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 지음, 김재혁 옮김 / 이레 / 2004년 11월
평점 :
절판
베스트셀러고 영화로도 만들어졌고 해서 그렇고 그런 소설인 줄 알았다. 1부를 읽는 중에는 내 추측이 틀리지 않잖아, 했는데 2부로 넘어가면서는 이런 편견이 싹 달아났다. 단순한 연애소설 이 아니라 역사 속에 위치한 한 개인의 삶이 집단적 수치와 고통의 참회수단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담겨있는 특별한 소설이다.
우리가 판단하기에 분명히 그 사람한테 좋은 데 그 사람은 원하지 않는 경우 우리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그 사람을 설득해야 하나? 그 사람에게 좋은 게 과연 뭔가? 그 사람이 원하는 게 좋은 거 아닌가? 우리의 관점과 타인의 관점이 틀릴 때, 우리는 선이나 정의라는 이름으로 타인에게 우리의 생각을 강요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의 생각이 관철과 타인의 행복은 사실 관계가 없다. 미하일은 계몽/공공의 선과 개인의 자유의지 사이에 있으면서 그 경계에서 갈등하고 독자에게 고민을 떠넘긴다.
먼저 열다섯살 미하일과 서른여섯살의 한나의 사랑이다. 두 사람은 공공의 선에서 보면, 한나는 부도덕할 뿐 아니라 파렴치한이다. 미성년과 섹스를 했다. 미성년이 스무살이나 많은 사람을 애인으로 만나면 안되는가. 서로 사랑하는 그들만의 세계에서 그들의 나이는 서로 다른 옷을 입은 거에 불과했다. 우리는 모두 다른 옷을 입는 게 당연하지 않는가. 기존의 질서는 미성년의 사랑을 왜 금기시하는가. 미성년은 판단능력이 성숙하지 못했다고, 전통적으로 여겨져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인이 되면 판단력은 꼭 성숙하는가.(명박을 보시라!) 그리고 사랑이 학업에 방해가 된다고 여기는데 사랑을 하는 어른도 때로는 일을 수행하지 못할 정도로 흔들리고 불안할 수 있다. 미하일이 한나에게 책을 읽어주면서 한나가 책을 해석하는 방식에 오히려 영향을 받는다. 누가 두 사람의 사랑을 부도덕하다고 감히 말할 수 있겠는가.
둘째, 나치하에서 호송대원으로 근무했던 한나는 유태인 학살의 주범인가. 그녀는 유태인을 증오했는가. 전쟁 중 아우슈비츠 위성 수용소 호송대로 일했던 한나가 자신이 안 쓴 보고서를 썼다고 시인하고 종신형을 선고받는다. 미하일은 한나가 문맹을 감추기 위해서라고 생각했고, 판사에게 사실을 알리면 형을 감량받을걸 확신했다. 그러나 그는 형량 감량이 한나가 원했던 것인지, 감추려했던 사실을 그가 밝혀 가벼운 처벌을 받는 걸 기뻐할지 확신하지 못했다. 한나를 포함한 호송대원들이 포로들을 호송하는 동안 한 교회에 머무는 동안 화재가 있었고 화재로 단 두 사람이 살아남았다. 호송대원들이 기소당한 이유는 그들을 구하려는 행동을 하지 않았다는 거다. 불의 규모는 여자 여섯명이 진압하기에 너무 컸다. 그들은 교회 밖에 있었고 포로들은 잠긴 문 안에 있었다. 피고인들은 어떤 명령도 받지 못했고 뭘 할지 몰랐다. 그들은 유태인 포로들과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이 있었지만 포로들을 어떻게 다뤄야하는 지에 관해서라면 가장 멀리 있었다. 그들은 표면적으로 살해자지만 사실은 포로들에 대해 어떤 의지도 갖고 있지 않았다.
작가가 의도하는 게 나치하에서 근무했던 사람들을 옹호하려는 건 물론 아니다. 작가는 우리가 익숙한 관점에서 벗어나는 길을 안내한다. 우리는 그들을 비난하도록 만들어진 이미지를 봐왔다. 그들 뒤에 숨겨진 진짜 원인을 보기보다는 학습되고 만들어진 이미지로 판단하고 우리의 판단을 정당화하려고 한다.
한나가 문맹인 건 의미심장하다. 그녀는 문맹이기 때문에 오히려 왜곡된 이미지를 형성할 기회가 적었다. 그녀가 재판을 받는 동안 자신이 한 일과 하지 않은 일을 분리해 내는데 에너지를 쏟았다. 이미 옳고 그른 걸 정해놓고 재판을 보는 다른 사람과 달랐다. 한나는 감옥에서 혼자 글을 배웠다. 원했다면 진작에 배울 수도 있었을텐데 그녀는 그렇게 하지않다. 미하일이 확신하지 못하는 세상의 확실함을 배우는 시기를 의도적으로 늦췄는지 모른다. 출소하기 전날, 미하일의 도움을 받아야하는 순간, 글을 알고 세상에 나와 글로 된 왜곡된 진실을 알기를 거부하기라도 하는 것럼, 한나는 자살했다. 그녀는 죽음으로 자신이 끝까지 동일한 존재로 인식되기를 바랬다.
겉으로 보기에는 미하일과 한나의 사랑이지만 그 사랑 속에는, 우리가 당연히 여기는 것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책 읽어주는 남자가 감옥의 한 여죄수와 책으로 소통한 것처럼 우리도 책 읽어주는 남자란 책으로 우리 자신과 소통하는 끈을 만들 수 있다.
*영문판으로 읽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