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플라톤전집 4 - 국가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플라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플라톤의 <국가>는 매우 유명한 고전이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로 스승인 소크라테스가 신들을 믿지 못하게 하고 청년들을 교란시킨다하여 독배를 마시고 죽었다. 그의 죽음은 장엄하였으며 그의 평소의 신념에 따른 철학자 다운 죽음이였다. 그때 플라톤의 나이는 28세였고 그때 그는 충격을 받았다. 그는 평소에 스승 소크라테를 존경하였고 그래서 플라톤이 쓴 책에는 거의가 소크라테스가 등장한다. 소크라테스가 대화를 통해서 사람들에게 참된 진리를 깨우치게 한다는 것이 플라톤 철학에 흐르는 큰 방법론이다. 그는 소크라테스의 입을 통하여 결국 자신의 철학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그만큼 플라톤에게 그의 스승 소크라테스는 절대적인 인물이였고 그는 그를 따랐던 인물이였다. 따라서 이 책 <국가>에는 스승 소크라테스의 철학이 이상적인 것으로 묘사되고 후기로 갈수록 자신의 철학이 더 많이 묻어난다. 크게 나누면 이 채은 1,2권과 그 나머지권들로 나눌 수 있다. <국가>에는 오래동안 철학적 정치적 주제가 되어왔던 큰 주제들이 언급되고 있다. 무엇보다 이 책에는 ‘정의란 무엇인가?’, ‘이상 국가에서는 애 철학자가 통치자가 되어야 하는가?’, ‘모방적인 시는 왜 이상 국가에서 추방되어야 하는가?’ 등에 대한 물음과 답이 있다. 이러한 주제는 오랜세월이 흐르면서도 다양한 답변들이 시도되고 있어서 과연 서양철학은 플라톤의 각주라고 할만하다.

 

번역하신 분은 천병희 선생님이신데 이분은 그리스 고전에 대한 전문번역가로 이름이 높다. 또 그것을 전문적으로 출판하는 출판사 ‘숲’에서 출판된 것도 이 책의 번역에 대한 신뢰를 높인다. 번역자에 따르면 이 대화편의 그리스어 원제는 Politeria라고 한다. 그런데 이것이라틴어 Respublica로 번역되면서 그것이 으레 <국가>라고 변역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원래 의미는 ‘정체(政體)’에 더 가깝다고 한다. 아마도 물론 국가에 대한 통치이념과 통치자에 대한 기술들이 나오겠지만 그 범위가 국가라는 주제의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국가>는 원래 플라톤이 정계에 진출하려고 하는 젊은이들에게 철학을 가르치기 위해 아카데미아를 설립한 지 얼마 안 되어 쓴 것으로 추정한다. 그후로 플라톤의 <국가>는 이상국가에 대한 이론적 원조가 되어서 서양의 철학에 매우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형이상학, 정치철학, 윤리학 등 거의 모든 철학분야에 심대한 영향력을 끼쳤으며 지금도 그 원류를 흘러보내주고 있다.

 

플라톤은 통치자는 철학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말은 현대에 와서는 그 설득력이 많이 떨어지지만 그당시 그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통치자의 모습은 바로 철학자의 모습이였다. 오늘날 사회가 복잡해지고 그에 따른 통치이념과 기술도 복잡해 지면서 국가 통차자의 모습은 단순한 이상적인 관념의 문제가 아니라 실질적인 통치기술적 문제로 바뀌면서 플라톤이 말한 통치자로써의 철학자의 이론은 조금 그 빛을 바랬다고 할수 있다. 그렇다면 플라톤은 왜 이상적인 국가에서 통치자로서 철학자가 중요하다고 말했는가? 플라톤은 통치자는 온순하면서도 격정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했고, 그리고 지혜를 사랑해야한다고 믿었다. 즉 통치자는 어떤 것을 기술적으로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전체를 볼수 있는 능력, 즉 지혜가 있어야 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지혜를 사랑하고 그것을 탐구하는 사람이 바로 철학자인 것이다. 그래서 플라톤에게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통치자는 지혜를 구하는 철학자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통치자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일까? 플라톤은 이에 대해 말하기를 “국가는 어느 한부분만을 행복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계층을 행복하게 해야 한다”고 말하면서 국가 구성원 전체를 행복하게 해주는 사람이 곧 통치자라고 말하고 그것이 통치자의 역할이라고 말한다. 플라톤은 모든 국가 구성원이 행복하지 않은 이유를 국가의 타락에서 찾았다. 즉 구성원의 ‘부와 빈곤’의 차이가 상대적인 박탈을 느껴서 행복하지 않게 느낀다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 상당히 현대적인 생각을 느낄수 있다. 현대인들도 중산층이지만 상대적으로 자신들은 중산층이 아니라 빈곤층이라고 느낀다. 그것은 자신의 소유를 부유층과 비교하고 그에서 오는 상대적인 빈곤이 그들을 스스로 빈곤층이라고 느끼게 한다. 아마도 플라톤 시대에도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는 요인이 물질적인 부분이 가장 컸나보다. 이러한 상대적인 빈곤은 국가의 타락을 가져오고 그것은 전체적으로 국가의 약화를 동반한다.

 

플라톤은 이상적은 국가를 위해서는 통치자가 지혜가 있어야 하는 철학자가 되어야 된다고 말하고, 또 이상적은 이데아적 국가를 위해서는 남녀평등의 이념이 이루어져야한다고 말한다. 현실정치인이 아니라 철학자의 견해라서 그런지 다소 이상주의적은 냄새가 많이 난다. 시를 모방으로 생각하여 이데아가 아닌 그림자는 추방해야 한다는 부분은 철학자의 사변적인 비현실적 견해가 분명히 한계를 보이며 드러나는 부분이다.

 

무엇보다 플라톤의 <국가>를 읽어야할 가장 중요한 이유는 아마도 정의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며 그것이 바람직한 국가론에 모델을 보여주고 현대국가가 국가론에 대한 정의를 내릴때 중요한 통찰을 주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개인이나 사회가 고유한 기능을 잘 발휘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의라고 보았다. 자질이 있더라고 그것을 발휘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되지 않으면 그것은 정의로운 사회라고 할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론의 정립은 정의와의 관계를 어떻게 성립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플라톤은 이 책 <국가>를 통해서 이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주고 있다.

 

* 이 리뷰는 알라딘 신간평가단에서 제공받아 쓴 리뷰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림모노로그 2013-04-22 09: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지금 이제 읽기 시작하였는데 방대한 분량이라서 시간이 좀 걸릴 것 같습니다 ㅎㅎ
리뷰 보니 얼릉 읽고 싶네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