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은 중요하다. 흔히 생명과 삶의 가치와 같은 저울에 올려 그 가치를 논하기도 하지만 삶을 영위하는 데에 가지는 그 ‘돈’의 중요한 동력을 감안한다면 이런 비교와 대조는 필연적 자기 모순에 빠진다. 인간의 욕망은 때로 삶의 동력이고 그것의 외연적 교환가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흔히 ‘돈’으로 치환된다. 누구나 생과 삶은 차마 돈과 저울질당해서는 안되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지만 그것이 현대 사회의 돈의 위력이나 가치 자체를 무력화하는 것은 아니다. 돈 자체는 선악의 가치 판단의 준거가 아니다. 어쩌면 우리는 지나친 악덕의 드라마를 ‘돈’ 그 자체와 혼동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에밀 졸라가 그려낸 19세기 후반의 파리 사회가 백 년도 훌쩍 지난 현대의 배금주의와 거의 오차없이 겹친다는 사실은 인간이 만들어 낸 외형적 교환 가치가 제어 없는 욕망과 만날 때 빚어내는 필연적 귀결이 얼마나 끈질기게 부활하는지 보여주는 예다. 증권거래소, 실질적 자금의 불입이 없는 무차별적 증자와 회사 실적 부풀리기, 작전세력, 개미 투자자들의 패망. 이것은 20세기 이후의 신조어가 아니었다.

초로의 몰락한 은행가 사카르가 증권거래소를 중심으로 각계각층의 투기 세력을 규합해 거대한 신디케이트를 만들어 주가시장을 지배하는 모습에는 이성적 판단이나 논리가 거세되어 있다. 다만 인간의 탐욕에 덧씌운 자기 기만, 환상, 이전투구가 실제보다 더 현실 같은 날조된 가치에 자신의 삶 전체를 거는 인간 군상의 민낯이 드러날 뿐이다. 파멸의 전조가 곳곳에 드러나도 레밍이 한꺼번에 물에 뛰어들듯 단체로 치닫는 절멸의 모습은 소름이 끼치도록 근래 전세계를 휩쓸었던 각종 금융 위기, 사건들과 겹친다.

에밀 졸라는 이러한 사태에 교조적으로 접근하는 대신 삶에 대하여 가지는 이러한 ‘돈’의 필연적 영향력을 중립적 입장에서 관찰하고 해부할 뿐이다. 어쩌면 그는 모든 비열한 왜곡된 욕망의 부산물을 돈에 몰아넣는 인간의 무책임함과 경솔함을 지적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파멸한 사카르와 대척점에 서 있어 보이는 여주인공 카롤린이 사카르의 은행에 투자한 돈을 잃고 마지막에 빈털털이가 되었음에도 역설적으로 생의 의지와 환희를 느끼는 대목은 생이 돈을 배제할 수는 없어도 뛰어넘는 초연한 경지까지 약동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돈’과 ‘삶’을 분리할 수는 없다. 그러나 어디에 동력의 주도권을 주냐,는 인간 개개인의 선택의지가 개입할 수 있다. 불편한 진실을 직시하는 용기 또한 그렇다. 그 미약한 가능성이 이 비극적 얘기를 마치 해피엔딩처럼 보이게 하는 이유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이소오 2018-01-01 17: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장 우아한 글을 쓰시는 블랑카님. 작년 한해도 고생하셨고 새해에도 우아하고 감성적인 글 기대할께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blanca 2018-01-02 03:29   좋아요 0 | URL
헉, 시이소오님 칭찬에 없던 우아함도 생길 기세입니다. ^^ 새해에는 시이소오님이 더욱 마음 편히 책을 읽으실 수 있는 내외적 여유가 생기기를 기원합니다. 성실한 독서와 기록 언제나 응원해요.

카스피 2018-01-01 2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88만원도 아니 78만원 세대에게는 누가 뭐래도 돈이 중요하지 않을까 싶네요ㅜ.ㅜ 블랑카님 무술년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blanca 2018-01-02 03:31   좋아요 0 | URL
그렇죠. 돈이 가지는 위력에 압도당해서도 안 되지만 기본적으로 사는 데에 필요한 그 마지노선도 부정할 수 없지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카스피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