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좌표 - 돈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생각의 주인으로 사는 법
홍세화 지음 / 한겨레출판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3년전인가 4년전인가 홍세화님의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기사"인가라는 제목의
책을 읽었던 기억이 나는데, 아니 그전일지도 모르겠다.
하여튼 오래간만에 나온 책이라 기대를 하고 읽었는데, 여기 실망시키지 않았다.
한편에서는(아마, 이전 386 민주(?)세력을 말하는 것 같다) 홍세화를 좌파 근본주의라고도
하는 모양인데, 내가 보기엔 홍세화 자신의 말대로 진정한 이시대의 휴머니스트인 것 같다.
배달호열사의 죽음에 故노무현 대통령이 " 지금같이 민주화된 시대…."란 말에 저자는
정말 분노를 느낀다.
그의 말대로 그는 인간의 자유와 존엄을 위해 싸우는게 아니라 , 모든 비인간적인것에
맞서기 위한 투쟁을 하는 것이다.
이시대가 정말 민주화가 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도무지 이해가 안 갈것이고
대학 도서관에서 토익공부하면서, 회사에서 자기계발 무지하면서, 부동산 이리저리
옮겨 다니면서 집값 튕기는 맛에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절대 이런 책은 사보지도 않겠지만 그래도 나는 홍세화와 한 시대를 같이 산다는 뿌듯한 마음이드는 그런 독서 였다. 

우리 아파트에서 한겨레신문을 보는 사람은 우리집밖에 없다,이전에 살던 곳에서도 마찬가지 였다.한겨레신문 배달 하시는 아저씨는 승용차를 타고와서 신문 1장 달랑 배달하고 간다.한겨레신문이 우파라고 욕먹는 그런 사회가 한국에서는 언제쯤 올런지...  

어쨌든 이책은 오랜시간 독서하지 않아도 이시대를 우리가 어떤 마음가짐과 어떤 생각을 가지고 살아가야 되는지 개우침을 주고 나자신이 왜 이렇게 사는지 다시한번 내 주위를 돌아 보게끔하는 감명 깊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러피언 드림 - 아메리칸 드림의 몰락과 세계의 미래
제레미 리프킨 지음, 이원기 옮김 / 민음사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표지에 자극적인 문구 "노무현 대통령이 서거 직전까지 손에 잡고 있던 책","지인들에게 선물하고 싶은책"에 이끌려 첫장을 열어보니 저자 제레미리프킨이 자신도 운동의 세대란 말에 뭔가 있겠다 싶어 구입한 책이다

저자는 유럽피언 드림이 아메리칸드림과 어떻게 다른지 유럽인과 미국인의 차이에서부터 하나식 비교해 나간다. 즉 아메리칸 드림은 철저히 개인적이기때문에 다른나라 사람들의 복리에 관심이 없으나, 유러피언드림은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성격을 띠기대문에 지구 전체의 복리를 더 중시하기 때문이다라고 한다.아메리칸드림이 경제성장,개인부,독립을 중시하는 반면 유러피언드림은 지속가능한 개발,삶의질,상호의존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여기서 작가는 아메리칸드림이 왜 그런가를 미국이 처음부터 그렇게 밖에 될 수 없었다는 미국의 역사적 배경을 설명한다, 즉,아직도 많은 미국인들이 자신들은 선택받은 사람들이고 미국이 약속받은 땅이라고 생각한다.그래서 지금까지 미국이 이룬 성공은 미국인들이 실제로 선택받은 증거라고도 생각한다.그들은 자신들의 신앙과 주님을 섬김 보답으로 하나님게서 가장 풍요롭고 가장 강력한 나라를 만들어 주셧다고 생각한다. 

어지보면,우리나라 교회도 미국인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하나님이 그렇게 해주셨다고 생각하는지 그렇게 해줄거라고 생각하는지 교세확장이며 너도나도 하늘로 올라가는 교회를 보면 아메리칸드림인지 코리언드림인지 ..... 

더욱 우스운건 미국인들이 영원한 낙관론자인것은 선민의식인데,미국인들은 개인으로서나 국민으로서 자신들이 위대한 업적을 남길 수밖에 없는 운명을 타고났다고 확신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인들의 이런 생각은 유럽인들에게는 아주 덜 떨어진 생각으로 치부되지만 그들의 생각은 너무나도 모든면에서 반대되기에 어쩔수가 없고 앞으로도 접점을 찾기란 힘들것 같다. 

이책에서의 저자는 유럽인들에게 아주 호의적이고 인간의 보편적인 모든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찬양한다.공감,인생을 즐기는법,환경에대한 생각,여유와 낭만,인류의 보편적 가치 추구등 거기서 개인적이며 자기밖에 모르는 아메리칸드림에서 향후 미래는 유러피언드림에서 해답을 찾고있다.그 일례로 EU에 대한 저자의 관점이 펼쳐진다.하나의 유럽으로 즉, 유럽합중국으로 발전할 가능성에대한 전망등 인류의 정치 모델이 될 수있는가에대한 기대를 펼쳐 본다. 

어덯게보면 우리 한국인들도 이책에서 설명한 미국인들의 성향과 거의 90% 동일하다고 보여진다.좀게으르고,낭만적이며 전원생활을하고 이타적인 봉사활동,시민운동,환경운동하는 사람들은 좌파로 몰아 붙이니(이게 유럽인들의 생활 방식이다) 미국보다 더하면 더했지 하는 생각이 든다. 

유러피언 드림을 롤 모델로 우리도 검토해야 할지 안할지 모르겠지만(아마 노대통령은 깊이 고민 하셨겠지만) 최소한 이때가지 우리가 가지고 있던 아메리칸드림은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때가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쇼크 독트린 - 자본주의 재앙의 도래
나오미 클라인 지음, 김소희 옮김 / 살림Biz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2010년 올 한해 첫번째 읽은 책이다.이전부터 읽을려고 하다가 계속 미루온 책인데 내킨김에 이번 연휴에 완독 했다. 

신자유주의의 대부 밀턴프리드먼의 민영화,정부규제완화--등 말그대로 순수한 자본주의의 실현하기위한 시카코학파들의 자본주의 실험들이 얼마나 많은 피해를 낳았는지 말 그대로 쇼크한 사실들에 정말 치가 떨릴 정도다. 

저자 나오미클라인의 풍부한 인터뷰 및 현장의 살아있는 정보들로서 쉽게 읽어 나갈수 있지만 분량이 600족에 달해 시간이 제법 걸린 셈이다. 

칠레의 피노체트가 누구인가.아옌데 정권을 쿠데타로 무참히 짓밟고 독재정권의 대명사인 그가 아닌가?나는 이 피노체트와 프리드먼의 관계를 보고 정말 이번에 처음 알았다.칠레,아르헨티나.러시아,중국,폴란드 ...그리고 1997년 IMF시데의 한국등 전셰계에 쇼크 독트린을 어떻게 실행에 옮겨 놓는가에대한 풍부한 이야기가 재미있고 흥미있게  펼쳐진다. 

현재 진행되는 이라크전쟁에서의 미국의 허울뿐인 재건,쓰나미가 쓸고간 동남부아시아에서의 재난자본주의 프로그램의 ,그리고 뉴우올리안즈의 재난자본주의의 실행과정도 계속 파악하고 있다. 

정말 미국이란 나라는 악의화신인가?손아귀에서 벗어나는 길은 없는가? 

작가는 쇼크독트린을 알고 대처하는 것만이 거기서 벗어날수있는 희망이 있다고 이야기 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1-03 22: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깐깐한 독서본능 - 책 읽기 고수 '파란여우'의 종횡무진 독서기
윤미화 지음 / 21세기북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란여우님의 책을 어제 끝냈다.엄청난 독서량에 놀랐다.1000권의 책을 읽었다니 깜짝 놀랬다.각분야별로 나누어 정리한 내용도 깔끔하게 정리 되어 있어 일관되게 다가온다. 

원래 일반 블로거들의 글은 그때그때의 감상에 젖어 중구난방인 면이 있어 조금 부담스러운 점이 많은데 처음부터 책장이 덮힐때까지 주관과 사변이 뚜렷하다. 

어쨌든 파란여우님의 두번째 저서가 나올수 있도록 정진을 바란다. 

책은 어떻냐고? 책은 사서 봐야 된다는게 나의 지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월의 이틀
장정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간만에 장정일이 소설을 냈다.공부에서인가에서 그렇고 이책에서도 그렇고 성인이 되면 소설을 읽지 마라고 자기가 말해놓고 왜 소설을 낸데? 

우익청년 성장기?괜찮은 우파 한번 만들어 볼려고 기획 했는가 모르겠는데(내가 비꼬는 투로 설정한 작가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 못해서 그런지 몰라도) 너무 허술하다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다. 

금과은 2명의 청춘을 주인공으로한 두명의 청년이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과, 어째서 은은 동성애자가 되면서 왜 우익이 됐는지 잘 모르겠다.은의 독서에대한 열정과 삶에대한 진지한태도는 절대 우파가 되지 않을것 같은데.. 

그리고 금의 여인 반고경이라는 20살이나 연상인 이여자와 금의 관계또한 너무 황당하다.그리고 이여자가 금의 친구 은을 데리고가서 하는 섹스는 역겹기가지 하다. 

한국소설은 몇번 계속 읽어보지만 뭔가 2% 부족한 느낌이다.조금 깊이가 떨어진다고 해야되나 모르겠지만 소재가 너무 단순하다.이념에대한 문제도 살짝 건드려야 소설이 되고, 이런 얘기 거리도 없으면 너무 시시하고... 

언제 한번 묵직한 한국소설 한번 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