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면보고서]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내면 보고서
폴 오스터 지음, 송은주 옮김 / 열린책들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에세이를 읽는 동안 머릿속에는 나의 일상이 글처럼 흐를 때가 있다. 나도 책을 쓴 저자처럼 이런 유형의 글을 잘 쓸 것만 같은 거만한 생각이 들다가도 이런 책을 만나면 잠시 그런 어쭙잖은 마음을 내려놓기도 한다. 너무도 유명한 폴 오스터의 책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 실상은 깊게 읽은 책이 몇권 되지 않는다. 그의 소설이 매력적이었기 때문에 에세이는 또 어떨까 참 궁금했다. 그의 <겨울 일기>를 읽지 못했다. <내면 보고서>는 그 책의 연장선에 있다고 하니 아무래도 같이 읽어줘야 폴 오스터의 삶을 더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을 것 같다.
사람은 자신의 인생을 몇 살부터 기억하고 있을까? 내가 생각나는 나의 유년시절은 일곱 살 정도부터 였던것 같다. 집으로 들어서기 전에 언덕이 하나 있었는데 밤에 넘어져서 굴러 양쪽 무릎이 까져서 오랫동안 빨간약을 바르고 다녔었다. 여자 애가 큰 상처를 입었다고 속상한 엄마의 잔소리는 하루로 끝이 났지만 그날의 상처는 아직도 남아 있어서 간혹 짧은 바지를 입고 나가면 사람들이 어디서 다친 것이냐고 물으면 그때서야 나의 철없던 일곱의 나이가 생각이 나고, 그때 우리 가족이 옹기종이 모여 살았던 작은 양옥집이 떠오르며 그리고 그 집을 돌아 다녔던 어느 여름날의 추억과 함께 그때의 소꿉놀이 했던 친구들의 얼굴이 떠오른다. 이정도가 나의 유년 시절의 처음일 것 같다. 이렇게 사소한 일들만 생각이 나고 더 이상의 아름답거나 우울했던 일이 없었던 아주 평범한 아이의 나날에 비해 폴 오스터의 유년 시절은 특별하다.
왜 자신의 유년시절과 자신의 과거를 2인칭으로 서술 했을까 생각해보니 나름의 객관화를 가지려고 하지 않았을까. 자신의 미화 시키려고 하지 않고 그저 내가 나를 관찰하며 지켜보았고 그것을 더 담담하게 풀어 놓기 위한 그의 선택이었겠지만, 읽는 동안 2인칭 시점이 익숙하게 다가오지 않아서 사실 책을 읽는 동안 답답했다.
그가 기록한 그의 유년기와 청소년기, 그리고 청년기를 맞이하는 이 [내면 보고서]속에서 그는 자신을 또 하나의 화자로 만들어 놓고 자기 자신의 모습을 기록하고 있다. 간혹 자신의 어두웠던 과거를 끄집어내서 기록한다는 것은 참 쓸쓸한 일이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폴 오스터의 이 기록들은 냉철한 부분도 있다.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우울한 부분을 아버지를 더 나쁘게도 그려 낼 수 있을 텐데 그는 그의 아버지를 그저 먼발치에서 관찰해서 말하는 것처럼 쓰고 있다.
그의 유년기와 청소년기가 다소 길게 지루한 부분이 있는 반명, 대학시절의 얘기는 다이나믹하다. 그의 [빵 굽는 타자기]를 재미있게 읽는 독자로서 그가 타자기로 글을 썼다는 부분들이 나오면서 그의 일상이 기록된 부분이 있다. 이런 기록들은 반가웠다. 아, 내가 읽은 그의 책이 이렇게 탄생했구나, 하는 나름의 탄식이 쏟아져 나오면서 마치 그의 미지의 글 세계에 빠져 아무도 찾지 못한 보물을 나 혼자 건져 온 것 같은 기분이라고 할까.
사실 작가들이 에세이를 모두 다 잘 쓰는 것은 아닐 것이다. 소설이 훨씬 더 매력적인 사람이 있고 에세이를 통해 몰랐던 작가의 매력을 찾아내는 사람도 있는데 내게는 에세이보다 소설이 훨씬 매력적인 폴 오스터로 더 기억이 될 것 같은 책이었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