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천국, 쿠바를 가다 - 세계적 교육모범국 쿠바 현지 리포트
요시다 타로 지음, 위정훈 옮김 / 파피에(딱정벌레)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쿠바' 하면 무엇이 먼저 떠오를까? 체게바라, 카스트로, 사회주의국가, 미국한테 밉보인 나라, 못사는 나라 정도? 관심을 갖고 보면 많은 것을 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대부분을 보지 못한다는 게 맞는 것 같다. 나는 이 책을 통해 쿠바를 다시 보게 되었다. (객관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교육에서 관심을 받고 있는 나라는 '핀란드'일 것이다. 배우고 따라야 할 교육모범으로 '핀란드'의 교육은 떠받들어진다. 그런데, 핀란드에 버금가는 학력수준을 보이는 '쿠바'의 교육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쿠바가 사회주의국가인데다가, 미국과 맞짱뜨고 있는 나라니 당연히 그렇겠지 하는 생각도 든다. '핀란드'의 모든 것이 교육모범사례로 알려지는 동안 우리는 한치의 의심도 없이 부러워하였다. 그런데 '쿠바'의 교육모범사례를 읽어가는 동안 쿠바란 나라에 열광할 수는 없었다. 나에게도 어느새 쿠바에 대한 편견이 자리잡고 있었던 터이다.

 

책의 내용을 떠나 한 번 생각해보자. 왜 우리는 핀란드의 교육사례에는 열광하고 쿠바의 교육사례에는 미심쩍은 시선을 보내는 것일까? 핀란드는 우리가 갖지 못한 교육제도와, 교육복지를 갖고 있다. 그러니 저렇게 잘하는 건 당연해 라는 시선을 보낸다. 우리는 그런 게 없잖아, 그러니 이 정도일 수 밖에 없지 하며, 자신을 합리화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쿠바는 어떤가? 객관적으로 볼 때 우리보다 나을 건 하나도 없다. 모자라는 것 투성이다. 그런데도 성과가 나온다. 이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애써 외면하고 싶은 사실인 것이다. 책에서는 작가가 쿠바의 편에 치우쳐서 미화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비판을 받는다고 했다. 그럴 수도 있다. 내가 서두에 이야기했듯이 관심을 갖고 보면 많은 것을 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대부분을 보지 못하므로. 적어도 이 작가는 쿠바를 애정을 가지고 바라보았다. 이데올로기때문에 눈을 가린 것이 아니라 이데올로기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서 좋은 점을 찾아낸 것이다. 핀란드라고 좋은 점만 있었을까? 한국의 교육은 어떤가? 우리는 한국교육의 폐해에 대해 너무나 많은 이야기를 나눈다. 그런데 미국의 오바마대통령은 한국의 교육사례를 자국교육을 이야기할 때 언급하곤 한다. 마찬가지다.

 

저자의 관심이 쿠바의 의료복지제도에서 교육제도로 넘어 온 것은 당연한 결과가 아닌가싶다. 교육은 모든 것을 지탱하는 가장 근간이기 때문이다. "무상교육과 무상급식이 낳은 세계최고 수준의 고학력 국가, 쿠바" 최근에 한국의 화두가 바로 이것이었다. 무상교육, 무상급식. 그러나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무상'이라는 단어의 표면적인 뜻에 발목잡혀서는 안된다는 것, 그 이면에 숨어 있는 기회의 균등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 말이다. 사실 요즘 여기저기서 '무상'이라는 말을 쓰는데 영 편치 못하다. '무상'='공짜'가 아니다.

 

쿠바의 교육은 사회주의국가답게 국가 주도에 의해 국가가 의도한대로 이루어진다. 그 첫번째 목표는 비식자자를 줄이는 것이다. 내가 요즘 공부하고 있는 '평생교육'의 개념을 쿠바의 교육사례에서 많이 찾을 수 있었다. 세계의 평생교육이 지향하는 바를 쿠바가 성과를 내고 있는 중이지만 그들의 모범교육사례에 대해 세계는 오히려 외면한다. 그러나 쿠바는 가난하고 모든 것이 부족한 나라이고, 정치적으로도 안정적이지 못한 나라지만 교육에 대한 투자만큼은 확실하게 한다. '투자'라는 것이 '물자'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이 책을 읽으면서 곳곳에서 발견하게 된다. '상호학습'이 '경쟁'보다 훨씬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점도 그러하다.

 

내가 중학생때였는데, 우리 반 담임선생님이 '상호학습'을 시킨 적이 있다. 지금 와서 생각해보니 그거였던 것 같다. 성적이 좋은 아이와 그렇지 못한 아이를 8명 정도씩 한 팀으로 구성하고 매일 수업 후 자율학습 시간에 서로 가르쳐주고 배우게 하는 시간을 갖게 하였다. 그러한 학습을 1년간 계속 했는데, 나의 성적도 역대 최고였을 뿐 아니라 반 전체의 성적도 늘 1등을 유지하였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책을 읽다보니 이게 바로 '상호학습'이었던 것이다. 쿠바의 고학력 비밀도 바로 이러한 상호학습에 있다고 한다.

 

경제위기에 처해서도 교육만은 손에서 놓아버리지 않았던 쿠바이기에 경제적인 지원보다는 인적자원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점이 돋보인다. 일하는 엄마를 위한 사회교육제도는 지금의 우리 현실과도 닿아있다.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은 배워야할 점이다. 그리고 교사수급과 관련한 부분, 장애우를 배려하는 교육 등도 눈여겨볼 만하다. 전체적으로 쿠바의 교육은 '학교교육'이라는 테두리에서 벗어나 '평생교육'의 의미를 많이 가지고 있는 듯하다.

 

이데올로기의 편견에서 벗어나 좋은 점은 배우고 수용할 수 있어야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교육정책이 수시로 왔다갔다하고 혼란만 가중되고 있는 요즘 현실을 보면 더욱 그러한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