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되기 위해 살지 마라]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무엇이 되기 위해 살지 마라 - 세계은행 총재 김용의 마음 습관
백지연 지음 / 알마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저자인 백지연씨가 동양인 최초로 세계은행 총재에 지명된 김용 총재를 인터뷰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아이비리그 다트머스 대학 총장을 지냈고, 미국에서도 성공한 이민 1.5세대인 그의 삶을 짚어보고, 우리들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주는 그의 인생과 이야기들을 만날수 있는 책이다.

 

# 경 세 제 민

 

김용 총재는 의학이라는 전문적인 지식과 세상을 향한 따스한 시선을 가지고, 삶을 살아왔다. 이질적일 것만 같던

두 요소를 조화롭게 결부시켜 생각하고 행동해온 그의 삶은 백지연씨가 말하는 경제의 본래 뜻을 연상케 한다.

 

나의 학창시절 전공은 경제학이었는데, 이는 세상을 경영하여 백성을 구제한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즉, 단순히

돈만 벌고, 수치상의 실적만을 높이는 게 전부가 아니라는 말이다. 세상의 돌아가는 이치를 탐구하고, 이를 통해

세상에 도움을 주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인 것이다. 어떤 학문도 인간과 세상을 향하는 시선을 갖지 못한다면

그건 자위나 다름없는 것이기에 경세제민, 경제라는 의미는 모든 학문, 모든 행동에도 연결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세계은행 총재로 임명된 김용 총재는 이러한 경세제민의 참 의미를 잘 실천하신 분이다. 자신의 직업에 소명의식을

갖고 열정적으로 일했으며, 이를 통해 세상을 향해 베푸는 삶을 살기위해 노력해 왔음을 알수 있었다. 자신이 가장

잘하는 것을 찾아, 이를 가지고 각종 질병 및 무지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도와주었던 사실은 그가 행동하는 지성인

이었음을 알수 있었다.

 

특히 단순히 병을 고치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 그 병을 잉태하게 한 사회적 현실이나 환자의 삶을 둘러싼 환경에도

관심을 가져야 된다는 그의 말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했다.

 

# 바 야 꾸

 

바야꾸란 크리올어로 똥치우는 사람을 뜻한다. 이는 김용과 그의 절친 폴 파머가 활동하던 당시 열악한 환경속에서도

자신의 일을 묵묵히 해내던 때의 이야기에 관한 것인데, 이때에도 김용은 자신의 자리에서도 묵묵히 맡은 일을 해내

었다. 비록 잡일이었고, 눈에 띄는 일은 아니지만 스스로의 몫을 충분히 해내었고, 또 주인의식을 갖고 일했던 것이다.

 

김용은 평소 대학생들에게 마틴 루터 킹, 넬슨 만델라, 달라이 라마, 폴 파머와 같은 월드 클래스 리더의 책을 읽어

보라고 권했다고 하는데, 김용 역시 힘든 일을 할때마다 스스로를 월드 클래스 리더라고 여기며, 최선을 다해왔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을 했다.

 

책에서도 소개되지만, 나 역시도 항상 사고가 좁아지고, 스스로의 주장에만 갖혀사는 사람이 안되도록 노력하는데,

김용 총재 역시 그러한 부분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셨다고 한다. 가끔 전문가 또는 유명 정치인들을 보면 스스로의

성공과 논리에 사로잡혀 타인의 의견을 들으려하지 조차 않으며, 내가 옳다고만 하는 사람들을 종종 보게 되는데

김용 총재의 글을 읽어본다면 조금 달라지지 않을까란 생각도 해 보았다.

 

물론 리더에게는 자기 주장을 밀고 나가는 우직함과 카리스마가 필요하지만, 이러한 결론을 내고 행동에 옮기기 전까지의

판단이 어떤 과정에 의한 것이었는지도 중요하니까 말이다.

 

# 죽을 만큼의 역경은 사람을 더욱 강하게 만든다.

 

책을 읽어보면 김용 총재의 삶에도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음을 알수 있었다. 특히, 예산 절감과 구조조정의 선봉이 섰던

다트머스 총장때의 이야기나 폴 파머와 의료봉사활동을 하던때의 모습을 통해 우리는 이러한 어려운 과정을 통해 그가

성장해 왔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책 곳곳에서 강조하는 끈질김과 지속적인 연마를 통해서 스스로를 준비하라는 그의 말은

많은 것을 생각케 한다.

 

책 제목처럼 다트머스 총장, 세계은행 총재라는 명함이 그가 가지길 원했던 목표는 아니었을 것이다. 그는 하고싶은

일을 찾았고, 남들보다 열심히, 그리고 사명을 갖고 일했다.

Slowly Flow, 꾸준하게 그리고 끈질기게 인내하며 준비한 그의 삶 자체가 바로 그의 삶의 목표가 아니었을까.

 

# 마지막으로,

 

사람들과 대화를 하면서, 가끔씩은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들이 있다. 사랑하는 사람의 어떤 점이 좋냐고 물을때나

어린 아이에게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하고 물을때, 그리고 어떤 삶을 살고 싶냐고, 지금 잘 살고 있냐고 말이다.

누구나 행복하게 살고 싶고, 잘 살고 싶지만, 그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리기란 쉬운 일은 아닌 듯 하다.

구체적인 인생의 설계를 내놓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 역시 우리가 생각하는 정답은 아닐 터...

어쩌면 누구나가 어려워 하는 것이 바로 우리의 삶이고 사랑이자, 행복이 아닐까 싶다.

 

# 좋았던 문구들

 

"넌 동양인이다. 네가 철학을 공부해서 네 생각을 말한다 해도 아무도 듣지 않는다. 누구도 함부로 하지 못할 네 기술,

네 실력을 쌓은 뒤에 그 다음 철학이든 정치학이든 해라." 지극히 실용적인 접근이었다. 일단 실력을 기른 다음에

네가 진정 세상을 바꾸기를 원하는지 자문해보고, 정말 그렇다면 그때 가서 하고 싶은 일을 해도 늦지 않다는 뜻을 것이다.

누구보다 열심히 공부하고 누구보다 성실히 일했지만, 그는 열린 가슴으로 소통할 줄 알고 멀리 보는 혜얀이 흐려지지

않도록 애썼다.

복잡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탁월성을 얻으려면, 최소한의 연습량을 확보하는 것이 결정적이라는 사실은 수많은

연구를 통해 거듭 확인되고 있다. 사실 연구자들은 진정한 전문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 매직 넘버에 수긍하고 있다.

그것은 1만시간이다.

이 세상에 필요한 건 아주 복잡한 조직에서 서로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함께 공동으로 일하고, 무엇보다 높은 공동의

목표를 위해 협업하는 사람들입니다. 그게 제일 어려운 것 같아요.

학문이 경험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면, 학문은 너무나 막연한 지시를 주는데 지나지 않는다. 실제적인 사람은 학문을

경멸하고, 단순한 사람은 학문을 숭배하며, 현명한 사람은 학문을 이용한다. 왜냐하면 학문은 그 자신의 사용법을

가르쳐 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은 학문 바깥에 있는, 학문을 초월한 관찰로서 얻어지는 지혜다.

냉소는 결국 겁쟁이가 마지막으로 숨는 곳이다.

나는 무관심을 미워한다.

산다는 것은 어느 한쪽을 편든다는 것이다.

무관심은 역사를 짓누르는 무거운 짐이다.

무관심은 새로운 사상의 소유자들에게는 무거운 납덩어리고,

가장 아름다운 열정조차 물 속 깊이 가라앉힐 수 있는 모래주머니이고,

어떤 전사나 어떤 강렬한 방벽보다 구질서를 훨씬 더 잘 방어할 수 있는 늪이다.

급히 서두르지 말고, 눈앞의 작은 이익만 보지 말라. 급히 서둘다간 일의 진행을 그르치고,

눈앞의 작은 이익만 보다가는 큰일을 이룰 수 없다.

무엇이 되기 위해 살지 마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6-17 08:5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