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귀신>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처녀귀신 - 조선시대 여인의 한과 복수 ㅣ 키워드 한국문화 6
최기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처녀귀신을 통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시대상에 관한 고찰. 이것이 이 책의 주제다. 귀신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이라. 아마 이런 종류의 책으로는 이 책이 유일무이하지 않나 싶다. 이 책의 흥미롭고 남다른 접근에 호기심이 갔다.
초등학교 시절, 나도 꽤 '무서운 이야기'를 즐겼던 것 같다. '오싹 오싹 공포체험' 이라는 책과 3D 안경으로 귀신을 볼 수 있는 책들까지. 귀신이라는 미지의 것 그리고 그것이 주는 막연한 공포를 이야기라는 매체를 통해 안전하게(?) 짜릿함을 누렸던 기억이 있다. 그건 오늘날의 아이들 역시 다르지 않은 것 같다. 만 5세(7세) 정도가 되면 재미있는 이야기보다 무서운 이야기를 더 선호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예로부터 귀신의 존재에 관해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책을 한 번 살펴보자. 이 책은 우리나라의 귀신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 기문총화, 동패락송, 청구야담, 천예록, 양은천미 등의 고전에서 기담들을 가져와 소개하고 저자의 해석을 덧붙인 책이다. 그런데 이 책에 나오는 귀신 중에는 처녀귀신이 많고 그것도 자살귀가 많았다. 저자는 이것이 여자들의 낮은 신분과 말하지 못하는 억눌린 감정으로 인해서라고 본다. 그리고 오래전 귀신 이야기는 억울하게 죽은 여인이 사또나 마을 관리를 찾아가 누명을 풀어줄 것을 하소연하고 그것을 해결하게 되는 과정을 담은 이야기가 많단다. 이 역시 기문총화나 동패락송, 청구야담, 양은천미등을 보는 자들이 대다수 사대부고 이들에게 자긍심을 주기 위해(다시 말해, 이들의 입맛에 맞는) 귀신을 등장시키고 귀신의 억울함을 풀어줌으로 인해 그들의 영민함을 뽐냈다는 해석을 하고 있다. 이처럼 새로운 시각에서 귀신 이야기를 들여다봤고 해석했다는 점이 아주 놀랍다.
뿐만 아니라 옛날에는 여자들의 자살을 부추겼다는 해석도 하고 있다. 남편을 위해 대신 죽거나 남편이 죽으면 따라 죽는 등, 이러한 여자의 희생(?)에 열녀문을 내리고 가문의 영광으로 기리는 모습을 꼬집고 있다. 여자는 남자에 속한 하나의 종속물로 여겨지고 이런 여자들의 죽음은 당연하다고 생각해왔다는 것이다. 한 번도 생각한 적 없었지만 그럴듯한 해석이라고 생각한다.
또 여성이 자살로 죽으려 할 때 그녀들을 구원해주기 위해 등장하는 인물들의 비율을 분석해 놓았는데 초월적 존재가 33%, 배우자나 정혼자 21%, 기타(노인, 불확실) 23%, 양부모 및 유모 등 비혈연 가족 14%, 친족 6%, 시아버지 3%라고 한다. 이 역시 여성에게 낯선 남자로부터의 구원이 철저히 차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초월적 존재나 배우자, 노인 등 불확실한 존재로부터 구해지게 되는 것이 다른 남성과의 에로틱한 이성적 관계로의 진행을 완전히 배제하고자 했다는 분석이다. 정말 놀라운 분석이다.
또 이상하게 옛날의 귀신이야기는 하나같이 무섭지가 않았다. 지금의 공포영화나 TV에서 상영되는 납량특집과는 새삼 달랐다. 그리고 대다수 이야기의 주된 골자는 권선징악이다. 악행을 한 자는 죽은 영으로부터건 누군가로부터건 징계를 받는다는 것이다. 이 귀신 이야기는 어찌 보면 사람들을 계몽하고자 만들어낸 이야기일 수도 있을 것 같다.
이 책은 이처럼 귀신(그중에서도 처녀귀신)을 통해 당대의 시대상과 여성의 사회적 입지와 문화 색을 발견하여 보여주고 있다. 자칫 잘못하면 귀신이라는 비현실적인 존재로 그저 한담거리가 될 수도 있을 소재를 저자는 새로운 접근과 분석과 해석으로 한 권의 책이 되었다. 자살귀. 소복. 피 등.... 밤에 읽을 때는 왠지 오싹한 기분이 들기도 했으나 참 유익한 책이었다. 그리고 저자의 필력도 돋보였다. 이 책을 보며 다시 한 번 깨닫는 것이 역시 새로운 발견과 진지한 분석은 독창적인 결과를 낳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