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자들은 토크쇼 게스트보다 더 많은 말을 한다 - 마이클 베이든의 법의학 이야기
마이클 베이든 지음, 안재권 옮김 / 바다출판사 / 2005년 1월
평점 :
절판


 

죽은 자로 하여금 말을 하게 만드는, 그럼으로써 실종될 뻔한 정의를 바로잡는 학문이 바로 법의학이다. 차 안에서 나온 콘택트 렌즈가 강간 후 살해된 소녀의 것이라는 걸 입증한 것도, 가해자의 바지에 붙은 부러진 손톱이 희생자의 것임을 증명해 살인자를 법정에 세울 수 있었던 것도 다 법의학의 힘이다. 최근에는 철로 부근에서 나온 뼈조각이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의 것이었음을 증명하기도 했고, 무덤 속에 묻힌 시체를 재조사, 30년 전에 일어난 살인사건의 범인을 뒤늦게나마 감옥에 보냈다.

“이 머리카락은 피고의 것과 일치합니다”라는 법의학자의 말을 한쪽 귀로 흘릴 판사가 어디 있겠는가?


어느날, 어드만이라는 법의학자가 작성한 보고서를 읽던 가족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어드만이 검시를 하면서 사망자의 비장을 꺼내고 무게를 달았다고 적어놓았기 때문. 하지만 사망자는 어릴 때 배를 다쳐 비장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는데 이 무슨 해괴한 소리인가? 가족들이 시신을 발굴해보니 시신에 칼을 댄 흔적도 없었다. 즉 어드만은 하지도 않은 검시로 무고한 사람을 감옥에 보낸 것. 그가 관여한 수백건의 사건은 모두 재조사되었다. 어드만은 “나는 인간이고 따라서 실수를 저지를 수 있습니다”라고 주장했지만, 법의학적 증거가 재판에 미치는 위력을 생각해보면 그런 변명은 무책임하기 이를 데 없다. 어드만 같은 사람은 한두명이 아니다. 피해자의 의류에서 발견된 정액이 자신의 것과 일치한다는, 또 다른 법의학자의 증언으로 유죄판결을 받은 데이비스는 재조사 끝에 무죄임이 입증되었는데, 죄도 없이 4년을 복역해야 했던 데이비스의 인생은 어떻게 보상되어야 할까.


저자는 말한다. 법의관들 중 일부는 스스로를 검찰의 일원으로 생각하고, 증거를 검찰에 유리하게 조작한다고. 경찰이 “사망시각을 오전 3시로 잡아주시면 좋겠다”고 한다고 거기에 휘둘리지 말아야 한다는 얘기다. 법의학적 증거가 재판에서 위력을 발휘하는 이유는 과학이란 건 거짓말을 하지 못하기 때문인데, 당장의 유혹에 눈이 멀어 나온 결과를 조작한다면 법의학의 신뢰도는 크게 떨어지리라. 첨단 기술이 인간의 사악한 마음과 결합한다면 공룡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일을 하는 법의학자들에게는 그에 걸맞는 윤리의식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중간중간 지루한 대목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법의학을 통해 진실을 밝혀진 사건들이 나열되어 흥미있게 읽을 수 있었고, 현장에서 뛰는 전문가가 법의학의 실상을 알기 쉽게 기술했다는 점에서 별 다섯을 준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weetmagic 2005-03-30 14: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밌겠다.... ~

클리오 2005-03-30 14: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제야 '서늘한'이 어울리는 책을 찾으셨군요... ^^ 물론, 법의학 이야기도 접할 때마다 늘 흥미진진합니다...

아영엄마 2005-03-30 15: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야~ 다들 서늘한 제목에 시선을 집중하시는군요. 저도 언제 한 번 서~늘한 제목을 달아봐야 하는디... ^^

부리 2005-03-30 16: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봐 마태, 서늘한을 너무 우려먹는 거 아냐??

파란여우 2005-03-30 23: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법의학 하면 무서운 사진부터 생각나서 식은땀이 다 나요....
그리고 서늘한...여름에 많이 써 잡수시길...^^

마태우스 2005-03-31 13: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우님/너무 우려먹었나요?^^ 저도 법의학 무셔요
부리/우려먹든 말든!! 캬오!
아영엄마님/호호 한번 달아보세요 멋져 보입니다
클리오님/다 클리오님 덕분이죠^^
매직님/전 매직님 그림들이 더 흥미진진해요^^
따우님/제목 따라하기 없기!

책속에 책 2005-03-31 13: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미국엔 라는 것 때문에 검찰과 재판부가 골머리래요. 배심원들이 CSI라는 우리도 익히 아는 그 프로그램을 너무 즐겨본 나머지 웬만한 증거는 증거로 인정 안한다나요..범죄자의 자백이 있어도 그 프로그램처럼 완벽한 증거를 가져와야 유죄로 인정하려고 한다는 거죠. 웃지 못할 이야기이긴 하지만 법의학이라는 과학에 사람들이 그만큼 많은 신뢰를 보낸다는 말이겠죠(심지어 자백은 못 믿어도 말이죠)..님 말씀처럼 다른 사람에게 영향력을 끼칠수록 더 조심해야 할 것 같아요

마태우스 2005-04-01 09: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데이드리머님/네 그렇군요. 판사면 모르겠지만 배심원들은 그런 것에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럴수록 올바른 윤리의식이 필요하겠네요.....

하이드 2005-04-01 1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거 제목이 느므느므 깹니다. 고상하게 그냥 원제로 하지. 죽은자는 토크쇼 게스트보다... 라니요. 털썩.

마태우스 2005-04-01 1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이드님/그러게 말입니다. 토크쇼 게스트, 너무 깨는 거 맞습다^^

비로그인 2005-04-14 1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민, 고민, 고민 중인데... 아무래도 구입해야 하는 분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