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꽃도 맛이 있었어요 풀꽃 시리즈 2
이상권 지음, 김미정 그림 / 현암사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남자 아이가 자기 몸만한 샐러드볼을 끌어 안아요. 한 손가락으로 이것저것 가리키며 뭐라 말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여러 꽃과 풀이 담긴 그릇을 소중하게 감싸지요. 

진달래에 둘러싸인  강아지와 오른쪽의 누나는 아이를 웃으며 바라봅니다.  저 멀리 소년보다 어린 남자 아이 한 명, 반대편에 밀집모자를 쓴 아주머니가 있네요. 아주머니 바구니의 옥수수가 먹음직스럽습니다. 까마중 열매도 벌도 무당벌레도 모두 아이를 보며 웃고 있어요. 

아마 <풀꽃도 맛이 있었어요>라고 이야기하는 건 고수머리 이 남자 아이겠지요. 그러다 문득, 저 샐러드볼의 채소들이 무얼까 궁금해집니다.





풀꽃도 맛이 있었어요

<풀꽃도 맛이 있었어요>는 시리즈로 되어 있어요. 첫번째 책인 <풀꽃과 친구가 되었어요>에서 산과 들에 피어난 풀꽃과 이름을 주고 받았다면 이번 책에서는 풀꽃들을 직접 먹어봅니다. 마치 과자처럼요. 예전에는 산과 들에 자라난 꽃과 열매를 간식처럼 먹었다는데, 어른인 저도 그런 경험은 참 드물었어요. 기껏해야 아까시나무 꽃을 따먹거나 사루비아 꽃의 꿀을 빨아먹는 정도였어요. 그래서 이 책, 더욱 궁금했답니다. 어떻게, 풀꽃들을 먹을 수 있는지를요.





아이의 일기장

오늘은 한식이다. 엄마, 아빠랑 동생 동수랑 할아버지, 할머니 산소에 성묘 갔다, 로 시작하는 이 이야기는 주인공 남자 아이의 일기장인 듯 합니다. 아이의 아버지는 어릴적 이야기를 하면서 진달래꽃으로 화전을 만듭니다. 그렇게 아빠와 함께 시작한 풀꽃 체험은 점점 아이와 아이 주변의 인물들과 함께 하게 됩니다. 아빠와 칡을 캐러 가기도 하고 유채순을 따서 먹기도 합니다. 산에 동굴을 파기도 합니다. 이웃집 선혜 누나와 찔레순도 따 먹고 옥수수대도 씹습니다. 친구와 싸우기도 하지만 풀꽃으로 화해하고 동굴도 초대하며 친구가 됩니다. 아이는 이런 일상들을 아이의 말로 적어내려갑니다. 




풀꽃 지킴이, 엄마

아이는 풀꽃을 좋아하고 자주 먹지만, 그게 전부입니다. 오히려 풀꽃을 지켜가고 공부하는 것은 베트남에서 온 아이의 엄마입니다. 엄마는 식물도감을 보며 동네 주민들께 물어보며 풀꽃을 공부하고, 마당에 풀꽃을 심습니다. 풀꽃들로 맛있는 음식을 해서 주변분들에게 대접도 합니다. 풀꽃의 가치를 알고 지켜가는 사람은 다름아닌 엄마이지요. 그런데 왜 다른 나라에서 왔다고 하였을까요? 

그건 아마 풀꽃을 지켜가는 이가 드물다는 반증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요즘에는 먹을 것이 넘쳐나는 세상입니다. 게다가 환경 오염이니 농약이니해서 길거리 민들레도 먹기 두렵고요. 게다가 풀꽃을 어떻게 먹어야하는지 알려주는 사람도 없습니다. 예전에는 아버지 어머니 농사일 따라 다니며 이것저것 풀꽃도 먹어보고 그랬을테지만, 또 할머니 할아버지가 다래도 오디도 따다 주셨겠지만, 이제는 마트에 가서 사면 됩니다. 아이들은 마트의 것이 더 깨끗하고 힘들지 않고 더 맛있는데 굳이 풀꽃을 먹진 않지요. 엄마아빠도 풀꽃을 모르니 알려주지도 못하고요. 

그렇게 우리의 풀꽃은 점점 사라져 갑니다. 

우리에게는 베트남 엄마가 없는 걸까요? 아니면 우리가 해야할 일을 누군가에게 떠밀고 있는 걸까요?





우리의 풀꽃들

고백컨데, 저는 어릴적부터 시골에 살았습니다. 시골의 정의가 뭔지 잘 모르겠지만, 옛날부터 살던 동네는 강원도 **군이니 시골이 맞겠지요. 밭도 논도 많은 곳이니까요. 그런데도 이 책에는 정말 새로운 것들이 많았습니다. 달달 외워서 아이에게 자랑하고 뻐기고 싶을 정도로 재미있는 풀꽃 이야기들이 많았어요. 목화다래, 싱아, 옥수숫대, 마름...... 나중에 아이랑 산책할 때 이건 이렇다 하면서 알려주면 얼마나 대단해보일까요. 헤헤.

늘 보는 옥수수지만, 옥수숫대 먹는 건 처음 알았어요. 정말 제자신이 시골에서 30년 넘게 산게 맞는지 의문이 들정도에요. 몸만 시골에 있었지 생활은 도시아이들 같았나봐요. 너무, 아쉽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어요. 나도 어릴적에 이렇게 알려주는 사람, 책이 있었다면, 하는 생각이 들어요. 그럼 저도 아마 동굴을 팠을지도 몰라요. 동굴 안에서 싱아를 넣은 샐러드를 먹고 있었을지도요.

책을 다시 한 번 더 읽어야겠어요. 달콤한 목화다래의 맛을 상상하면서 말이에요. 구할 수 있을지 알아봐야겠어요. 

여러분은, 어떤 풀꽃 드시고 싶으신가요? 풀가의 괭이밥부터 시작해보는건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극곰 서재에서 진행중인 <아빠와 그림책 여행> 서평단 모집


http://blog.aladin.co.kr/bookgoodcome/7038289



내가 가장 좋아하는 그림책은 <100만년 산 고양이>이다.

백만년이나 살고, 많은 사람에게 사랑을 받았음에도 행복하지 않았던 고양이가

진정으로 사랑하는 이를 만나 삶을 어떻게 살아야하는가에 대해

전해주는 이야기이다. 몇 번을 읽어도 늘 가슴에 남는 책이다.


<아빠와 그림책 여행> 책을 통해서 

아빠의 감성이 추천하는 그림책은 어떤 것인지,

그것은 엄마와 다른 것인지,

아이와 함께 행복할 수 있는 아빠와의 책 읽기에 대해 알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 월드컵 대표팀의 목표가 8강이더라구요;; 헉;; 사실 피파 랭킹으로만 보면, 우리나라는 꼴찌에서 두번째이지요. 음..... 16강은 현실적으로 좀 무리일 듯 하고요, 브라질 관광이라기보단 브라질에서 세계축구의 벽을 느끼고 돌아 올 것 같습니다. ^^;; 지더라도 멋진 경기를 기대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달님의 모자 - 2015 아침독서신문 선정, 2014 동원 책꾸러기 바람그림책 22
다카기 상고 글, 구로이 켄 그림, 최윤영 옮김 / 천개의바람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2개월인 아이가 밤이 되면 늘 하는 말이 있다. "달" 달 보러 가자는 거다. 낮에도 하늘을 올려다 보며 달님을 찾는 아이는 해보다도 별보다도 달을 좋아한다. 그래서 달에 관한 책이 보이면 우리 아기 생각에 언제나 고르게 된다. 그런 달 책들을 아이는 다른 어떤 책보다도 더 좋아한다.


이번에 서평단으로 만나게 된 "달님의 모자"도 아이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는 책이다. 표지 가득 보이는 달님은 어른인 내가 보아도 따뜻하고 포근한 마음이 들었다. 빗자루를 타고 가는 마녀를 열심히 쳐다보는 달님의 시선이 모자로 향해있는 것을 보아, 달님도 모자가 가지고 싶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달님이 마녀와 해적과 마술사의 모자를 가지고 싶어서 모자 할아버지에게 부탁을 했고, 각각의 모자를 쓸 때마다 달님이 다르게 보인다는 내용이다. 마녀의 모자를 쓰면 반달이, 해적의 모자를 쓰면 초승달이, 마술사의 모자를 쓰면 꼭꼭 숨어 보이지 않는다는 내용으로 아이들이 달의 모양이 왜 바뀌는지에 대한 문학적인 설명이 가득한 책이다. 


물론 실제로 그러하지 않지만, 4-6세 정도의 아이에게 상상력을 자극하는데 이보다 더 좋은 설명이 있을 수 있을까? 달님의 위상변화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그 시기 아이들에게 어려운 개념인데다 지나치게 딱딱한 느낌이다. 아이는 이 책을 보고 "달님" "모자"하고 가리킨다. 고 모습이 너무 귀엽고 저 작은 머릿속에서 지금 책 이야기를 떠올리고 있겠구나 하는 생각에 웃음도 난다.


달님에 관한 한 편의 옛이야기를 들은 듯한 이 책은 달님을 좋아하는 아이에게 꼭 추천한다. 그렇지만 달님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가르치려는 엄마에게는 추천하지 않는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리 프랑크프루트의 <헛소리에 대하여> 읽고 싶어요. 제 주위에 요즘 헛소리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왜 그런지 정말 알고 싶습니다. ㅜ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