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이 김교신 선생 70주기였다. <김교신선생기념사업회>가 창립되어서 봄가을로 강연회와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자료를 새롭게 발간하는 등 최근 몇년간 노력을 해왔다. 한국교회사에서 그의 존재를 접한 사람이라면 비범한 인상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제도교회에서는 그의 '무교회주의'를 문제삼아 이단시 해왔으나, 오히려 역사학계에서는 일제하에서 그가 보여준 주체적 민족주의를 높이 평가했고, 교육학계에서도 그를 참 스승의 사표로 기억하는 흐름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관심있는 젊은 세대가 김교신을 접할 수 있도록 그간 출간된 몇권의 책을 간략히 소개한다.
고려대 교육학과의 김정환 선생이 쓴 김교신 평전은 이제 고전에 속한다. 2016년말에 다시 나온 것으로 되어 있는데 책을 확인해보지 못해서 어떤 변화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고려대 교육학과를 중심으로 교육계에서는 꾸준히 김교신의 교육관을 연구하는 논문이 나오고 있다고 한다.
전인수의 <김교신 평전- 조선을 성서 위에>(삼원서원, 2012)은 비교적 얇고 쉽게 읽을 수 있는 문체로 쓰여져 있다. 그는 특히 김교신이 겪었던 몇건의 논쟁(김인서, 장도원, 최태용)의 맥락 위에서 그를 상대편과 대비시켜가며 기술함으로써 그의 특징을 잘 드러내주었다. 전인수는 김교신의 신앙적 지향이 복음주의의 원형적 측면을 잘 드러내고 있지 않느냐는 제안을 한다.
니이호리 구니지 (김정옥 옮김) <김교신의 신앙과 저항: 한국 무교회주의자의 전투적 생애>(익투스, 2012)도 속도감 있게 잘 정리된 평전인데, 일본인 무교회주의자의 눈에 비친 김교신의 면모가 잘 나타나 있고, 특히 우치무라 간조나 야나이하라 다다오 등 일본쪽 무교회주의 지형과의 접합면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
평전을 권하라면, 후반부의 두권이 부담없이 입문하기 좋을 것으로 보인다.
박찬규의 <김교신, 거대한 뿌리: 조선산 기독교를 온몸으로 살다>(익투스, 2011)은 <성서조선 영인본>등 기존의 자료들에 나누어 실려있던 일기만 연대순으로 가지런히 뽑아서 새로 엮은 책인데, 새롭게 발굴한 사진자료 등도 포함되어 있어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 저자 박찬규는 무교회주의자도 아니지만 그야말로 개인적 관심에서 김교신의 자료를 수집하고, 기록을 정리한 재야의 인물이다. 그가 유족들이나 관련자들을 일일이 접촉해서 사실 관계를 정돈하고, 발굴한 내용이 적지 않다. 기념사업회에 포진된 김교신 학자들조차도 그를 통해 새로운 내용을 접하는 경우가 여러번이었다. 그는 직접 출판사를 세워 김교신 관련 서적을 출판해나가고 있다.
영인본에 들어가 있기는 하지만, 그간 번역되지 않았던 김교신 선생의 개인적 일기 2권(1932.01-1934.8)이 이번에 <김교신 일보: 육필일기에 담긴 삶과 시대, 고뇌와 꿈>(홍성사, 2016)로 해역되어서 나왔다. 선생의 손글씨와 일본어, 헬라어 등이 포함된 내용이 제대로 해독되지 않은 상황이었는데 기념사업회의 노력으로 출간되었다. 기존에 접할 수 없었던 자료라서 연구자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내용이 될 것이다.
양현혜 이화여대 교수의 박사논문 <윤치호와 김교신: 근대 조선의 민족적 아이덴티티와 기독교>(한울, 2009 [1994])은 김교신과 윤치호를 대비시켜가며 일제하 민족아이덴티티 형성을 다룬 것으로, 해당 분야에서는 널리 읽힌 책이다. 근대 초기의 대표적 지식인이자 기독교인이었던 윤치호와 김교신이 얼마나 다른 길을 걸었는지 시종일관 대비시켜나가고 있는데, 두 사람의 삶은 이분법적인가 싶을 정도로 대조된다.
양현혜 교수는 <김교신의 철학: 사랑과 여흥>(이화여대출판부, 2013)를 통해 김교신의 삶과 철학에 한발 더 다가가보려는 시도를 한다. 연대기적 논의를 넘어서려는 시도로 의미가 있다 생각한다.
백소영의 박사논문을 담은 책 <우리의 사람이 의롭기 위하여- 한국교회가 무교회로부터 배워야 할 것들>(기독교서회, 2005)은 무교회운동을 김교신-함석헌으로 이어지는 흐름으로 정리한다. 그런데 이런 방식의 독법은 무교회운동 내부에서도, 김교신 연구자들에게도 낯선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백소영의 제안은 그 나름대로 독특한 통찰을 담고 있어서 일독할 가치가 있고 그것대로 토론할 내용이다. (문제는 책이 POD(publish on demand)상태인 모양이라 아쉬운 대목이다.)
백소영의 <버리지 마라 생명이다: 다시 김교신을 만나다>(꽃자리, 2016) 43개 장에 걸쳐 <성서조선>과 일기를 읽으며 묵상한 내용을 담은 에세이다. 자연스럽게 김교신의 글을 다시 읽어들어가며 독자들에게 소개해주는 효과를 내면서, 오늘날 삶의 정황과 맞물리는 성찰을 담고 있다.
마지막으로 '김교신선생기념사업회'에서 70주기를 맞아 주최한 봄 가을의 강연회와 학술대회에 나왔던 8편의 논문을 모은 책이다. 가장 최근의 관심사와 맥락을 살펴볼 수 있어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고, 김교신선생기념사업회의 취지나 방향도 함께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