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 속의 영화]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사유 속의 영화 - 영화 이론 선집 ㅣ 현대의 지성 136
이윤영 엮음.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1년 4월
평점 :
일시품절
언제쯤이었을까. 한때 나는 시간적으로 여유가 생기면, 아니 때로는 정말 없는 시간을 쪼개가면서라도 영화에 열광했었다. 물론 나 스스로 열광했었다,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내 생활패턴과 관심사를 지켜보던 누군가가 세상에 무척 관심이 많은 젊은이처럼 살아간다고 말을 했을때 그러한 기준의 근거로 내가 영화를 넘치도록 많이 본다는 것이라고 해서 그런가보다 했을뿐이었다.
영화에 대한 정보도 별로 없었는데 지금은 폐간된 영화잡지 키노를 읽으면서 수많은 영화의 겉모습이라도 살펴보던 때가 있었다. 미처 알지 못했던 수많은 이야기들이 담겨있는 영화에 대한 이야기가 넘쳐났지만 지방에 살고 있는 내게 볼 수 있는 영화의 폭은 넓지 않았다. 예술영화, 독립영화, 국제영화제 영화, 저패니메이션...
아니, 이렇게 말하고보니 내가 영화에 대해 꽤 뭔가 알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사실 나는 그냥 보여지는 대로 영화를 보며 즐기고 감탄할뿐이다. 가장 최근에 본 영화가 '써니'이며, 시간을 낼 수 없어 보지 못했지만 영화관에서 봐야지 하고 기다린 영화는 다른것이 아닌 바로 엑스맨 퍼스트 클래스인 평범하게 영화를 즐기는 사람일뿐인것이다.
그런 내게 '사유 속의 영화'는 내가 영화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라는 걸 깨닫게 해 주었다. 물론 그래서 고맙다는 얘기가 아니다. 대중문화예술로서 영화를 가볍게 즐기는 내게 이론과 사유의 칼날을 들이밀고 있으니 지레 겁을 먹고 경직되어 영화를 즐기지 못하고 경이의 눈으로 바라보다가 점점 더 멀어지게 할 뿐이라는 얘기다.
솔직히 대충, 반이상은 글자만 보는 수준으로 간혹가다 한두문장은 그 말뜻을 이해할듯 말듯 알아채기도 했지만 전체적으로 당췌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모르면서 책장을 넘긴 내가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 자체가 좀 모순이긴 하지만.
이 영화이론 선집이 무성영화의 시대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의 영화사에 대한 총체적인 연대별 논문이 담겨있으니 엄밀히 말하자면 나처럼 사유의 폭이 좁은데다가 영화와 인문학에 대한 사유가 깊지 않으면 이 글들을 이해하는 것이 쉬운건 아니지 않은가.
영화의 원리와 표의문자에 대한 글을 읽으면서부터 생각이 막히기 시작했다. 부끄럽지만 그것이 나의 현실이었다. 어려운 글도 자꾸 읽다보면 왠지 조금은 이해를 하게 되는 것 같더라는 누군가의 말을 되새겨보면서 자꾸만 꾸역꾸역 읽어봤다. 어려운 글은 여전히 어려울뿐이야,라는 생각뿐이었지만 어느 순간 논문 하나하나를 이해하기보다는 전체적인 영화의 변천사와 이 선집의 글들의 흐름을 살펴보려고 해 봤다. 무성영화로 시작해서 극적인 표현이 한장의 스틸컷처럼 강조되어 그 뜻이 전해지는 몽타주기법이라거나 자막으로 설명하는 것, 점차적으로 목소리가 함께 나오기 시작하고 카메라의 이동과 시선처리, 촬영기법의 변화에서 영화가 담고 있는 형식과 내용, 이데올로기, 기호학, 상징주의...이런 것들을 먼저 떠올리고 나니 왠지 조금은 처음보다 이 선집에 한걸음 다가선 느낌이 든다.
하지만 그건 역시 나의 느낌일뿐, 이 책을 다 읽고 난 후, '영화, 오로지 영화만이!'라고 외쳐대는 그 말에 담겨 있는 깊이가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다. 아직까지 영화는 내게 즐거움과 감동, 그렇게만 표현될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