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권 쟁탈의 한국사 - 한민족의 역사를 움직인 여섯 가지 쟁점들
김종성 지음 / 을유문화사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패권을 누가 잡느냐에 따라 역사의 흐름이 바뀌는 사실은 그동안 우리가 익히 알고 있지만

이 책은 우리 역사를 바로 패권 쟁탈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선이 가득 담겨 있다.

한민족의 역사를 움직인 여섯 가지 쟁점들을 알기 쉽게 정리한 이 책에선 세계사에 등장한

가장 인상적인 무역로인 초원길, 비단길, 바닷길을 누가 장악했느냐에 따라 인류의 운명과

한민족의 흥망성쇠가 좌우되었다고 보고 있다, 인간과 물건과 정보를 이동시키는 세계 최대 루트인 이 세 가지 길은 초원길에서 비단길, 바닷길의 순서로 출현했는데 초원길 시대라고 할 수 있는

고조선 시대에는 오히려 중국보다 앞서 있었다고 얘기한다. 우리에게 친숙한 만리장성도 흉노족만

방어하기 위해서가 아닌 고조선도 방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하니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고조선이 세 개의 도읍을 갖춘 3경제로 세 왕은 진한, 변한, 마한이라고 불렀다고 하니

우리가 흔히 알던 한반도에 존재하던 삼한과는 구별해야 해서 신채호 선생은 '조선상고사'에서

고조선 연맹의 형태로 먼저 출현한 것을 북 삼한, 한반도에서 출현한 것을 남 삼한이라 불렀다.

이렇게 이 책에선 기존에 우리가 국사교과서를 통해 알고 있던 한국사와는 사뭇 다른 내용들을 알려준다.

대표적인 고대사 사서인 '삼국사기'가 김부식의 신라 중심의 유교적, 사대주의 사관에 의해 왜곡된

탓으로 보고 있는데, 삼국사기에는 신라의 건국 연도가 삼국 중에서 가장 빠르고 고구려는 신라보다

늦은 기원전 37년에 수립되었다고 되어 있지만 광개토태왕릉비 등을 근거로 기원전 232년으로 본다.

그리고 백제 건국 시조도 온조가 아닌 그의 어머니인 소서노로 보고, 고조선이 단군조선 - 기자조선

- 위만조선으로 계승되었다는 기존의 견해와는 달리 기자조선은 고조선의 일부에 불과했고,

단군조선이 기자조선과 위만조선으로 이어졌다는 건 왕조 국가의 상식에도 맞지 않는다면서

고조선 전부가 한나라에 멸망한 것이 아닌 고조선의 일부인 변한이 멸망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기존에 내가 알고 있던 한국사를 완전히 다시 쓰게 만들었다.

중국이 통일을 이뤘는지 분열되었는지에 따라 한반도 국가들은 상당한 영향을 받았는데

중국이 약해진 틈을 타서 만주를 비롯한 고조선이나 고구려의 고토를 회복할 기회들이 없지

않았음에도 기회를 놓친 발해 등의 사례를 보면 어떤 전략을 갖고 기회를 잘 이용하느냐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보여줬다. 이 책에서는 역사 공동체를 움직이는 힘과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국사를 고찰하는데 기후변화나 무역로 등 기존에 접하지 못한 신선한 관점들이 많이 담겨 있었다.

알고 보니 이 책의 저자는 전에 읽었던 '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

책의 저자였는데 역시나 기존에 알고 있던 우리의 역사와는 다른 관점에서 접근해서 새로운 역사적

사실들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솔직히 뭐가 맞는 얘기인지 혼란스럽기는 한데 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처럼 천편일률적인 역사를 주입식으로 배우는 것보다는 이렇게 다양한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역사를 바라볼 수 있는 게 좀 더 역사를 제대로 배우는 게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