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여름호>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Asia 제17호 - Summer, 2010
아시아 편집부 엮음 / 도서출판 아시아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팔레스타인 특집을 통해 좀더 알게 된 그들의 문학과 세계] 

 

분쟁지역으로써의 팔레스타인은 알고 있었지만 구지 팔레스타인 문학에 대해서 생각해 본 적은 없다. 팔레스타인 분쟁은 종교적인 문제를 넘어 이미 세계적인 정치문제가 되어버린지 오래다. 정치 라는 단어가 끼어들 수 있는 자리가 되면 늘 인권과 맞물려 돌아간다. 정치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자리에는 늘 유린되는 인권이야기가 있다는 것을 알기에 이제는 팔레스타인 분쟁지역을 떠올리면 유린당하는 인권이 가장 먼저 떠오르게 된다. 그런 모든 것이 팔레스타인 문학의 또 하나의 기초가 되지 않았을까 짐작해 본다. 

앞서 말했듯이 구지 팔레스타인 문학이라는 것을 생각해보지 못했지만 아시아 계간지에서 팔레스타인 문학 특집에 대해서 다룬 것을 보고 이들의 좌담과 소개되는 팔레스타인 민담과 소설을 읽으면서 그동안 느끼지 못했던 팔레스타인 문학만의 독특한 색깔은 경험해 본다. 

평화가 존재하고 부유한 곳보다는 삶이 치열하고 살아가는 생존 문제가 시급한 사람들에게는 피비릿내 나는 삶의 냄새가 문학 속에 베어있기 마련이다. 팔레스타인 문학이라고 해서 그들이 겪는 특수한 상황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된다고 하지만 결국에는 이들이 겪고 있는 문제가  인간 개개인이 겪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의 문제라는 점에 동감하게 된다. 결국 사람이 살고 있는 곳은 환경이 다르고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외면하기에는 너무도 동질적인 감성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벌써 17호라고 하는데 처음 본 계간지였지만 앞으로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아시아에 속한 나라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서구 사회에 길들여진 우리들에게 아시아 국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잡지인 듯 하다 . 

구성상 눈에 가장 먼저 눈에 뜨인 것은 한글과 영어글이 공존한다는 점이다. 한국인들만 겨냥한 잡지가 아니라 아시아 전역의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만들었는가 보다. 그 언어가 영어라는 점이 아이러니하지만 영어가 전세계 공용어처럼 사용되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니 어쩌겠는가? 중요한 것은 어떤 언어를 통했느냐보다 어떤 공감대를 형성하는가가 더 중요니 말이다. 계간지라고 하니 일년에 네 차례 출간된다는 이야기인데 눈여겨 다음 출간일을 챙겨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