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사회학자가되어]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어쩌다 사회학자가 되어 - 피터 버거의 지적 모험담
피터 L. 버거 지음, 노상미 옮김 / 책세상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글로벌 트래킹 사회학자, 피터 버거의 일생에 걸친 사회학 여행기

 

『어쩌다 사회학자가 되어- 피터 버거의 지적 모험담』은 현존하는 사회학자 중 가장 영향력 있는 학자로 꼽히는 피터 버거의 지적인 농담을 들을 수 있는 책이다. 사회학자로 팔순을 넘긴 세계적인 사회학자가 자신의 사회학 이론과 종교사회학, 지식사회학, 현상학적 사회학에서 남긴 궤적을 회고하는 자서전이다. 『사회학에의 초대』로 피터 버거를 만났던 독자는 자신의 청춘의 한 지점을 되돌아보는 약간의 감상도 곁들이게 되는 책이다.

 

거의 한 세기를 인간과 사회에 대한 성찰로 보낸 팔순 노학자가 삶의 뒤안길에서 쏟아내는 이야기는 탐험가의 기록과 별로 다르지 않다. 인간은 누구도 ‘관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객관성을 담보하는 일은 자신의 삶의 과정을 지우는 일인지도 모른다. 피터 버거는 당파성을 부정하지 않고, 때로는 과하다 싶을 정도로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게 펼쳐간다.

 

사회학가 되는 ‘우연의 과정’에서부터, 세상을 사회학적으로 바라보는 일에서 느꼈던 흥분을 낱낱이 보여준다.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어메리칸이 된 피터 버거는 루터파 사제가 되려고 했다. 그 과정에서 막 이주한 미국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 사회학을 배우게 되었다. 우연하게 시작된 사회학과의 만남은 평생에 걸친 학자의 길로 이어졌다.

 

우연히, 실수로 사회학자가 되었다는 것은 유쾌한 농담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은 마지막 페이지의 장난감 전차 에피소드를 보면 알 수 있다. 어렸을 때 부모님이 선물해준 전차 장난감에서 피터 버거가 느낀 호기심은 기차가 레일을 달린다는 사실이 아니라, 그 안에 타고 있을 승객들이었다는 점이다. 승객들과 대화를 나누는 소년은 사회학자가 되어야 할 운명을 타고났다는 확신을 갖게 하는 사례 발표다.

 

피터 버거는 사회학자로서 심심할 겨를 없이 인간이 모여 살며 만드는 현상을 연구해왔다. 반대로 대다수의 사람이 사회학을 지루한 학문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정량적 연구만을 중시하는 실증주의와 이데올로기 구호로 선동의 역할에만 치중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두 가지 질병과도 같은 사회학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그가 선택한 연구 방법이 바로 ‘사회학적 관광’이다. 세계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경험한 사례를 분석의 기초로 삼았다.

 

그가 매력적인 이유는 강단 사회학자로 머물지 않았기 때문이다. 글로벌 트레킹 사회학자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게 세계 여기저기를 돌아다녔다. 그는 자신의 사회학적 방법론인 ‘사회학적 관광’으로 온 세계를 탐험했다. 여행지의 풍경이 아니라, 자전적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사회학적 통찰을 제공한다. 또한 커피를 앞에 두고 대화하고, 모임을 만들고, 연구를 하고, 프로젝트를 사용하여 ‘커피 하우스’라는 방법론을 선택하였다. 이 두 가지 방법으로 그가 내린 결론 언저리에서 얻은 답은 “이 사회는 인간이 만든 세계이므로 우연적이며 유동적이다.”는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먼 존재는 ‘자기 자신’이라는 말이 있다. 어떤 행위가 일어나기 전의 ‘의도’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이고, 방어기제가 늘 작동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자서전은 자기 변명과 옹호로 일관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피터 버거 또한 예외가 아니다. 근본주의와 근대 계몽주의를 끝까지 고수하고, 종교와 사회학의 접점을 찾기 위해서 ‘방법론적 무신론’을 채택하는 버거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 아무리 진보적인 경제학자도 가장 보수적인 사회학자보다 덜 진보적이라는 입장을 견지하는 나의 관점에서 볼 때, 피터 버거는 지나치게 보수적인 근본주의자다. 그가 하버드신학대학원생과 런던정치경제대 학생들과 갈등을 겪는 부분을 읽으면서, 진보와 보수 사이의 긴장 보다는 보수 꼴통의 그림자가 드리워진다.

 

그럼에도 이 책의 최고의 미덕은 독자가 느끼게 될 적당한 심리적 무게감이다. 유머가 곳곳에 녹아 있으나 경박하지 않고, 사회학 이론과 만나는 과정이 의미 있게 기록되었으나 지나치게 학구적이지 않다. 그가 사회학을 정의하는 방식 또한 신선하고 명쾌하다. “사회학은 인간 세상의 거대한 파노라마에 변함없이 끌리는 사람,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궁금해 죽겠는 사람, 그래서 필요하다면 열쇠 구멍이라도 들여다보고 남의 편지라도 훔쳐보는 사람에게 매우 적합한 학문이다.” 타인의 삶에 대한 관심, 나와 만나는 관계성에 대한 성찰적 사유 없이 사회학은 존재할 수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도둑 2012-07-30 15: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무엇보다 피터 버거가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한 점이나 시도들을 높이 샀어요.
어깨에 힘을 빼고 좀저 가까이 유머스러하게 다가섰다는 점이죠. 타인의 삶에 대한 관심, 나와 만나는 관계성에 대한 성찰적 사유 없이 사회학은 존재할 수 없다는 마지막 문장에 빚대어 보자면 피터 버거는 어느 정도 접근하지 않았나 싶어요.

무척 덥네요..어떻게 지내고 계세요?,,저는 숲으로 떠나고 싶어요.. 바다 가까이 살고는 있지만 바닷가 나갔다가는 쪄 죽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마구마구 밀려오네요.
저는 본디 숲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계곡물에 탁족이나 하면서 지내고 싶어요..
맴맴맴...아 급 행복해지네요...^^

더불어숲 2012-08-04 14: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회학자가가 보수적이기는...너무도 힘든 일인데, 피터 버거 안의 종교의 힘일까요?
그가 가지고 있는 근본주의가 사회학을 공부하는 학생들과 갈등을 겪었던 것은 필연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종교가 사라진 도처에서 종교가 되어 있는 것...
판단 중지 상태에서... 많은 생각들이 오갔던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