쫄지 마, 청춘! - 우리 시대 청춘을 위한 인생 항해술
김진각.박광희 지음 / 한국in(한국인) / 2012년 1월
품절


김난도 편
그(김난도)는 무엇보다 ‘자기만의 스토리’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자기 자신에 대한 발견과 확신’이 필요하다고 했다. 다시 말해서 나 자신이 어떻게 인식하는지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끊임없이 경험하고 찾아가고 만들어나가야 할 뿐만 아니라, 경험을 많이 쌓고 자신에 대해 깊이 고민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21쪽

김난도 편
"중요한 것은 전쟁에 이겼느냐, 졌느냐가 아니다. 전쟁이 끝나고 무엇을 했느냐에 따라서 그 나라의 운명이 결정된다."(시오노 나나미, "로마인 이야기")
-22쪽

김난도 편
"인생에 너무 늦었거나, 혹은 너무 이른 나이는 없다."(‘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24쪽

김난도 편
부모님에게 가장 큰 문제가 무엇이냐 하면 자식을 사랑한다는 겁니다. 굉장히 안전한 길을 권해요. 나중에 스티브 잡스처럼 될 수 있다 할지라도 대학 중퇴하고 좋은 회사 대신 집 창고에서 창업하는 거 어떤 부모도 권하지 않아요. 창업하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알기 때문이죠. 스티브 잡스처럼 대박이 나거나 하는 걸 바라는 부모는 별로 많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부모님들이 생각했을 때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아무리 망해도 생활에는 지장 없어야 해요.-28쪽

정민 편
그동안 공부한 게 지식을 쌓는 것이었다면 앞으로 필요한 건 지혜예요. 이는 삶에 대한 통찰력을 의미합니다. 자신의 생각과 다른 뒤통수를 딱 치는 깨달음을 많이 겪어야 합니다. 그것이 누적되면 그 안에서 지혜가 생겨요. 그런데 하루아침에 지혜가 생겨나는 법은 없어요. 열심히 책 읽고, 특히 고전 읽고 공부하고 생각하고 글로 적고 하면서 자신에게 깨달음을 주는 것을 찾아야 합니다. 그것이 삶을 바꾸는 에너지가 될 겁니다. -64쪽

정민 편
학문을 관점이 아니라 자료로 겨루려는 것은 가장 치사한 방법입니다. 학자는 일단 자료를 공개하고 그것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 경쟁해야 해요. 그래야 학문이 발전하죠. -66쪽

탁석산 편
탁석산 박사는 20대가 자신을 불행하게 여긴다는 말에 중요한 것은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은 소위 스펙이라는 게 유행이지만 20년 후에는 아무 쓸모없을 거라는 것이다. 스펙이 필요 없고 귀찮다고 느낀다면 스펙 쌓기 경쟁에 뛰어들지 말고 차라리 자신 스타일을 만들라고 충고했다. 스펙은 남이 세운 기준이고, 남이 만들어놓은 직업에 자기가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해서는 아무리 열심히 사회에 적응해도 40대가 되면 직장을 나와야 한다. 그 나이에 또 스펙을 쌓아 남의 기준에 맞춰서 어딘가에 들어가야 할까? 게다가 직장의 수준은 점점 떨어진다. -77쪽

탁석산 편
대중은 자신의 삶에 무엇이 필요한지를 시대 상황에 맞게 택해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다음 단계에는 또 다른 것을 상황에 맞게 택함으로써 성공적인 변화와 발전을 이룬다는 것이다.-85쪽

탁석산 편
저는 오피니언 리더라는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자기 생각을 말하는 사람이 있을 뿐이죠. 그런 생각 자체가 약간 계급적인 생각이라고 봅니다. 지금은 네트워크 시대고 리더가 누구인지 확실하지 않은 시대잖아요. 오피니언 리더라고 하면 계급의 리더가 있고 나머지가 따라는 것처럼 보이죠. 하지만 지금은 그런 시대가 아니죠.-91쪽

탁석산 편
지금은 완전히 평면적이고 중심이 따로 없는 시대라는 말이었다. 뿌리가 없다고 하는데, 외려 뿌리가 없는 게 정상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뿌리가 있다는 사고는 고전적인 것이다. 이렇게 사고하는 사람은 사회가 나무와 같다 상상한다고 볼 수 있는데, 사회의 전체적인 모습이 위아래가 있고 가지가 뻗고 중심이 있고 주변에 있다고 생각한다. 탁석산 박사는 지금은 그런 게 없는 사회라고 본다. 네트워크 사회엔 뿌리가 없다. 위아래가 없고 서로 교류할 때도 중심이 없다. 그때그때 중심이 형성되고 계속 이동한다. 그러니 뿌리가 없는 게 당연하고 정상인 셈이다. 그이는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 믿고 여기에 적응해야 한다고 말한다. -91쪽

탁석산 편
본래 철학이라는 건 아무도 의심하지 않는 것을 의심하고 회의하고 도전하는 거잖아요? 그걸 안 하니까 철학이 죽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금 대학 철학과는 전혀 위험해 보이지 않습니다. 옛날 거 연구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하나도 위험하지 않아요. 한마디로 철학자는 안전한 사람들입니다. -94쪽

정혜신 편
우리는 어떤 결정을 해놓고 쉽게 후회하는 경향이 있다. 결정을 잘못해서, 결정을 잘못했다는 근거가 있어서 후회하는 것이 아니다. 그렇게 결정한 나 자신을 믿지 못해, 나 자신에 대한 불신 때문에 생기는 후회다. -112쪽

정혜신 편
일방적으로 공부를 강요하면, 아이는 자기애를 갖기 어렵다. 아이와 대화할 때 부모가 먼저 자기 성찰을 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114쪽

정혜신 편
자기를 느끼지 못하면 자기애도 갖추기 어렵다는 점이다. 자기애가 없으면 타인의 문제에 무관심하고 타인과도 원만하게 소통할 수 없다. 자기애가 없으면 건강하지 못해 타인에게 상처 주기도 쉽다. 하지만 자기애가 있으면 타인에게 너그럽고 다른 사람을 더 잘 이해한다. -118쪽

정혜신 편
가장 중요한 에너지는, 바로 자기애예요. 자신에 대한 안정감이 곧 자기애죠. 자기를 충분히 느끼고 살아온 사람들은 그냥 자기에 대한 안정감이 있어요. 자기애가 있는 사람은 어떤 상황에 있든 잘 적응할 수가 있어요. -127쪽

정병설 편
저는 인문학을 하려면 세 가지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학생들에게 강조합니다. 첫째는 이해력입니다. 우리가 이해해야 할 텍스트의 대상은 글뿐 아니라 사람도 포함하는 거죠. 저도 사람을 잘 이해하지 못해요. 이해하려고 노력할 뿐이죠. 둘째는 판단력, 즉 가치와 관련한 것입니다. 뭐가 옳고 그른지 알아야겠죠? 사실 저는 이것도 잘 못합니다. (중략) 셋째는 표현력입니다. 미문이 아니더라도 명징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해요. 이해력, 판단력, 표현력 이 세 가지가 필요한 셈이죠. -149쪽

박승 편
지금 우리나라 자본주의는 개인 자본주의잖아요? 개인 자본주의란 ‘나만 잘살면 된다’는 식이죠. 전체는 개인의 총합이다, 그러니 개인이 자기 이익을 극대화하면 사회 전체 이익이 극대화된다, 이것이 원시 자본주의예요. 그렇지만 개인의 총합이 사회인 것은 아닙니다. 생산이 아닌 분배를 한쪽으로 쏠리게 만들면 사회 전체의 복지는 올바로 이루어질 수 없어요. 공동체 자본주의라는 것은 사회 전체 이익이란 틀 안에서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온 사회적 생산물은 사회가 고르게 나눠 갖는 것이고요. -23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