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을 다하면 죽는다 총총 시리즈
황선우.김혼비 지음 / 문학동네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언제나 가까운 미래를 염두에 둔 채 살아간다. 시간에 대한 거리감이 없는 우리로서는 가까운 미래를 곧 닥칠 현재로, 비교적 먼 미래는 영원히 오지 않을 가상의 세계쯤으로 인식하는 게 다반사이다. 그런 까닭에 오롯이 현재에 머물지 못하는 것은 물론 가까운 미래가 현재인 양 인식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모든 이들이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 딱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죽음'이다. 비교적 먼 미래로 인식되는 젊은이들도, 아주 가까운 미래로 생각해야 마땅한 노인들에게도 '죽음'은 언제나 가까운 미래이면서 또한 영원히 도래하지 않을 듯한 까마득히 먼 미래인 것이다. 그래서 죽음은 늘 우리 곁에 있으면서 실재하지 않는 어떤 것이 되고 만다. 죽을 만큼 힘들 때도, 죽지 못해 살아갈 때도, 이별 후 죽고 싶었던 어느 젊은 날에도, 죽을 만큼 심심했던 어느 휴일 오후에도 '죽음'은 가깝고도 먼 미래였다. 그야말로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어서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 바로 '죽음'인 것이다.


"『빅토리 노트』에서 이옥선 작가님은 노자의 사상을 인용해 '최선을 다하면 죽는다'고 경고했습니다. 다 같이 잘 사는 사회를 위해서는 지나친 열심과 부지런을 금지하고 대신 한 템포씩 느리게 가자고 이야기합니다. 저보다 한참 오래 산 선배가 조금 느긋해도 된다고 얘기해주는 게 참 마음이 놓여요."  (p.35)


김혼비 작가와 황선우 작가 사이에 오고 간 편지를 모아 묶은 서간에세이 <최선을 다하면 죽는다>는 우리에게 잊혀진 아날로그 감성을 일깨우는 책이다. 지금은 거의 사라지다시피 한 편지. SNS의 즉각적인 문자 메시지가 일반화된 작금의 현실에서 누군가를 떠올리며 한 자 한 자 편지를 쓰고, 답장을 기다린다는 건 꽤나 답답하고 지루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지금은 사라진 라디오 드라마가 그렇듯 소리만으로 극 중 인물과 상황을 떠올리며 상상의 세계에 빠져드는 것처럼 편지지를 수놓은 빼곡한 글씨를 통해 상대방의 얼굴과 감정을 상상하고 느낌을 공유할 수 있다는 건 무척이나 가슴 설레는 일이다. 물론 겪어보지 못한 사람은 그 느낌을 알 수 없겠지만 말이다. 그러므로 편지를 쓴다는 건 현재에 안주하지 못하고 오직 미래를 향해 달리려고 하는 현대인의 불치병, 조급증을 치료하는 데 꽤 효과적인 방법으로 쓰일지도 모른다.


"몇 달을, 특히 여름을 번아웃 상태로 통과하면서 번아웃은 그 자체로도 문제지만, 번아웃이 일 효율을 깡그리 앗아가는 통에 한 번 붙든 일이 끝나질 않아 마음놓고 놀거나 쉴 시간까지 사라지는 게 가장 문제라는 걸 알게 되었어요. 휴식과 저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다리마저 불태워 없애버리는 게 번아웃이더군요."  (P.63)


책의 제목에서 느껴지는 것처럼 두 사람 사이에 오가던 편지에는 남에게 내보이지 못했던 자신의 고민이 조심스레 내비치기 시작했고, 세상 사람들이 김혼비 작가에게 늘 작가와 직장인으로서의 삶을 어쩌면 그렇게 현명하게 잘 적응하느냐 묻지만, 실은 그렇지 못하다고, 오래전부터 번아웃에 시달려왔음을 편지에 쓰게 된다. 선우씨, 혼비씨 하는 상대방을 부르는 호칭조차 어색하기 짝이 없었던 두 사람이 자신에게 있는 내밀한 이야기를 서로에게 스스럼없이 내보일 수 있는 단계까지 나아갈 수 있었던 건 아마도 편지가 갖는 기본적인 속성 때문이 아닐까 싶다. 상대방을 생각하며 단어 하나에도 온 신경을 집중하기도 하지만, 답장을 기다리며 어떤 내용의 편지를 받게 될지 머릿속에서 수없이 많은 이야기들이 쓰고 지워지는 경험을 겪게 되는 동안 속절없는 기다림의 가치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우리들 각자는 스스로 깨우치게 된다. 더불어 편지란 서로 주고받는 것이지 자신의 편지를 통해 상대방을 이겨먹거나 으스대기 위한 도구로 쓰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절실히 깨닫게 된다.


"혼비씨,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이 아니라 꺾이지 않는 몸이었어요. 제가 계속 내일을 기대하며 낙관적으로 살아온 건 대단히 의지가 강한 인간이어서가 아니라 꺾이지 않는 식욕 덕분이었던 거죠. 제 태도나 생각이 개방적이었다면, 많은 부분은 활짝 열린 혀와 위장으로 세상과 만나겠다는 자세에서 왔을 거예요."  (p.175)


단순한 에세이를 통하여 자신의 속내를 드러내는 것과 편지라는 특별한 양식을 통해 다정한 이에게 상담하듯 조금씩 조금씩 털어놓는 것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아무것도 아닌 듯하지만 편지라는 특별한 형식은 읽는 이로 하여금 과거의 특별한 기억마저 함께 소환하는 까닭에 텍스트에 담긴 의미에 더하여 독자의 경험과 그때의 감정까지 함께 느끼도록 하는 효과를 준다. 특히 인터넷이 없던 아날로그 시대를 살았던 세대에게는 그 시절의 향수를 강하게 느끼게 한다. 더구나 글을 쓰는 일이 본업인 작가에게 있어 편지란 얼마나 유용한 도구이며 얼마나 되찾고 싶은 감성일지...


"더 놀라운 것은 초반에는 (목탁이 필요할 정도로) 조금 헤맸지만 시간이 갈수록 점점 편지 쓰는 일이 정말 즐거워졌다는 것이다. 이래서 편지를 쓰는구나. 다들 이런 마음으로 썼겠구나. 편지를 쓴다는 것은, 쓰는 동안만이 아니라 쓰기로 마음먹은 그 순간부터 편지를 받을 상대방을 계속 생각하게 되는 일이라는 걸 이번에(이제서야!) 알았고, 떠올릴 때마다 웃음과 기운이 나는 사람을 자주 생각하는 게 얼마나 삶을 즐거운 방향으로 이끄는지를 새삼 온 마음으로 느낀 1년 남짓의 여정이었다."  (p.216)


4월도 다 가고 만 지금은 이팝나무의 계절. 순쌀밥(이밥)처럼 흰 꽃들이 풍성하게 피고, 우리는 이 계절에 배달된 배불렀던 기억들을 꽃잎에 적힌 사연인 양 읽고 또 읽는 것이다. 봄마다 피는 꽃은 지난 기억들을 담은 한 통의 편지. 우리는 그 편지를 사진에 담고 다음에 올 봄을 기다리며 또 한 해를 견딘다. 꽃잎에 담긴 기억의 편지 한 통을 우리는 내년 봄의 자신에게 아쉬운 마음을 담아 부친다. 4월이 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