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십년 뒤에 쓰는 반성문>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삼십 년 뒤에 쓰는 반성문 문지 푸른 문학
김도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에게나 어린 시절이 있다. 아랫도리를 벗고도 부끄러운 줄 모르고 놀던 시절도 있을 것이고, 엄마에게 야단 맞고 숨어 울던 때도 있다. 기억의 문을 열면 처음 학교에 들어가서 두렵고 설레던 기억, 시험지를 놓고 갸우뚱 거리던 기억, 짝꿍과 싸우고 토라져서 돌아오던 기억들까지 와르르 쏟아진다. 어떤 기억은 드러내고 자랑하고 싶고, 또 어떤 기억은 꽁꽁 싸매서 감추고 싶다. 그리고 또 어떤 것은 아예 그 존재 자체를 잊고 싶을 만큼 부끄럽기도 하다.

 이 글은 삼십 년전의 선생님을 만나면서 심지어 본인조차도 잊어버린 그 기억을 기어코 떠올리고야마는 한 소설가의 뒤늦은 반성문이다. 너무도 부끄러운 그 기억이 상처가 되어서 한 시절을 몽땅 잡아 먹었기에 기억의 저편 문 뒤에 슬쩍 밀어놓았던 기억을 선생님은 잊지도 않으셨던 것이다. 작가는 그 기억을 밀어두기 위해서 다른 기억들까지도 함께 버려야만 했다. 그래서인지 그의 글에는 어린 시절이 없다. 삼십 년만에 만난 선생님은 곧 죽음을 앞에 두고서도 그 이야기를 꺼내신다. 선생님은 그에게 "자네 이야기들은...... 어딘가에서 무엇인가에 막혀있다는 생각이 드네."(본문 21쪽) 그리고 이 모든 것의 원인은 그가 쓰지 않고 삼십 년을 버틴 반성문 때문이라고 하신다. 반성문에 대한 기억마저 전혀 없던 작가는 드디어 할 수 없이 그 시절로 돌아가 그 때를 다시 살아간다.

  어린 시절 누군가의 글에서 따온 자신의 첫 작품, 그 기억을 그는 밀어두었었다. 선생님은 그것을 알고 그에게 어린 중학생에게는 너무도 무거운 500매의 반성문을 쓰게 하신다. 중학교 2학년 내내 그는 그 반성문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그만 무단 결석까지 해 버린다.

  비록에 늦은 뒤에 쓰는 반성문이지만, 그는 그 반성문을 쓰기 위해서 어린 시절을 다시 살아 낸다. 이 소설은 그의 어린 시절과 현재를 병치해서 구성하고 있다. 잊었던 어린 시절을 살고, 오늘의 선생님과의 충만한 이별을 만들며 그는 안타깝고도 행복한 시간들을 기록한다. 그래서 이 글은 뒤늦은 반성문이며, 성장 소설이며 한 작가의 내밀한 고백이다.

 내게도 기억의 저편에 밀어둔 그런 것들이 있다. 차마 꺼내고 싶지 않은 창피함들, 문득 떠오를 때면 크게 소리라도 질러야 견딜 수 있는 그런 것들의 존재를 뚜렷하게 느낀 날이었다. 언젠가는 그것들을 꺼내야 하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