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비 딕> 하권을 읽고 있다. 피쿼드호는 이제 아프리카 남단을 돌아 인도양에 진입했으며 향유고래 한 마리 사냥에 성공했다. 읽다보면 이해가 안 되는 부분들이 가끔 나온다. 원문을 찾아보며 이해해 보고자 한다. 인용문의 밑줄은 모두 내가 추가한 것이다.
사냥하여 죽인 향유고래를 어떻게 해체하는지에 대한 설명이다(67장). 고래는 배 옆에 고정되어 있다. 고래 가죽을 벗기는 과정에 대한 얘기.
제일 먼저, 으레 녹색을 칠하는 도르래의 여러 육중한 장치들 중에서 커다란 절단용 도르래는 혼자서 도저히 들 수 없을 만큼 무겁다. 이 엄청난 포도송이를 휘청휘청 주 돛대까지 끌어 올린 다음 갑판에서 가장 튼튼한 뒤쪽 돛대 꼭대기에 단단히 묶는다. 이제 이 복잡한 장치를 들고 나는 닻줄 같은 밧줄 끄트머리를 양묘기에 연결하고, 도르래의 커다란 아래쪽 토막을 고래를 향해 내리는데 여기에는 무게가 50킬로그램에 달하는 커다란 갈고리가 달렸다. (40 페이지)
도르래 뭉치("이 엄청난 포도송이")를 돛대에 고정하는 설명이다. 밑줄 친 부분을 보면 도르래 뭉치를 주 돛대까지 끌어올린 후 뒤쪽 돛대 꼭대기에 묶는다고 나온다. 주 돛대로 끌어올린 후 왜 뒤쪽 돛대에 묶지? 뭔가 머리에 잘 떠오르지 않는 그림이다. 다음은 원문이다.
In the first place, the enormous cutting tackles, among other ponderous things comprising a cluster of blocks generally painted green, and which no single man can possibly lift—this vast bunch of grapes was swayed up to the main-top and firmly lashed to the lower mast-head, the strongest point anywhere above a ship's deck. The end of the hawser-like rope winding through these intricacies, was then conducted to the windlass, and the huge lower block of the tackles was swung over the whale; to this block the great blubber hook, weighing some one hundred pounds, was attached. (p. 330)
원문에서는 main-top으로 끌어올린 후 lower mast-head에 고정시킨다고 나온다. main top이 주 돛대의 위 어느 부분이라면 lower mast-head는 주 돛대의 아래 부분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뒤쪽 돛대가 아니라 같은 주 돛대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이상한 부분이 해소된다.
그 다음 이상한 부분은 피쿼드호가 항해 중 만난 제로보암호의 고래—모비 딕—사냥 이야기(71장)에 나온다. 고래 사냥은 고래잡이 배에서 내린 작은 보트를 타고 한다(61, 62장 등에 설명이 나와 있다). 이 보트에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2명이 있는데, 한 명은 항해사가 맡는 보트장이고 다른 한 명은 작살잡이다. 보트장은 보트 뒤쪽에서 키를 잡으며 보트에 탄 선원들—노잡이—를 지휘하여 보트를 고래가 있는 곳으로 가게 한다. 보트가 고래에 접근하면 보트 앞에서 다른 선원들과 함께 노를 젓던 작살잡이가 일어나 밧줄에 연결된 작살을 고래에게 던진다. 작살이 고래에게 명중하면 고래는 도망치려고 한다. 하지만 작살이 단단하게 박혔다면 고래는 결국 한참을 도망치려 시도하다가 힘이 빠져 수면으로 떠오르게 된다. 그러면 보트장은 작살잡이와 자리를 바꿔 보트 앞으로 가서 고래를 창으로 마구 찔러 숨통을 끊는다. 바다가 피로 물드는 잔인한 장면이다. 그런데 다음 장면을 보자.
항해사 메이시가 보트 앞머리에 서서 자기 부족 특유의 거침없는 에너지로 고래를 향해 격렬한 외침을 토해 내며 작살을 던질 기회를 노리는데, 이런! 커다란 흰 그림자가 바다에서 솟구치더니 부채질이라도 하는 것처럼 재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에 노잡이들은 잠시 숨을 죽였다. (59 페이지)
고래는 이미 작살을 맞았다(몇 줄 위에 “마침내 작살 하나를 깊숙이 꽂는 데 성공했다”고 나온다). 그런데 이 고래에게 항해사가 다시 작살을 던질 기회를 노린다니? 원문은 이렇다.
Now, while Macey, the mate, was standing up in his boat's bow, and with all the reckless energy of his tribe was venting his wild exclamations upon the whale, and essaying to get a fair chance for his poised lance, lo! a broad white shadow rose from the sea; by its quick, fanning motion, temporarily taking the breath out of the bodies of the oarsmen. (p. 345)
항해사는 작살(harpoon)을 던질 기회를 노리는 것이 아니라 창(lance)으로 찌를 기회를 노리고 있는 것이다.
그 다음 부분. 제로보암호의 선장 일행이 타고 온 보트로 편지를 건네주려고 하는 장면이다. 몇 년씩 항해하는 고래잡이배들은 서로 편지를 싣고 와 전해주기도 한다. 제로보암호에 전염병이 돌아 보트 위의 사람들은 피쿼드호로 올라오려 하지 않는다.
그[에이해브]가 편지를 들여다보는 동안 스타벅은 길쭉한 삽자루를 가져왔는데, 칼로 끝을 살짝 찢은 편지를 삽자루에 끼워 보트를 배에 더 가까이 대지 않고도 넘겨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61 페이지)
뭔가 부자연스럽다. 편지 끝을 칼로 살짝 찢어 삽자루에 끼운다니? 다음은 원문.
As he was studying it out, Starbuck took a long cutting-spade pole, and with his knife slightly split the end, to insert the letter there, and in that way, hand it to the boat, without its coming any closer to the ship. (p. 346)
원문을 보면 칼로 삽자루 끝을 조금 쪼개 그 틈에 편지를 끼워 보내려 함을 알 수 있다. 훨씬 자연스럽고 튼튼한 고정 방법이 아닌가? 왜 편지 끝을 찢어 끼운다고 했는지...
이 장의 마지막 부분이다. 이제 제로보암호는 떠났다. 그런데...
막간극이 끝난 후 고래 가죽을 벗기는 일을 다시 시작한 선원들은 이 엉뚱한 사건과 관련된 기이한 얘기들을 한참 주고받았다. (62 페이지)
“고래 가죽을 벗기는 일”을 다시 시작했다고 나온다. 고래 가죽은 이미 다 벗겼고 고래 몸통은 떠내려 보낸 후인데 다시 고래 가죽 벗기는 일을 한다니?
As, after this interlude, the seamen resumed their work upon the jacket of the whale, many strange things were hinted in reference to this wild affair. (p. 347)
원문은 ‘고래 가죽을 벗기는 일’이 아니라 ‘고래 가죽에 하는 일’을 다시 시작했다고 나온다. 고래 가죽 해체 작업이라고 하는 것이 맞겠다. 다시 가죽을 벗긴다고 하니 헷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