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틀러의 철학자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히틀러의 철학자들 - 철학은 어떻게 정치의 도구로 변질되는가?
이본 셰라트 지음, 김민수 옮김 / 여름언덕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를 훑다가 에필로그에 먼저 눈이 간다. 「나치사상에 물든 철학자의 사상을 가르쳐야 하는가?」 이 물음은 대단히 중요한 동시에 위험하다. 저자를 재인용하자면― 첫 번째로는 철학이 하나의 윤리적 기준을 세워야 한다는 점에서, 두 번째로 그러한 정권을 비판적으로 성찰하지 못한 사람의 사상에서 어떠한 가치를 찾을 수 있겠는가 하는 점에서 그렇다. 나치당 당원 번호 2,098,860번, 나치로부터 ‘독일에서 가장 저명한 헌법학자’로 인정받았던 슈미트. 슈미트에게 나치당 가입을 권유하고 자신 역시 당원 번호 3,125,894번을 받아들었던 하이데거. 저자가 그런 그들과 대척점에 둔 인물들은 벤야민, 아도르노, 아렌트 등이다. 슈미트는 히틀러의 숙청 사건(장검의 밤)을 두고서 가장 고결한 행정적 정의의 형태라 발언하는 등 나치 체제에서 유력한 지위를 누렸고 또 강력한 권력을 주장했다(독재까지도). 그런가하면 하이데거 또한 나치에 입당한 뒤 10년 넘게 당적을 유지했고, 프라이부르크대학 총장을 지내며 <독일 학생들에게 고함>이라는 연설을 통해 학생들에게 나치 참여를 촉구하기도 했다. 아마도 그는 나치즘의 파급력을 그리 크게 여기지는 않았던 것 같다. 머뭇거리는 확신범이랄까. 나치 때에도, 나치의 몰락 이후에도 하이데거에 대한 평가는 별반 다르지 않다. ……어쨌든 책은 나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에 교집합을 가지고 있는 자들과 그렇지 않은 자들에 대해서 기술한다. 그럼에도 한 가지 간섭해야 할 문제가 있으니 바로 처음에 던졌던 질문― 나치사상에 물든 철학자의 사상을 가르쳐야 하는가? 하는 것이다. 여기에 추가되어야 할 것은 철학(또는 소설)과 철학자(또는 소설가)가 분리 가능한지 여부이며 만약 그렇다면 그것을 구별해야 하는가, 이다. 그러므로 이 물음이 중요하고 위험하다는 것은 (아마도) 영원히 유효할 것이며, 골치 아프게도 우리는 ‘철학자의 사상에서 반드시 뭔가를 배워야만 하는가’ 하는 질문 또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질문은 상당히 난해해서 끊임없는 논쟁을 불러일으킬 것이 빤한데, 그런 까닭에 이본 셰라트는 한쪽에 치우치고 말았으며 내가 제시한 물음에도 답할 생각이 없어 보인다. 왜냐하면 책의 내용으로 보건대 나치의 이쪽 혹은 저쪽을 무 자르듯이 구분해 놓았기 때문이다. 질문하기 좋아하는 것은 철학자의 습성이며 의무이다. 그렇다면 저자는 과연 이 물음에 어떤 답을 내놓을까?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4-07-15 19: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신간평가단 하고부터 재미 중 하나가 같은 책을 읽고 다른 생각을 하는 것을 훔쳐보는 겁니다. 어떤 분은 이 책을 사대강과 연결하시기도 하더군요. 무릎 탁 쳤습니다. 여러생각을 훔쳐보느다는 게 은근 재미있습니다.. 허허허..

아잇 2014-07-16 09:11   좋아요 0 | URL
서로의 독후감과 생각을 나눈다는 것이 전혀 무의미하지는 않다는 것이겠죠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