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지음, 이영의 옮김 / 민음사 / 199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로 표현하기조차 버거운 혹독하고 처절한 억압과 온전한 자유마저 박탈당한 역경 속에서도 결코 좌절하지 않고 마지막까지 놓지 않는 한 조각 희망으로 살아남은 한 인간의 하루를 통해 우리는 살아가야 할 삶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지음, 이영의 옮김 / 민음사 / 199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억압을 딛고 세계적인 작가가 된 러시아의 양심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실제 경험에서 나온 사실적인 묘사와 기막힌 반어법, 간결한 문장을 바탕으로, 한 개인의 비극적 운명을 통해 지배 권력의 허상을 적나라하게 폭로한 소설.
(책표지에서)

......

단 하루의 이야기.

하지만 그 하루에는 이 소설의 중심인물인 이반 데니소비치 슈호프가 살아온 또는 견뎌온 일생이 오롯이 담겨있다. 그 일생은 그의 의지가 이끄는 삶에서 의지가 전혀 고려되지 않는 삶으로의 전복이며, 그 전복에 의해 (그 전복을 일삼은) 구 소련의 절대 억압적 역사와 지배 권력의 허상이 고스란히 까발려진다.

이 소설을 통해 과거 러시아의 역사를 헤아려 봄직한 도전 의지도 일지만, 그 보다는 절대 억압적 환경에서도 결코 잃지 않는 한 인간의 살고자하는 의지(어쩌면 이 의지는 주체적인 저항이라기 보다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을 어떻게든 버텨낼 수밖에 없는 연약한 떨림에 불과한 것이라 할 것이다)와 비록 보잘 것 없음으로도 치부될 만큼의 자유를 놓지 않는 한 인간의 이야기를 읽어내는 것이 우선일지도 모르겠다.

고전이 갖는 가치 속에는, 그 어떠한 고전일지라도, 인간 그 자체에 대한 것이 배제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이 소설 또한 한 인간을 고스란히 읽어내야 하는 의무감(?)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수용소의 하루.

당장에, 아니 평생을 거론하더라도 슈호프와 같은 상황을 결코 경험해 볼 수는 없겠으나... 그 하루가 지독하고 끔찍하며 잔인한 것임을 몸서리치게 느끼는 순간 한 인간의 위대함을 절실하게 깨닫게 된다.

......

여담이지만, 개인적으로 이 소설 속에서 발견한 ˝한국에서 일어난 전쟁에 대하여 입씨름을 벌이고 있다˝라는 한 문장으로 인해 외국의 고전에서 한국 전쟁이, 한 단어에 불과했지만, 언급된 것이 괜히 신기했던 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년의 고독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4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조구호 옮김 / 민음사 / 200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남자들의 의해 지워지고, 쓰여진다. 그러는 중에 오롯이 역사의 격변을 감내하는 몫은 여성들의 것이다. 이 책은 호세 아르까디오 부엔디아 가문, 그리고 남자들에 대물림되는 가계도의 역사성보다는 그 속에서 꿋꿋이 가문을 지켜내는 우르술라의 서사성에 보다 큰 의미가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스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67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 펜데믹 시대에 우리가 찾아야 할 본질적 인간상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 페스트가 창궐하는 상황에서도 놓지 말아야 할 타인에 대한 인간애. 한 개인의 생존, 그리고 타인의 생존, 더 나아가 인류의 생존에서 우리가 선택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를 진지하게 고민하게 만드는 까뮈의 <페스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