게도 늘 감사하는 마음으로 세상으로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여겼지만 이 점수도 그저 평균에 그쳤다. 암담했다.
또 한 가지 놀라운 사실은 낙천적인 사람은 선천적으로 낙천성을 타고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선천적으로 그렇지 못한 사람이라는 걸까. 한 가지 다행스러운 것은 비관적인 사람도 낙천성을 노력해서 습관화 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그 과정이 쉽지만은 않지만 한 번 낙천적으로 살아가는 것이 습관화되면 그야말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지름길이 될 수 있기에 노력해 볼 만하다. 요컨대 요즘 쏟아져 나오는 행복 관련 책들과 달리 이 책에서 제시하는 행복에 이르는 길은 쉽지만은 않지만 효과적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강점보다는 약점에 초점을 맞추고 약점을 강화하기 위해서 노력한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강점을 발견하고 이를 활용하면서 살아가면 더욱 행복하고도 기여하는 삶을 살 수 있다고 한다. 나의 세 가지 강점은 학습욕구와 감사 그리고 쾌활성이었다. 이 세 가지의 강점을 살리며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 있을까.
이 책이 우리나라에 긍정심리학이 보편화되는 데 일조할 수 있을거라고 믿는다. 이제 심리학은 병리학으로서의 목적이 아니라 좀 더 많은 사람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는 학문으로서의 역할이 더 커질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긍정심리학은 현대인들에게 꼭 필요한 학문이다. 막연하게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알맹이 없는 매뉴얼이 아니라 과학적이고 오랜 시간 동안 행한 실험이 밑바탕이 된 아주 탄탄하게 구성된 이 책을 많은 사람들에게 추천해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