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자평] 내 심장을 쏴라
-
-
내 심장을 쏴라 - 2009년 제5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09년 5월
평점 :
[7년의 밤]을 읽고 '아 이 작가 책을 모두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7년의 밤]을 읽고 난 작가 정유정을 알았고, [내 심장을 쏴라]를 읽었으며 그녀의 데뷔작인 [내 인생의 스프링캠프]를 읽었다. 발표 역순으로 작품을 읽어나간 셈이데, 그렇게 3권 정도 읽고 나니 정유정이라는 작가가 최소한 어떤 생각으로 글을 쓰는지는 알거 같았다.
작가의 책 중에 한 권을 골라달라고 한다면 한동안 소설을 못 읽어서 제대로 완독을 할 수 없다는 두려움이 있다면 [7년의 밤]을 - 완독 같은건 유도 아니다. 하루 정도 밤에 시작해서 새벽까지 읽으면 앉은 자리에서 다 읽어낼 수 있는 책이다 - 그래도 정유정의 책을 단 한권만 읽고 싶다면 [내 심장을 쏴라]를 추천해주고 싶다.
[내 심장을 쏴라]는 두 청년의 이야기이다. 책 어딘가에 쓰여있는 주인공의 말대로 '미쳐서 갇힌자와 갇힌채 미쳐가는자' 혹은 '바깥 세상으로 나가고 싶어하는 자와 나가고 싶어하지 않는자'의 이야기이다. 주인공 나는 공황장애를 가지고 있어 병원을 들락거리다 아버지 손에 또 한번 들어왔고, 승민은 가족의 유산 싸움에 휘말려 - 이 얼마나 진부한 설정인가 - 강제로 정신병원에 갇힌 신세이다. 이야기는 갇힌 병원에 입원한 후 생활에 적응 - 뭐가 적응인지 모르겠지만 - 해가는 나와 주변 인물들의 생활과 사건사고가 나열된다.
조금은 당연할지도 모르지만 소설 속 인물들은 하나같이 보통 사람과 큰 차이가 없다. '나'의 시선에서 그들을 그려냈기 때문인지도 모르지만 어느 헐리웃 영화가 그러하듯 모든 인물들은 소설을 읽고있는 독자와 큰 차이가 없다. 단지 조금 느릴 뿐이고, 단지 조금 다를 뿐이다. 작가의 의도인지는 모르겠으나, 독자인 나의 눈에는 흔히 정신병자라고 부르는 이들은 소설을 읽고 있는 나와 큰 차이점이 없다. 오히려 그들을 돌본다는 간호사나 의사 혹은 조무사 같은 이들이 더 비정상적인 장애를 가진 이들로 보일 뿐이다. 그래 마치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도가니]를 읽는 기분이었다고 하자. 실제 사례를 취재하면서 그 내부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에 대해서 썼을 테니 이야기들이 작가의 억측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런 곳이 부디 하나라도 더 적어졌으면 하는게 소설을 읽는 동안 내 한결같은 마음이었다.
아무튼 소설의 주인공 '나'는 결론적으로 승민과 탈출시도을 감행하게 된다. 중간중간 많은 사건이 있지만 이야기는 결국 이 이야기까지 도달하기 위한 중간 과정이다. 그토록 외부세상을 두려워해서 나가고 싶어하지 않는 '나'와 시간이 없음을 안타까워하며 끊임없이 바깥세상을 갈망하는 '승민'. 이 두 사람은 절대 함께 행동할 수 없는 인물이다. 그런데도 어느 순간부터 둘은 함께 행동하게 되는 것이다.
'나'는 승민을 보면서 밖으로 나가는 일이 나의 생각만큼 절망적이고 그틍스럽지는 않을 것이며, 설령 고통스러울지라도 가치가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토록 도망치고 싶었던 자신의 어린 시절에 감춰졌던 혹은 의도적으로 잊고 있었던 사건의 진실과 마주할 수 있는 용기를 승민에게서 본다. 또 승민은 그런 '나'를 보면서 나갈 수 있는 기회가 있지만 너를 두고 갈 수가 없었다는 말을 쿨하게 한다. 그런 순간이 있는거라고 무심하게. 아, 이 얼마나 완벽한 한쌍인가. 그토록 간절하게 무언가를 원하는 사람과 그 사람을 바라보며 용기를 얻는 사람.
사실 [내 심장을 쏴라] 속 이야기의 결말은 시작과 맞닿아있다. 이야기의 시작은 '나'가 외부 세상으로 복귀할 준비가 되었는지 심사를 하는 자리에서 '나'가 승민과의 이야기를 하는걸로 시작한다. 그 승민과의 이야기로 나는 자신이 밖으로 나갈 준비가 되었음을 조심스럽게 그리고 간절하게 고백한다. 그리고 마침내 '나'는 바깥 세상으로 나온다. 그토록 승민이 바라던 세상에서 그토록 보고 싶었던 세상에서 비로소 그 세상에서 살아갈 마음을 먹고 마주한 것이다.
운명이 내 삶을 침몰시킬 때, 나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저 고민에서 작가의 이번 이야기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사실 난 항상 되뇌이는 말인데, 운명은 '움직일 운'자에 '목숨 명'자를 쓴다. 요컨데 운명이 나를 휘두르지만, 나는 그 운명을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인거다. 운명이 내 삶을 침몰시킬 때, 운명과 맞설 것이가 아니면 운명과 함께 침몰할 것인가. 아니, 어쩌면 사람들이 보기에 승민의 삶은 운명에 침몰한 걸로 보일지도 모른다. 승민의 이야기를 그리고 그의 삶을 몰랐던 사람에게는. 하지만 이야기를, '나'의 이야기를 끝까지 들을 사람은 곰곰이 책을 덮으면서 고민을 하게 될거다. 과연 '나'의 삶은 그리고 '승민'의 삶은 침몰한 삶인가 아니면 운명에 맞선 삶인가. [내 심장을 쏴라]가 엄청나게 유쾌하고 즐겁지만은 않지만 속도감있게 읽어나갈 수 있고 마지막 장을 덮으면서 피식거리게 되는 소설이지만, 책을 덮고 뒤돌아서면 계속 이야기가 아니 승민이 계속해서 생각난다. 적어도 나는 그랬다.
데뷔작 [내 인생의 스프링캠프]는 소년, 소녀의 성장기에 가깝고, 최신작 [7년의 밤]은 괴적을 완전히 달리하는 소설이다. [7년의 밤]이 과연 작가의 대표작으로 남게 될지 아니면 [ 내 심장을 쏴라]가 대표작으로 남게 될지 모르게지만 작가가 삶에 대해서 새하얗게 날밤을 새며 고민하던 질문에 대한 답, 혹은 질문 그 자체는 [내 심장을 쏴라]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