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그림 보면 옛 생각난다] 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옛 그림 보면 옛 생각 난다 - 하루 한 장만 보아도, 하루 한 장만 읽어도, 온종일 행복한 그림 이야기
손철주 지음 / 현암사 / 2011년 5월
평점 :
<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을 읽어본 사람들이라면 우리 그림에 대한 남다른 생각들을 더 많이 할 것 같다. 그리고 <옛 그린 보면 옛 생각난다.>는 이 책을 만나고 나면 이상하게도 오주석의 책들이 더 그리워지는 것은 무슨 이유 일까.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는 책을 이미 스테디셀러로 만들어 낸 저자 손철주의 또 다른 그림 감상에 관한 책은 여백의 미를 느껴야 하는 우리 그림의 긴 여백의 의미를 부여 넣어주고 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로 나눠 놓은 주제에 따라 그림들을 분류하고 그림들을 감상해 나가는데 꼭 이 주제가 필요하지 않을 것 같다. 그림을 소개하고 그림의 시대적인 상황과 그것에 따른 해석을 하는 책이 아닌 만큼 자유롭게 읽을 수 있어서 분류는 의미가 없다. 한편의 그림, 그림에 대한 저자의 생각에 간혹 쓰지 않는 우리나라 단어들을 만나는 즐거움도 함께 맞는다. 이런 단어들이 있었을까 생각되는 사라지는 단어들과의 조우도 그림과 함께 만나는 새로운 발견이다.
손철주의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는 책은 사실 내게는 많이 공감이 가지 않았던 책이었다. 무엇보다 제목부터 마음에 들지 않았다. 아는 만큼 보이지 않을 수 있다는 부분, 그리고 느낀 만큼 보일 수 있다는 반론을 들 수 있는 제목이라는 생각에 미천한 독자의 불만이었던 부분도 있었다. 그런데 이번 책은 그림에 대한 소개의 소제목에 홀랑 그동안의 반감이 사라져 버렸던 부분이 있었다.
작가 미상의 <서생과 처녀>라는 제목의 그림은 방안에 글 읽는 서생을 문 밖에 몰래 서서 지켜보는 처녀의 그림이다. 이 그림을 저자는 달아 놓은 소제목은 <연기 없이 타는 가슴>이었다. 얼마나 문학적인 표현인가. 사모하는 마음이 깊어 타들어 가는 그 가슴은 연기가 없다는 표현. 그림과 다르게 사랑스럽기까지 하다.
신윤복의 <처네 쓴 여인>의 그림은 <헤어진 여인의 뒷모습>이라는 소제목을 달아 놓았다. 여인이 어딜 가는 것인지 집으로 돌아가는 것인지도 알 수 없지만 뒤돌아 가는 여인의 모습을 보고 싶어 하는 마음은 모두가 같은 것일까. 그녀의 모습이 너무 보고 싶어서 그림을 뒤집어 보았다는 청나라 시인 진초남의 호기심에 웃을 수밖에 없다. 나 또한 그녀의 처연한 모습에 다독이고 싶어 그녀를 돌려 세워놓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니 말이다.
“불러 봐도 돌아서지 않으니 어리석세도 그림 뒤집어서 본다네.” P201
청화 백자로 만든 잔받침의 사진이 가장 눈에 들어온다. 청탁을 받는 자리에 앉은 누군가 거절을 하기위한 그 자리에 살며시 마셔본 잔 아래 깔려 있는 시구가 속마음을 들킬 것 같아 술이 넘어가지 않을 것 같다. 청탁을 하러 온 사람과 거절하는 사람과의 자리에 슬기롭게 해결하기 위한 지혜가 이런 것이 아닐까.
향수, 추억, 그리움들은 모든 사물에 담겨있다. 추억을 간직한 사물들은 살아가는 어떤 이유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잊고 있는 과거의 어떤 사람들을 꺼내 올 수 있다. 그것 때문에 괴로울 수도 있겠지만 행복해 질수도 있겠다. 그래서 오래된 물건들은 정겹거나 아득한것인가 보다. 헤어지는 여인의 뒷모습이라는 소제목의 신윤복의 그림을 보다가 오래전 누군가와 헤어지고 돌아갔던 나의 지난 모습을 생각해 내고 말았다. 그날들, 누군가와 함께하지 않았던 어떤 밤 그 밤의 시간들은 나를 기억하고 있을까. 나의 뒷모습도 그녀처럼 처연했을까.
오랜만에 수묵화의 은은한 맛을 느끼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