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고릿적 몽블랑 만년필>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나의 고릿적 몽블랑 만년필 - 오래된 사물들을 보며 예술을 생각한다
민병일 지음 / 아우라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옛 물건 속에서 삶의 지혜를 찾아내는 예술
우연한 기회에 내가 사는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화가를 만났다. 그가 거쳐하는 곳을 찾은 사람들은 젊은 국악인들이었고 나는 우연이 그 자리에 합석하게 된 것이다. 그는 젊은 국악인들에게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가 된다면 세상에서 성공한 누구와도 어께를 나란히 할 수 있다면서 ‘한 분야에 정통하면 통한다.’고 했다. 그 자신도 화가로 그림을 그렸으며 ‘죽설원’이라는 정원을 그렇게 가꾸었다고 한다. 그렇기에 자신은 그 누구와도 당당하게 만날 수 있다는 것이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본성을 충실한 것이 어쩌면 예술인의 본질이 아닌가 싶다. 그렇게 예술분야에서 삶을 꾸려가는 사람들 눈에 보이는 세상은 어떨까? 하루살이가 벅찬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 내 일반인들의 그것과는 분명 다른 무엇인가가 있을 것이다. 풍경하나 물건하나를 보더라도 예술적 감상에 기초한 사람들의 아름다운 본성을 발견하는 그 눈이 부럽기만 하다. 

민병일은 그런 사람처럼 보인다. 세상의 모든 것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본성이 깃든 무엇으로 보는 사람이 아닐까 싶다. 그렇기에 유학생활이라는 어려운 과정에서 자신과 사람들의 마음속에 깃들어 있는 그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그것이 담긴 물건을 사고 또 보관하며 예술적 감성을 보듬어 온 것이리라. 

‘나의 고릿적 몽블랑 만년필’은 저자가 독일 유학생활에서 벼룩시장과 엔티크시장을 발품 팔아 다니며 모았던 ‘물건’들에 얽힌 이야기와 그 과정에서 보고 느낀 독일 사람들의 삶의 방식을 전해주고 있다. 물론 단순히 전달하는 차원이 아닌 그 속에서 발견한 사람들의 삶의 지혜를 이야기 한다. 

무엇이든 자신이 보고 싶은 것을 보게 된다. 저자가 그런 마음으로 찾아낸 물건으로는 고서, 그림, 램프, LP 음반, 습도계, 편지 개봉칼, 무쇠촛대, 타자기, 펜촉, 진공관 라디오 등 사람들이 살아가는 동안 일상을 함께해온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일상의 감성이 녹아 있으며 그 시간을 고스란히 담아온 물건들에서 저자가 보고 싶은 것은 무엇이었을까? 

연필하나에서도 그 연필이 다 닮도록 기록한 한 사람의 삶을 발견하고, 편지 개봉칼에서는 연인의 마음을 찾고, LP판의 재킷에서는 반세기 동안 음반 디자인이 변모해온 과정을 발견한다. 이렇듯 옛 물건, 오래된 물건에는 시간이 담겨 있다. 그 담긴 시간에는 사람들의 마음이 서려있는 것이다. 저자는 그렇게 찾아낸 물건들에서 시간 속에 스며들어 있는 사람들의 그림자를 찾아낸다. 그가 찾아낸 사람들은 음악, 미술, 문학 등 사람의 아름다운 본성을 일깨우는 것들로 가득 차 있다. 

예술인의 눈으로 예술적 감성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은 이렇게 그 속에 녹아 있는 인간의 본성인 아름다움을 찾아가는 것이리라. 그 아름다움을 눈과 귀를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현상적이고 물질적인 것만은 아님을 안다. 그 속에 깃들어 있는 삶의 철학, 정신을 바라보고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에 어떻게 구현해 나갈 것인지를 밝혀내는 것이 될 것이다. 그렇게 찾아갈 수 있는 것은 이 글 속에 담겨 있는 자자의 다양하고 깊이 있는 예술적 소양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으리라 짐작하게 된다.

한 분야에서 자리를 잡고 그것도 예술인으로 살아가는 사람이기에 삶을 성찰하는 깊이가 무게감으로 다가온다. 이 책을 접하는 동안 독자들은 특정한 물건을 매개로 예술의 세계를 안내하는 자자의 독특한 감성을 만나는 즐거운 시간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