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의 오후에는 철학이 필요하다 - 키케로부터 노자까지, 25명의 철학자들이 들려주는 삶, 나이 듦, 죽음에 관한 이야기
오가와 히토시 지음, 조윤주 옮김 / 오아시스 / 2025년 2월
평점 :
일본의 철학 교수 오가와 히토시는 나이 듦, 질병, 인간관계, 인생, 죽음, 이렇게 다섯 가지 주제를 가지고 주제별로 다섯 명의 철학자들의 조언을 들려준다. 철학이란 문제의 본질을 생각하는 것이니, 철학자들을 통해 이런 삶이 문제들을 밑바닥부터 파헤쳐 볼 수 있을 것이다.
키케로의 노년에 대한 논쟁은 꽤 설득력이 있다. 키케로는 노년에 일할 수 없고, 몸이 쇠약해지고, 쾌락에서 멀어지고, 죽음에 가까워진다는 일반 통념을 하나씩 반박한다. 현명해진 노인만이 할 수 있는 일이 있고, 몸이 쇠약해지면 거기에 맞는 일을 하면 되고, 정신적인 쾌락을 즐길 수 있다. 또 죽음이란 젊은이 늙은이 가리지 않는다. 대단한 철학적 이론은 아니지만, 삶을 담담하게 바라보는 지혜가 담겨 있다. 오가와 히토시는 하나를 더한다. 인간은 죽기 직전까지 자기 역사상 최고의 자신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 늙었다는 것은 모두가 바라는 바를 이루었다는 뜻이다. 모두 오래 살고 싶다. 그런데 오래 살면 누구나 늙는다. 오래 살기를 바라면서 늙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얼마나 모순적인가! 젊어서부터 올바르게 살아야, 늙어서 나이 듦의 장점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늙음은 두려워할 것이 아니라, 준비해서 잘 맞이해야 할 삶의 일부이다.
노년에 여러 질병이 찾아오더라도, 너무 과민반응을 보이지 않는 삶의 지혜가 필요할 것이다. 에피쿠로스처럼, ‘아타락시아’(평정심)를 추구해야 한다. 그는 아타락시아를 위해 오두막집에서 소박한 식사를 하고, 좋은 친구들과 철학적 담소를 나누었고 한다. 이런 삶이 그에게 ‘쾌락’을 주었고, ‘아타락시아’를 누리게 했다. 인간관계에 관해, 일본 철학자 와쓰지 데쓰로의 주장도 상당히 흥미롭다. 2인 공동체인 부부는 나이가 들면서 마치 전우와 같이 서로 돕는 관계가 된다. 그리고 성인이 된 자녀는 부모와 세대를 뛰어넘는 동지가 된다. 그러니 늙어서 가족의 도움을 받는 처지가 될까 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원래 가족은 서로 도움을 주고받고, 울고 웃으며 사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프랑스 철학자 레비나스의 말처럼, 인간은 타자와 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는 존재이니 나이가 들수록 타인을 인정하고 존중할 줄 알아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타자는 나와 절대적으로 다른 존재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지금 우리나라의 엄청난 갈등과 정치적 혼란도 타자는 나와 절대적으로 다르다는 인식이 없기 때문이다. 왜 모두가 나처럼 생각해야 하고, 나와 생각과 사상이 다르면 혐오하고 배제하는가?
이 책은 인생을 재미있는 사는 법, 잠들지 못할 때 할 수 있는 일, 등등 조금은 가벼운 주제부터 인생의 궁극적 행복, 죽음을 마주하는 법, 죽음의 불안에서 벗어나는 법, 등등 조금은 묵직한 주제까지 많은 철학자의 생각을 알려준다. 나는 내 인생의 오후를 어떻게 살지 생각해 본다. 책 제목이 마음에 다가온다. <인생의 오후에는 철학이 필요하다>! 저자가 확신에 차서 말했듯, “철학이 있는 인생의 오후부터 진짜 삶은 시작된다”(p. 267). 이 책을 다 읽고 나니, 나의 인생 후반전이 기대된다. 행복한 독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