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들의 시간 - 메소아메리카의 고대 문명
정혜주 지음 / 틀을깨는생각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고학자 정혜주의 <신들의 시간>은 메소아메리카의 고대문명을 탐구하는 책인데요. 우리에게 익숙한 라틴아메리카가 중남미 지역을 지칭한다면, ‘메소라는 가운데, 중앙이라는 뜻으로 중부에 해당하는 지역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이 곳에 자리잡았던 마야, 떼오띠우아깐, 아스테까 문명을 함께 살펴보는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유적과 유물을 중심으로 그 시대의 사회상을 그려본다는 것입니다. 단순히 사진과 설명을 나열하는 것을 넘어서 이야기가 더해지니까 더욱 흥미롭더라고요.

예전에 미국 드라마 ‘THE X-FILES’를 소설로 읽은 적이 있는데요. 고대 마야 문명의 피라미드를 배경으로 했던 그 작품을 보면서, 피라미드가 이집트만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된 적이 있어요. 이후 여러 고대 문명에서 피라미드가 발견된다는 것과 그와 유사한 형태의 거대 건물들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면 흥미롭다고 생각하기도 했어요. 그래서 아메리카 대륙에서 발굴된 피라미드 유적에 대한 이야기가 기억에 남네요. ‘신이 되는 곳이라는 뜻을 가진 떼오띠우아깐은 그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의 유적인데요. 멕시코 중앙 고원 화산이 폭발하면서 그 곳에 살던 사람들이 이주하여 세운 도시지만, 그들이 누구인지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고 해요. 제단을 중심으로 계획된 도시를 만들어냈고, 그 세력이 왕성하여 과시적인 의례품인 화로를 만들어내기도 했었는데요. 그 도시가 불타버린 이유를 계급간의 갈등으로 추정하더라고요. 부를 축적하기 시작한 중간계급의 혁명이 실패하면서 일어난 일일까요? 문득 프랑스 혁명을 궁극적으로 신흥세력인 부르주아들의 혁명으로 보는 시각이 떠오르면서 이런저런 생각이 들었어요.

또한 마야의 치첸이쯔아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는데요. 도시국가의 경쟁으로 밀려난 이쯔아 부족이 건설한 곳인데요. 열대우림과 산지에 자리잡았던 때와 다르게 평지에서 시작된 이 도시의 조금은 독특한 형태가 인상적이었어요. 또한 이들이 갖고 있던 정치형태도 흥미로웠고, 이렇게 버려진 문명의 유산을 살펴보면서, 전해지지 못한 고대문명의 역사를 따라는 것은 참 신비로운 경험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