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말고는 아무도 만나지 않았기 때문에 시간은 흐르지 않았고 난 전혀 성장하지 못한 것 같아. 그래서 넌 내가 지루했을까 아니면 실망했을까.

- 나일선 <from the clouds to the resistance> - P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지막 몰입 - 나를 넘어서는 힘
짐 퀵 지음, 김미정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성공과 실패의 차이는 시도를 하느냐 않느냐의 문제라기 보다는 당장의 실천을 얼마나 오래도록 유지하느냐 못하느냐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자기계발서에 매달리지만 정작 그 계발서가 원하는 바를 끝내 오래도록 실천하는 주체는 몇 되지 않는다. 성공하는 자가 소수인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이 책에서 그리는 초상은 플라뇌즈가 단순히 플라뇌르의 여성형이 아니고, 플라뇌즈라는 자체의 개념으로 인지하고 그로부터 영감을 받을 수 있는 존재인을 보여준다. - P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먼지 아기 한국희곡명작선 83
박주리 지음 / 평민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 좋은 희곡들이 오로지 무대상연이라는 본연의 목적성에만 귀의되지 않고, 읽을거리로 사람들에게 풍성하게 선택되어지기를. 하여 이러한 100자평이란 공간에도 사람들의 귀중한 생각괴 느낌들공간차곡차곡 쌓여가기를... 희밍하고 희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지음, 이영의 옮김 / 민음사 / 199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억압을 딛고 세계적인 작가가 된 러시아의 양심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실제 경험에서 나온 사실적인 묘사와 기막힌 반어법, 간결한 문장을 바탕으로, 한 개인의 비극적 운명을 통해 지배 권력의 허상을 적나라하게 폭로한 소설.
(책표지에서)

......

단 하루의 이야기.

하지만 그 하루에는 이 소설의 중심인물인 이반 데니소비치 슈호프가 살아온 또는 견뎌온 일생이 오롯이 담겨있다. 그 일생은 그의 의지가 이끄는 삶에서 의지가 전혀 고려되지 않는 삶으로의 전복이며, 그 전복에 의해 (그 전복을 일삼은) 구 소련의 절대 억압적 역사와 지배 권력의 허상이 고스란히 까발려진다.

이 소설을 통해 과거 러시아의 역사를 헤아려 봄직한 도전 의지도 일지만, 그 보다는 절대 억압적 환경에서도 결코 잃지 않는 한 인간의 살고자하는 의지(어쩌면 이 의지는 주체적인 저항이라기 보다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을 어떻게든 버텨낼 수밖에 없는 연약한 떨림에 불과한 것이라 할 것이다)와 비록 보잘 것 없음으로도 치부될 만큼의 자유를 놓지 않는 한 인간의 이야기를 읽어내는 것이 우선일지도 모르겠다.

고전이 갖는 가치 속에는, 그 어떠한 고전일지라도, 인간 그 자체에 대한 것이 배제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이 소설 또한 한 인간을 고스란히 읽어내야 하는 의무감(?)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수용소의 하루.

당장에, 아니 평생을 거론하더라도 슈호프와 같은 상황을 결코 경험해 볼 수는 없겠으나... 그 하루가 지독하고 끔찍하며 잔인한 것임을 몸서리치게 느끼는 순간 한 인간의 위대함을 절실하게 깨닫게 된다.

......

여담이지만, 개인적으로 이 소설 속에서 발견한 ˝한국에서 일어난 전쟁에 대하여 입씨름을 벌이고 있다˝라는 한 문장으로 인해 외국의 고전에서 한국 전쟁이, 한 단어에 불과했지만, 언급된 것이 괜히 신기했던 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