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과 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미술과 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볼프강 카이저 지음, 이지혜 옮김 / 아모르문디 / 201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받아들고 표지에 심취했다. 이 기괴하고 요상한 그림은 무엇이란 말이냐. 너무나 많은 상징을 가지고 있는 그림이라 이해하지 못하는 나 스스로의 자괴감을 피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은 마음이 간절하기만 하다. 불편하고 쉽게 와 닿지 않는 그림들이나 영화의 한 장면들은 빨리 지나쳐 버리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다.

지극히 정상적인 것들만 좋아하는 평범한 나 같은 사람들은 영화도 피 철철 넘치는 하드고어 장르는 피해서 선택해 보는 편이다. 그림 또한 예쁜 것만 좋아하는 것은 아니지만 스스로를 다독일 수 있는 그런 그림들을 보고 있는 순간을 즐긴다고 볼 수 있겠다. 문학 또한 스릴러 장르와 내가 맞지 않는 부분도 영화를 고르는 기준과 부합한다. 이런 예술 장면 속에 지극히 평범하지 않는 부분들, 그로테스크한 부분을 배제 한다면 예술이 자유로워 질 수 있을까.

문학과 영화, 그림들 속에 그로테스크한 부분들이 삽입되면서 좀더 자유롭고 큰 범주를 넘어 설 수 있었던 것 같다.

 

<미술과 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라는 책은 명제를 확실히 하고 시작한다. 우리가 말하는 그로테스크란 무엇인지 설명하면서 시작하는 것은 방대한 예술 분야를 들어가기 위한 범위를 정하는 것과 같다.

 

“이 책의 목적은 다소 어렴풋하게나마 이어져 온 용어의 역사에 기대어 그로테스크가 과연 무엇인지 정의를 내리는 것이다. 이 원칙을 기준 삼음으로써 주제의 범위는 물론 15세기 후반부터 현대까지로 시간적 범위도 한정할 수 있었다.” (P26)

 

"그로테스크[grotesque]: 이탈리아어 ‘그로타(grotta, 동굴)’에서 유래한 말로 15세기 말 로마를 비롯한 이탈리아 곳곳에서 발굴된 특정한 고대 장식미술을 지칭하는 용어.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괴기한 것, 극도로 부자연한 것, 흉측하고 우스꽝스러운 것’ 등을 형용하는 말로 사용된다." (P42)

 

독일의 문학 평론가 볼프강 카이저가 1950년대에 펴낸 이 책의 현대 미술과 문학에 포함된 부분은 21세기와는 사실 많이 동떨어져 있는 부분도 있다. 50년대에 모은 자료들의 정의를 부정 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대 부분의 예술 부분들은 벌써 근대에 있는 범주에 속해 버렸기 때문이다. 볼프강이 느꼈을 현대의 예술은 이제 근대의 예술이 되었고 그렇게 놀랄 만큼 그로테스크가 아니다. 언젠가 일본의 영화감독의 영화 한 장면을 보면서 경악 할 수밖에 없었던 그 부분 또한 볼프강이 정의한 그로테스크라고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예술 이론서를 만날 때마다 미학 부분에 너무 부족한 학식이 부끄럽기까지 하다. 그렇다고 그런 마음을 먹으며 더 매진하며 책을 읽을 수 있는 열정이 없다는 것에 더 부끄러운 것인지도 모르겠다.

저자가 광범위한 예술의 범주 안에 그로테스크가 자리 잡은 부분과 그로테스크의 확장으로 인한 예술의 완결성을 얼마나 가지게 되었는지 그 부분도 알기가 쉽지 않은 부분이다.

 

많은 예를 들어 놓은 작품 속에 가장 와 닿았던 작품은 당연히 카프카였다. 그 이후의 작품들과 작가들에게는 사실 1950년대에 나온 이 책의 예들이라면 상당한 고전들인데 그 고전들을 만날 수 없었던 내 지난날이 아쉽기만 했다고 해야 할까.

 

예술 범주 안에서 만나게 되었던 그로테스크의 범주들은 점점 확장되고 있다는 것만 확실히 느낄 뿐, 저자가 내세운 미술 작품역시 많이 접하지 못했던 부분이라 아쉽기만 했다.

손철주 작가의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는 작품의 제목을 탓한 적이 있었는데 어쩜 그 말이 맞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