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박신양 신드롬’이 일어났습니다. SBS TV드라마 ‘파리의 연인’에서 박신양이 연기한 주인공 기주가 사랑하는 태영(김정은)을 위로하기 위해 피아노를 치며 ‘사랑해도 될까요’를 부르는 장면이 화제가 된 것이죠. 주변 사람들 특히 20대 중반에서 30대 후반까지의 여성들의 휴대전화로 연락하면 ‘사랑해도 될까요’를 부르는 박신양의 목소리가 흘러나오지 않는 경우가 드물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모았습니다.

 

파리의 연인은 물론 시청률이 높은 드라마였습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이 장면을 시청하지는 않았을텐데,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던 것일까요.

 

답은 조선닷컴 블로그와 같은 1인 미디어를 통해서였습니다. 한 네티즌이 자신의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올린 박신양이 노래하는 장면을 다른 네티즌이 자신의 홈페이지에 ‘퍼가면’ 또다른 네티즌이 이를 다시 퍼가는 행위가 반복되면서 기하급수적으로 퍼져나가며 신드롬이 일어나게 된 것이죠.

 

‘디지털 입소문’이라고 할 수 있는 ‘펌’이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으로 급부상 중입니다. 네티즌 98%가 다른 사이트에서 글을 퍼온 적이 있으며, 1주일에 한 번 이상 퍼온다는 응답도 72%였습니다. 자신의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퍼온 글이나 사진이 전체 컨텐츠 중 차지하는 비중이 25%를 넘는 경우도 64%에 달했습니다. 
 

이는 광고대행사 휘닉스 커뮤니케이션즈가 개인 홈페이지, 블로그(인터넷 일기장) 등 1인 미디어를 보유한 16~34세 500명을 대상으로 ‘펌’ 이용 실태를 조사·분석한 결과 나타났습니다. 휘닉스컴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보고서 '퍼뮤니케이션의 시대’를 29일 발표했습니다.

 

‘펌’이란 ‘퍼옴’ 또는 ‘퍼나름’을 의미하는 용어로, 다른 사람이 인터넷에 올린 글이나 그림 등의 컨텐츠를 퍼와 자신의 홈페이지 올리는 행위를 말하며 인터넷에서 이뤄지는 디지털 입소문(口傳) 역할을 합니다. ‘조블’ 이용자들께서는 ‘펌’이란 용어에 이미 익숙하겠죠?
 

휘닉스컴은 이같은 조사결과에 대해 “1인 미디어를 통한 교류가 활발해질수록 컨텐츠 확보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다른 사람의 컨텐츠를 자연스럽게 퍼오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더군요.

 

휘닉스컴은 이처럼 펌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을 펌과 네티즌들이 ‘즐거움’이라는 의미로 즐겨 사용하는 ‘킨’(KIN을 옆으로 눕히면 ‘즐’자가 됨)의 합성어인 ‘펌킨족’으로, 이들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퍼뮤니케이션’(purmmunication)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휘닉스컴은 “기업들은 펌 문화를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기업 광고물이나 제품 정보 등이 펌을 통해 1인 미디어를 거치면서 자발적으로 무한 확장이 가능하다는 것이죠.

 

사실 많은 기업들은 이미 펌 마케팅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대표적 블로그 사이트인 ‘싸이월드’에 기업 또는 브랜드 홈피가 개설돼 있습니다. 이 홈피에서 블로거들은 제품 포스터, 광고모델 사진, 광고에 사용된 음악 등 매력있는 컨텐츠를 공짜로 퍼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컨텐츠로 꾸며진 홈피 또는 블로그를 찾은 또다른 블로거들이 이를 확산시킵니다. 기업들은 광고로도 하기 어려운, 자사 및 자사 브랜드에 대한 친근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소비자들에게 쉽게 심을 수 있습니다. 세상에 공짜는 정말 없습니다.

 

휘닉스컴은 이른바 ‘펌 마케팅’이 성공하려면 기업들이 다음 5개 전략을 채택하라고 제시했습니다.

 

우선 ‘친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될만한 보편적 주제를 선택할 것’.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입소문이니만큼 쉽게 '씹을 수 있는' 술안주 같은 주제를 담으면서 상업적 메시지는 최대한 감추라는 겁니다. 두번째로는 ‘재미와 유머가 있는 컨텐츠를 제공할 것’. 휘닉스컴에서는 "익살을 선물하라"고 말하더군요. 1인 미디어 운영에 필요한 컨텐츠에 유머를 더하면 재미을 추구하는 펌킨족들이 자연스럽게 퍼간다는 제안입니다.

 

셋째, ‘은근하게 컨텐츠를 노출할 것’. 이를 휘닉스컴은 "풀잎처럼 누워있어라"고 표현했습니다. 펌틴족은 숨겨진 이야기를 발굴해 퍼뜨리기 좋아하기 때문이랍니다. 조블 여러분, 그렇습니까? 넷째는 ‘컨텐츠에 대한 접촉을 제한시켜 호기심을 유발할 것’. 컨텐츠에 대한 접촉을 제한시켜 펌킨족의 호기심을 유발하도록 하란 것입니다. 세번째 전략과 맥을 같이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회사나 제품에 대한 뒷얘기를 적극 누설할 것’. 저도 공감하는 내용입니다. 화제의 인물이나 기업, 사건 뒤에 감춰진 이야기를 다룬 기사에 대한 독자들의 관심이 유난히 높거든요. 추석 연휴 잘 마무리하시기 바랍니다. /구름에

출처: 구름에 달 가듯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화려한 그림이나 사진도 없이 편지를 쓰듯 담담하게 적어 내려간 광고가 예상 외의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이 작년 12월부터 매주 월요일 조선일보 등 일부 신문에 싣고 있는 ‘새로운 대한민국 이야기’ 캠페인광고는 사소하지만 스스로를 돌아보고 한번 더 생각하게 하는 글들로 잔잔한 감동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부산 강서구청은 광고를 액자에 담아 관내 750여개 음식점 벽에 걸어놓도록 했습니다. 재일동포 민족교육기관인 ‘니키타 한국교육원’은 광고에 담긴 글들을 강의에서 토론 주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 유영욱 팀장은 “광고가 나갈 때마다 감사하다는 편지와 전화가 빗발친다”며 “2개 출판사가 광고 내용을 책으로 만들자고 제안해왔다”고 말했습니다.

 

글은 매주 바뀝니다만, 가장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었다는 ‘‘언제 한번’이란 시간은 존재하지 않습니다’는 이런 내용입니다. “이런 약속 지켜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언제 한번 저녁이나 함께 합시다. 언제 한번 술이나 한잔 합시다. ... ‘언제 한번’은 오지 않습니다. ‘오늘 저녁약속’이 있느냐고 물어보십시오. ‘이번 주말’이 한가한지 알아보십시오. 아니, ‘지금’ 만날 수 없겠느냐고 말해보십시오. ... 사랑은 미루는 것이 아닙니다.”

 

 

 

 

 

광고를 제작하는 TBWA코리아 신은주 부장은 “평소 내가 생각하고 느끼던 주제들을 누군가 이해하기 쉽게 이야기로 정리해 들려주는 듯한 내용이라 큰 공감을 얻는 것 같다”고 분석하더군요. 신 부장은 “광고비용으로 불우한 이웃을 돕는게 낫지 않겠냐는 의견도 있지만, 안정과 희망이라는 정신적인 공헌을 사회에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SK텔레콤에서는 더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대한민국 이야기를 볼 수 있도록 별도 홈페이지(newkorea.sktelecom.com)를 만들었습니다. 이 사이트에서 이메일 서비스를 신청하면 메일로 받아 볼 수도 있습니다. 9월 말까지 이메일 서비스를 신청한 고객은 2만명이라고 합니다./구름에

출처: 구름에 달 가듯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가수로 평가받는 보아. 하지만 사람들은 그가 12살 때부터 눈물을 흘려가며 혹독하게 훈련받은 과거는 알지 못합니다. 프랑스 패션무대에 선 남자모델 김민철. 체중 130㎏의 국가대표 헤비급 레슬링선수였던 그는 패션모델이 되고 싶어 무려 60㎏을 감량한 후 파리로 무작정 날아가 2년간 고생한 과거가 있습니다.


우리는 빛나는 성공의 그늘에 가려진 쓰라린 실패와 피나는 노력을 쉽게 간과합니다. GM대우 기업광고는 성공한 사람들의 힘들었던 과거를 보여줌으로써 감동을 전달합니다.

 



 

 

 

 

 

 

 

제일기획 배윤목 국장은 “이번 GM대우 기업광고의 출발점은 ‘과거 대우자동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어떻게 하면 극복하느냐’였다”며 “이를 위해 자기 자신을 이기고 변화를 통해 꿈을 이뤄낸 스토리를 가진 사람들을 통해 GM대우의 기업비전인 ‘Driving Innovation’(변화·혁신을 일으키는 힘)을 강조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선택한 1차 광고 모델이 보아와 김민철이었습니다. 배 국장은 “보아의 매니지먼트사인 SM엔터테인먼트에서 찍어둔 1000여개의 6㎜ 비디오테이프를 뒤졌다”며 “SM측에서 보아가 힘들어하는 모습 등을 공개하기 꺼려해 이를 설득하기가 힘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민철의 경우는 레슬링부가 있는 중학교를 찾아가 어린 시절의 김민철과 비슷한 선수의 연습장면을 촬영한 것이라고 합니다.


1차에 이은 2차 광고 모델은 영화 ‘올드 보이’로 지난 5월 칸 영화제 감독상을 거머쥔 박찬욱 감독과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이면서도 “표현의 한계와 배움의 부족함을 느꼈다”며 2003년 한국예술종합학교에 다시 학생으로 입학한 김주원입니다.

 

유명인을 모델로 하는 광고는 모델의 이미지에 너무 의존한다는 위험이 있습니다. 만약 모델이 불미스러운 사건에 연루되라도 한다면 기업의 이미지도 동반 추락합니다. 배 국장은 “기업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해 배상한다는 조항이 계약서에 포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배 국장은 “당초 박찬욱 감독과 (베니스영화제 감독상을 탄) 김기덕 감독을 놓고 저울질했다”며 “김 감독은 다소 극단적인 이미지와 평가를 받고 있어 최종 단계에서 박 감독으로 결정했다”고 덧붙였습니다./구름에

출처: 구름에 달 가듯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진/우맘 2004-10-21 1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이 광고 시리즈 다 좋아해요. 특히, 그 감량 모델 이야기....

stella.K 2004-10-21 14: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요. 근데 저는 본 것도 같고 안 본것도 같다는...흐흐.
 
 전출처 : 바람구두 > 고트프리트 벤 - 혼자 있는 사람은

혼자 있는 사람은

고트프리트 벤
 
     혼자 있는 사람은 또한 신비 속에 있는 사람,
     그는 언제나 이미지의 밀물 속에 젖어 있다.
     그 이미지들의 생성, 그 이미지들의 맹아,
     그림자조차도 불꽃을 달고 있다.
    
     그는 모든 층을 품고 있고
     사색에 충만하며 그것을 비축해 두고 있다.
     그는 파멸에 강하며
     남을 부양하고 짝을 맺어주는 모든 인간적인 것에 강하다.
    
     대지가 처음과는 다른 것으로 바뀌는 것을
     그는 아무 감동 없이 바라본다.
     더는 죽을 것도, 더는 이루어질 것도 없이
     조용한 형식의 완성이 그를 지켜 보고 있을 뿐.

<고트프리트 벤 시집 『혼자 있는 사람은』(이승욱 옮김, 청하, 1992)>

----------------------------------------------------------
종종 혼자 있을 수 있다면 하는 상상을 해보지만,
혼자 머무는 시간 동안엔 절대 그걸 꿈꾸지 않는다.

"혼자 있는 것이 조용한 형식의 완성이 될 수 있다."
고 시인은 말한다.
"더는 죽을 것도, 더는 이루어질 것도 없이"란 말은 죽음을 말한다.

혼자 있는 것은 죽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蕭寥月夜思何事 (소요월야사하사) 소슬한 달밤이면 무슨 생각 하오신지.

   寢宵轉輾夢似樣 (침소전전몽사양) 뒤척이는 잠자리는 꿈인 듯 생시인 듯...

   問君有時錄忘言 (문군유시녹망언) 님이시여 때로는 제가 드린 말도 적어보시는지.

   此世緣分果信良 (차세연분과신량) 이승에서 맺은 연분 믿어도 좋을지요.

   悠悠憶君疑未盡 (유유억군의미진) 멀리 계신 님 생각, 끝없어도 모자란 듯...

   日日念我幾許量 (일일염아기허량) 하루 하루 이 몸을 그리워는 하시나요.

   忙中要顧煩或喜 (망중요고번혹희) 바쁜 중 돌이켜 생각함이 괴로움일까, 즐거움일까.

   喧喧如雀情如常 (훤훤여작정여상) 참새처럼 지저귀어도 제게 향하신 정은 여전하온지요.



   황진이가 동선이를 시켜

   한양에 있는 소세양에게 전하게 했다는

   시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메시지 2004-10-17 01: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시.... 황진이 짱입니다.

stella.K 2004-10-17 2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