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치 머리엔 블랙박스가 있다 - 물고기 박사 황선도의 열두 달 우리 바다 물고기 이야기
황선도 지음 / 부키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물고기 박사'황선도님의 열 두 달 제철에 맞춰 우리가 자주 접하고 즐겨 먹는 생선 이야기.. [멸치 머리엔 블랙박스가 있다] 제철 생선들을 맛있게 먹는 이야기 뿐 아니라, 자주 접하기 힘든 해양 생물에 대한 다양한 과학적 지식이 담겨져 있는데.. 책을 읽는 내내 물고기를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가 재미도 있었지만, 정말 입맛 돌게 하는 마력까지 있었다.
기억에 남는 것은 역시.. 송나라 시인 소동파마저 죽음과도 바꿀만한 가치가 있다고 찬양한 복어 회. 나 역시 접시가 비칠정도로 얇게 저며 놓아 입안에서 녹아버리는 듯한 복어회를 참 좋아하는데.. 그렇게 먹는 이유는 복어의 육질이 꽤 질기기 때문이라고 한다. 나는 복어가 작아서 살이 없어서 그런줄만 알았다. 또한 임금님에게 진상했던 숭어어란을 만드는 과정은.. 정말 시간과 정성의 결정체라는 느낌마저 들게 하였다. 어란을 좋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참기름 냄새가 그윽할 그 숭어어란은 한번쯤 맛보고 싶어질 정도였다.
어부들이 잡자마자 바다에 던져 버려 '물텀벙'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삼총사 아귀, 물메기, 꼼치 이야기도 재미있었는데.. 이 책에 자주 인용되는 '자산어보'를 쓴 정약전 선생이 깊은 바다에서 살아가는 아귀의 생활법을 어떻게 아시고 '낚시고기'라는 이름을 주셨는지도 신기했지만.. 그런 정약전 선생이 아무리 궁리해도 어떻게 써먹을지 몰라 궁리한 흔적이 역력한 이름을 얻은 물메기도 재미있었다. 물론.. 제목과 관련된 이야기들도 정말 놀라운데 직접 읽고 확인해보시는게 어떨지.. ㅎ
하굿둑이 막히고 연안이 개발되며 서식지를 잃은 물고기들.. 그 부메랑은 결국 우리에게 돌아오기 때문이다. 특히 장어의 이야기가 가장 놀라웠는데.. 민물에서 사는줄 알았던 장어는 먼 바다로 나가 알을 낳고 그 곳에서 죽는다고 한다. 하지만 둑이 생기며 어미는 알을 낳으러 가지 못하고, 또 치어들은 돌아오지 못하게 되면서 장어의 어획략이 급감하고 있다고 한다. 그것을 대비하여 어도를 만들기도 하지만, 생물들의 생태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 무용지물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 안타까웠다. 장어 맞춤형 어도가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이 다행스럽기는 하다.
우리나라는 아직 수자원을 경제적인 측면에서만 바라보고 있다. 하지만 그 경제적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접근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