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소비는 없다
최원형 지음 / 자연과생태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착한소비는없다
#최원형
#자연과생태
#똑똑한소비는있다


......


✏️
작가 최원형은 주저함 없이 강조한다.

자연은 영원히 이용 가능하고 풍부하며 관대하리라 전제하고, 그 누구도 자원 고갈을 염려하지 않으며 쓰레기의 행방을 알려 하지 않습니다. 우리에게는 소비 방식, 나아가 우리 삶 전체에 대한 통찰이 절실합니다. 지금 이 환경을 미래 세대가 이어 살아가야 할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소비한다는 건 지구에 있는 무엇인가를 쉼 없이 착취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러니 착한 소비란 있을 수 없습니다.


✏️
지극히 자연스러운 행동으로 자각조차 없는 우리 일상의 소비 행동. 단지 내 지갑 또는 통장에 잔고가 얼마인지에 따라 살 것인가 말 것인가를 고민할 지언정 그 소비 행위로 말미암은 지구환경적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 거리낌이 없다.

과연 우리는 제대로 소비 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것일까?

이 책 <착한 소비는 없다>는 이 물음에 대해 단순하면서도 명쾌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작가 최원영은 자신의 일상에서 보고 듣고 경험한 일들을 바탕으로 소비에 대한 일상적 문제점을 지적한다. 하지만 그 일상의 문제들은 비단 일상적이지 않음을 자각케 한다. 일상의 문제들이 현재 사회적으로, 국가적으로, 세계적으로, 심지어 지구적으로 얼마나 큰 위기로까지 닿아있는지를 명확하게 제시한다.

하지만 그의 주장은 거창하다거나 지금까지 전혀 몰랐던 것들을 피력하는 것이 아니다.

이미 누구나 몸소 느끼고 있거나 이런 저런 경로로 인식하고 있던 사안들을 보다 실질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시할 뿐이다.


✏️
이 책은 앞에서 언듭했듯이 작가의 일상에서 비롯되는 이야기다. 그래서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작가는 명확한 근거를 통해 사실적 내용을 제시한다. 그것으로 우리가 앞으로 무엇을 고민하고 어떠한 행동을 취해야 할 지를 스스로에게 자문하게 만들기도 한다.

그런데 그런 과정이 단순명료하면서도 무척이나 자연스럽게 진행된다. 이것이 이 책이 가지는 힘이다.


......


📖 132쪽
2010년 기아와 영양실조로 죽은 사람은 총 100만 명인데 비만으로 죽은 사람은 300만 명이나 됩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 바람이어라 한국희곡명작선 97
도완석 지음 / 평민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하늘바람이어라
#도완석
#평민사
#한국희곡명작선97


......


✏️
희곡 <하늘 바람이어라>는 고려 명종 때의 이야기다. 이야기의 중심에는 1176년에 일어난 ‘망이•망소이의 난‘이 자리하며, 당시 정권을 장악하고 있던 정중부를 필두로 한 무신들의 폭정을 척살하고자 경대승이 일으킨 1179년의 기해정변이 곁가지로 자리한다.

역사적 이야기의 희곡은 읽는 재미 뿐만 아니라 미쳐 잊고 있었던 역사를 다시금 기억케 하거나 몰랐던 역사를 제대로 되새기게끔 한다. 특히 희곡은 역사 교과서와 같은 지식적 전달을 넘어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상상할 수 있는 이미지화를 가능케 함으로써 역사를 보다 실제처럼 느낄 수 있게 하는 힘도 가진다.

이것이 희곡, 특히 역사적 이야기를 전하는 희곡을 읽는 매력일 것이다.


✏️
희곡 <하늘 바람이어라>는 짤막한 16개의 장면이 숨가쁘게 진행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래서 발빠른 장면 전환을 위해 작가는 회전무대를 제시한다. 또한 특이한 점은 정작 최소 29개의 배역을 단 9명의 의해 연기되어지도록 배우의 수를 한정지었다는 것이다.

작가의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는 없지만, 아마도 자신의 희곡이, 특히 세상에 기억되길 원하는 역사적 이야기가 쉬이 공연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30여 명의 배우를 동원하려면 제작비가 만만치 않을 것이다. 배우 수 뿐만 아니라 그만큼 따라야할 무대의 크기나 그 무대를 채워야 할 기술적 장치의 규모 또한 적지 않을 테니 그에 준하는 제작비는 그만큼 큰 규모여야 할 테니 말이다. 하지만 9명의 배우라면, 이도 열악한 극단에서는 만만찮겠지만, 공연화를 고려해 볼만할 것이다.

다만, 9명의 배우로 극의 스피디한 전개와 임펙트한 장면을 구축하려면 마땅히 재능 있는 연출력이 전제되어야 하겠지만...


......


📖
-경대승
정녕 그대는 이 봉기가 성사될 것이라 믿었더냐?

-망이
(천천히 고개를 들며) 지는 거사에 대한 성사여부에 대해선 단 한번도 욕심을 내본 적이 없었시유! 오로지 천것이라 불리는 지들 소사람들의 굶주림을 면해볼라고 빼앗긴 양식을 도로 찾고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시상 좀 만들어 달라고 고함을 친 것 뿐잉께요. 그게 다였시유.

-경대승
그래? 그래도 조정의 항거는 국역이오 반역인줄 몰랐드란 말이냐?

-망이
배움이 없응께 알 턱이 없지유. 긍께 마라서 우덜 천것들 한테도 글을 갈켜주고 배움을 주셨더라면 세상이치의 옳고 그름을 진즉 알았을 거이고 또 천것들 풀뿌리 캐먹는 양식 그거시 뭐 그리 대단타고 때리고 짓밟붐서 빼앗아 갔는지 몰라도 그런 일만 없었어도 이런 사단은 없었겠지라!

---------- 장면 15 中에서 (55~56쪽)


......


✏️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말이 있다.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역사는 무엇일까?

역사적 사건일까? ‘망이•망소이의 난‘처럼 역사적 사건, 그 사실을 기억해야 하는 것일까?

아마도 정작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그 사건 속에서 숨쉬고 있었던 이들, 즉 ‘사건‘이라기 보다는 ‘사람‘일 것이다.

특히 사건에 가려져 이름조차도 기억되지 못한 채 잊혀져 간 사람들, 그 사람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믿고 싶구나. 아니 믿는다. 하지만 세상에 절대적 믿음이란 결코 없다는 것 또한 잘 안다. 이 얼마나 웃긴 일이냐? - P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년 기아와 영양실조로 죽은 사람은 총 100만 명인데 비만으로 죽안 사람은 300만 명이나 됩니다. - P1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톡홀름 중앙역 환기 시스템은 역을 오가는 하루 평균 승객 25만 명의 체열을 모아서 지하 탱크에 있는 물을 덥힙니다. 따뜻해진 물은 관을 통해서 중앙역 인근에 있는 한 건물의 난방용으로 쓰입니다. - P59

정말 필요해서 만든 물건인지, 필요를 만드는 물건인지 두 ‘필요‘의 차이를 잘 살펴야 할 것 같습니다. - P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