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고양이는 고마웠어요 - 길고양이와 함께한 1년 반의 기록 안녕 고양이 시리즈 1
이용한 지음 / 북폴리오 / 2009년 8월
품절


아이가 쓰레기봉투를 헤집는 추냥이를 발견하고는 "와아! 고양이다, 고양이!"하면서 그쪽으로 달려갔다. 그러자 아주머니는 아이의 손을 잡아채면서 한마디 던졌다. "도둑고양이야, 도둑고양이, 도둑고양이는 나쁜 고양이야!"
졸지에 추냥이는 도둑 누명을 뒤집어썼다. 음식물 쓰레기는 엄연히 사람이 버린 것이고, 추냥이는 그저 그것을 헤집었을 뿐인데 도둑고양이란다. 고양이는 억울하다. 아무것도 훔친 적도 없는데, 도둑이라니.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길고양이를 ‘도둑고양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많다. 최근에야 ‘도둑고양이’를 ‘길고양이’라 부르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여전히 나이 많은 어른들은 집 밖에 있는 모든 고양이를 ‘도둑고양이’라고 부른다. 서양에서도 과거에는 고양이를 뒷골목을 배회하는 불량배에 빗대 ‘뒷골목 고양이’라고 불렀으나, 요즘에는 ‘방랑 고양이’로 고쳐 부르고 있다. -34-35쪽

옛말에 이슬 하나에도 신이 내린다고 했다. 수천의 인연이 모여서 하나의 생명이 된다고도 한다. 놀랍게도 많은 사람들이 길고양이 하나 하나도 감정이 있는 생명이란 사실을 잊고 있다. 아무리 나이 드신 어르신이라고 해도 고양이를 죽일 권리는 누구도 부여한 적이 없다. 인간이라고 해서 고양이를 마음대로 죽이고 살리는 심판관이 될 수는 없다. 그리고 길고양이에게 사료를 주면 고양이는 쓰레기봉투를 뜯지 않게 되므로 거리를 오히려 깨끗해진다. 이는 미국이나 그리스, 스페인에서도 이미 입증된 사실이다.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거나 종교적인 관점에서 고양이를 싫어할 수는 있다. 고양이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좋아하라고 강요할 수는 없는 것처럼 고양이를 돌보고 먹이를 주는 사람도 비난해서는 안 될 일이다.
누군가는 고양이의 수가 늘어나면 인간이 피해를 입는다고 말하지만, 이것도 다분히 인간 중심적 사고방식일 뿐이다. 정작 이 지구상에서 개체수 조절에 실패한 건 인간이다. 이건 인간이나 고양이냐의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과 고양이의 공존의 문제이다. 대상이 고양이라고 해서 모든 폭력과 살생이 정당화될 수는 없다. -300-301쪽

고양이도 인간과 똑같이 지구의 생명체로 태어나 같은 지층 연대를 살아가고 있다. 고양이는 외계의 생명도 마녀의 동물도 아닌 존재로 그저 우리 곁에 살아갈 뿐이다. 잘못이 있다면 하필 전 세계에서 길고양이가 가장 천대받는 한국이라는 곳에서 태어났다는 것. 한국이란 곳에서 길고양이는 늘 두려움과 불안, 배고픔으로 떨고 있다. 사실 길고양이의 세계를 알기 전까지 나 또한 고양이가 두려움에 떨고 있든 말든 그냥 무관심했었다. 녀석들을 적으로 여기지도, 친구로 여기지도 않았다. 그저 아무런 관심도 없었다. 그러나 고양이에게 관심을 갖기 시작하자 녀석들이 한국이란 곳에서, 더구나 도심이란 공간에서 얼마나 천덕꾸러기 취급을 당하며 약자로 살아가고 있는지를 알게 되었다. -32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