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잃어버린 사회 - 시대를 앞서간 천재 버트런드 러셀의 비판적 세상 읽기
버트런드 러셀 지음, 장석봉 옮김 / 21세기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세기 대표적인 철학자이며 수학자인 버트런드 러셀은 반전운동, 핵무기 반대운동에 앞장섰던 평화주의자요 사회운동가이기도 하다. 그는 어떤 사고방식과 철학을 가졌기에 이렇게 적극적으로 사회운동에 참여한 것일까? 이 책, <생각을 잃어버린 사회>에서 그 답을 찾아본다. 러셀은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고 권위에 대항하는 태도를 견지했다. 이런 태도는 그의 독립적이고 비판적인 정신으로부터 나왔다. 그는 헤겔이 자신의 철학을 너무 모호하게 제시했고 사람들은 그것이 심오하다고 생각했다”(p. 41)고 냉소적으로 비판한다. 헤겔의 변증법은 논리적이라기보다 수사학적이며 지나치게 형이상학적이다. 또한 헤겔의 정치철학은 프로이센 같은 전체주의적 국가를 정당화한다. 이런 이유로 러셀은 헤겔의 철학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그는 좌파건 우파건 교조주의에 굴복해서는 안 되며, 개인의 자유, 학문의 자유, 상호 관용의 가치를 굳게 믿어야 한다”(p. 56)고 힘주어 말한다.


그의 글은 정치적으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오늘의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점이 많다. 그는 증거가 없으면 판단을 유보하도록 훈련”(p. 67)받아야 독선적 지도자들에게 끌려다니지 않을 수 있다고 말한다. 불확실성을 견디고 판단을 유보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지금 우리 사회는 진영 논리에 함몰되어 있다. 자기 진영의 주장은 무조건 옳고 상대 진영의 주장은 무조건 잘못되었다고 하며, 상대 진영을 악마화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합리적인 토론의 장이 많아져야 하지만, 정치인들부터 광장으로 나아가 모호한 수사로 선동을 일삼고 있으니 갈등은 더욱 깊어지는 것이다. 우파든 좌파든 절대적 권위를 가지고 민중을 선동할 때, 사회는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다. 합리적이고 명료한 생각이 사라지고 진영 논리가 힘을 얻을 때, 그 사회는 개인의 자유가 심각히 훼손된다. 러셀이 계속 강조하듯, 이럴 때일수록 우리는 신중하고 정확하게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고, 넓고 객관적으로 삶의 목표를 바라보아야 한다. 러셀은 일시적 명성, 금전적 보상은 재능있는 사람들에게 거부할 수 없는 유혹이 된다고 경고한다(p. 131). 이 유혹에 넘어가면 최선의 생각을 하지 않고 대중의 의견에 맞추려는 경향이 생긴다. 따라서 지도자들은 시대의 흐름에 휩쓸리지 않도록 단순함과 명료함을 갖추어야 한다. 러셀은 마지막 장에서 아인슈타인을 세속적인 유불리를 고려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생각하는 단순함을 가진 과학자로 평가한다(p. 277).


이 책의 논점을 요약한다면, 정확하고 독립적인 비판 의식을 가지고 개인의 자유를 해치는 맹목적인 애국심, 전체주의, 종교의 권위를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과학이나 철학이 사회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하지만, 그것들이 남용될 수 있다는 사실도 러셀은 직시하고 있다. 책을 덮으면서 나는 이런 질문을 던져본다. 러셀의 주장처럼, 단일정부 아래 세계가 통합되면 인류의 미래는 환히 밝아올까? 도대체 세계의 단일정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나 할까? 그는 세계 평화를 위해 무력이나 무력 행사도 때론 필요하다고 확신한다. 그러나 이는 개인의 자유를 심각히 침해하는 것은 아닌가? 이 모든 어려움은 과학이 발전하고 인간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법을 배우면 해결될까? 과연 과학과 철학이 인류를 구원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