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융의 탄생]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미국 금융의 탄생 - 알렉산더 해밀턴과 앨버트 갤러틴의 경제 리더십
토머스 K. 맥크로 지음, 이경식 옮김 / 휴먼앤북스(Human&Books) / 2013년 12월
평점 :
序
내가 대학생활을 하면서 가장 뜻깊었던 것 중의 하나가 바로 <경제학>을 공부할 수 있었다는 것이고, 가장 후회되는 것 중의 하나가 <경제학>을 제대로, 깊숙하게 공부해 보지 않았다는 것이다. 경제기사나 경제 도서를 볼때 반가움이 들다가도, 그 세부적인 사항이나 인과관계가 명료하게 떠오르지 않을 때의 아쉬움이나, 경제학 석사나 박사 코스를 밟고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부러움을 느끼곤 하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인듯 하다. 그래서 서점에 가서 책을 고를땐 경제 관련 도서에 눈길이 가곤 하는데, 다른 어떤 것들보다 가장 반갑게 느껴지곤 한다.
本文
이번에 읽은 책은 미국의 초기 경제의 기틀을 세운 알렉산더 해밀턴과 앨버트 갤러틴을 다룬 <미국 금융의 탄생>이라는 책이다. 미국의 초창기 경제와 금융경제학에 대해 조금 알수 있지 않을까란 생각에서 였는데, 역시나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먼저, 이 책을 통해 워싱턴과 영국과의 독립전쟁으로만 알고 있던 미국의 초창기 역사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다. 모든 역사의 이면에는 경제의 흐름이 숨어 있는데, 미국의 독립전쟁에는 영국과의 조세 저항과 북부와 남부간의 경제력 차이 등이 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 넓은 농토를 보유한 기존 세력과 해밀턴과 같은 이방인 세력간의 갈등도 미국사의 첫장면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라는 점도 알게 되었고. 한국 역시 토지불하와 화폐 개혁 등을 통해 현재의 기업 집단 순위가 고착화 되었는데, 미국 역시 이와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는 점이 인상깊었다.
다음은 해밀턴이 이룩한 업적들이다. 먼저, <연방주의자의 논고>와 <제조업에 관한 보고서>는 미국 경제의 근간을 만들게 한 중요한 글이었다. 자칫하면 각 주별로 공중분해 될 뻔한 미국을 하나의 국가로 나아갈수 있도록 노력했고, 제조업의 중요성을 주장하여 미국 경제가 유럽을 능가할 수 있도록 기초을 닦았다. 슘페터는 <제조업에 관한 보고서>를 보고 <응용경제학>이었다고 말하는데, 이는 한 나라의 국가계발계획에 해당하는 '수준높은' 저작물이었다.
또한 <국가부채에 관한 보고서>와 <미합중국은행에 관한 보고서>는 차입을 통한 재무위기의 탈출과 경제 성장의 기초를 닦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갤러틴 역시 해밀턴과 마찬가지로 미합중국은행으로 대표되는 미국 금융 경제의 확립에 큰 기여를 했는데, 이를 통해 미국 경제는 성장을 위한 윤활유를 확보할 수 있었다. 물론 부채의 사용이 심각해지면 한 나라의 경제에 위협이 되겠지만, 적어도 그 당시에 있어서는 현명한 선택이었다. 물론, 저자는 이들의 바램과는 달리 탐욕으로 얼룩진 현재의 월스트리트에 대하 언급도 빠뜨리진 않는다.
結
이들이 단순하게 업적만을 남긴 재무장관이었다면 우리에게 큰 의미로 다가오지는 않았을 것이다. 현대의 수많은 기업가들이 위대하지만, 존경받지 못하는 이유를 떠올려 본다면 말이다. 해밀턴과 갤러틴은 자신들이 왜 경제학을 공부하는지를 알고 있었다. 그리고 그 것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 것 까지도 알고 있었고, 실제 행동으로 옮겼다.
그들의 파란만장한 삶과 수많은 저작물들, 그리고 업적보다 그들의 열정과 마음이 더 인상적이었던 책이었다.
스스로의 재능을 무기 삼아서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며 살아온 해밀턴은
의미가 있는 일은 무엇이든 반드시 해야지 그냥 둬서는 안된다고 믿었다.
- 알렉산더 해밀턴. 연방주의자 논고.
재물이 있는 곳에 마음이 있다. - 마태복음
[추천도서]
데이비드 흄. 정치담론
맬러치 포스틀스웨이트. 무역과 상업의 보편 사전
윈드햄 비웨스. 상인의 안내 책자
리처드 프라이스. 시민적 자우의 특성에 관한 관찰. 시민적 자유의 특성과 가치에 관한 추가적인 관찰.
알렉산더 해밀턴. 연방주의자 논고. 제조업에 관한 보고서. 국가부채에 관한 보고서. 미합중국은행에 관한 보고서.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