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로 지은 집 한국 건축]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지혜로 지은 집, 한국 건축 - 우리 건축의 구조와 과학을 읽다
김도경 지음 / 현암사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오래전부터 보았던 드라마들의 집들은 늘 한결같다. 특히 주말극이나 일일극들의 드라마속의 집들은 작은 마당이 있는 집에 건너 채까지 딸린 집에 온 가족이 모여 산다. 하지만 드라마속의 집과 다르게 우리는 마당이 있는 집보다 좁은 계단을 올라가 문을 열어야 하는 빌라들이거나 철문을 덜컹거리며 열리는 엘리베이터의 아파트에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다. 간혹 몇십 억짜리 빌라에 살고 있다는 연예인들의 집들에 대해서는 논하지 않겠다. 그들은 그들만의 세상의 집을 짓고 살고 있다고 생각하고 현실이라는 땅에 주춧돌을 놓아 기둥을 세우고 처마를 내리며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의 집은 그런 집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드라마속의 집들 때문에 언젠가 그런 얘기들을 한 적이 있다. 우리나라 드라마들이 많은 아시아 나라에 수출이 되고 있는데 물론 그들도 드라마와 현실의 간극을 이해를 하며 알아가겠지만 마당이 있는 그런 집, 처마가 내려진 그런 정겨운 집들을 모두 살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을까.

 

네모난 아파트, 빌라가 아닌 겨울이면 고드름이 얼고 비가 오면 비를 피할 수 있는 처마를 가지고 있는 집들을 구경한지가 너무 오래되었다. 그런 집들이 우리에게 주었던 정서라는 것보다 더 그리운 것은 나도 경험해보지 못한 어떤 추억이 사라져버린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그런 의미에서 내게 <지혜로 지은 집, 한국 건축>이라는 이 책속의 많은 건축들이 고마운 책이다. 사실 집을 어떻게 짓는지도 모르고 집이란 그저 하루의 일과가 끝나는 순간부터 내게 남은 시간을 소중하게 보낼 수 있는 공간이라는 것뿐, 다른 의미 속에서 찾을 수가 없었다.

 

책은 우선 평명을 다스리는 일부터 얘기를 해주고 있다. 공간을 만들기 위해 그 공간이 이루어재는 모양, 그 속에 단위 건축의 평면형이나 실 분화 특성을 지난 건축의 평면형등 평명의 유형에 대해 알려준다. 사실 이 부분에서는 책을 읽기위한 스스로의 공감이 필요했다. 책을 읽을수록 전문적인 서적이라는 느낌이 농후하면서 읽을수록 어떤 지식을 얻는다는 느낌보다 활자를 그저 읽고 있다는 생각이어서 첫 장 평면이라는 부분은 며칠을 읽고 또 읽었다.

평면 속에 드디어 집을 지울 수 있게 되었다. 집을 짓기 위해 기단을 세우고 초석을 놓는다. 이곳에서 한국 건축의 지혜를 가장 많이 엿볼 수 있었다. 막돌을 이용한 석출기법은 많은 노하우가 있어야만 자동적으로 생기는 어른들의 지혜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초석위에 드디어 기둥이 세워진다. 언젠가 보았던 배흘림기둥의 모양의 설명을 들으며 보았던 절이 있었는데 그 모양이 대체 얼마나 위대한 것인가 궁금했던 궁금증만 증폭이되었던 적만 있었지 이론서로 만나는 그 정체성은 남다르다고 할까? 읽어본 자만이 알 수 있는 놀라운 지식이라고 할 수 있겠다.

기둥위에 가구가 세워지고, 지붕이 오른다고 생각했는데 그 사이에는 공포라는 것이 있다. 지붕사이에 붕 떠 있는 곳이라고 표현을 해야 할 것 같은 그 공간, 공포라는 곳을 알게 된 것이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가진 첫 번째의 지식이었다. 그리고 지붕, 곡선을 간직해서 더욱 아름다운 우리나라의 지붕의 얘기는 참 재미있는 것들이 많았다.

 

이 책이 주는 어떤 전문적인 우리나라의 건축의 지혜를 알게 해줄 것 같은 느낌에 읽을수록 어떤 것일까 궁금했었는데 사실 그런 특별한 지혜를 느낄 수 없었던 부분이 가장 큰 딜레마를 간직한 책이라고 생각된다.

먼저 비교되는 대상이 있어야 우리 건축의 훌륭한 점을 좀 알겠는데 가까운 중국과 일본의 예들로 그것을 입증하기에 너무나 빈약한 예들이었다. 물론 다른 나라들의 예를 들며 그들의 건축과 문화를 폄하 하라는 것은 절대 아니다. 그리고 그간 우리나라의 집들이 모두 서구화 되어 버려 한옥이 거의 없다고 하겠지만 건축의 설명 대상이 모두 궁궐이나 절들이라는 것에도 안타깝다. 우리 건축의 우수성의 예로 들어주는 대상들이 궁궐밖에 안 남은 것인가 하는 생각도 들기도 했다.

 

나는 초등학교 3학년 때까지 온돌방이 있는 집에서 살았었다. 그리고 이후 아파트로 이사를 갔었는데 작은 집, 장독대도 있었고 좁은 마당도 있고 겨울이면 따뜻한 온돌방에 식구들끼리 두꺼운 밍크 이불속에 모여 텔레비전을 보았던 그때가 간혹 그리울 때가 있다. 편안하게 누워 있는 소파보다 그때의 그 따뜻함과 정겨움이 유년시절의 늘 그리운 감성을 만들어냈었다. 그래서일까 나는 늘 온돌방이 그립다. 그런 온돌방의 정겨움을 아이들이 알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