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 끊어진 하늘길과 계란맨의 비밀 너머학교 고전교실 1
조현범 지음, 김진화 그림 / 너머학교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연스님이 쓴 삼국유사는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의 고전과 역사를 알아가는데 있어 너무도 중요한 책이다. 게다가 삼국사기가 정치적 입장에서 계획된 책이었다면 삼국유사는 우리역사를 기록하기위한  순수한 한 개인의 입장에서 쓰여진 기록이기에 역사적 가치는 더 클수밖에 없다.  어린시절부터 아이들은 그 삼국유사속 이야기를 듣고 읽으며 옛이야기속에서 재미있게 우리 민족의 뿌리를 찾아가곤하는데 고학년이 되어가고 중학생이 되면서 신기하고 재미있었던 그 고전을 버거워한다.
 
아마도 재미있는 옛 이야기로 인식했던 신화와 설화들을 한단계 발전시키며 우리 민족사와의 구체적인 연결고리를 찾아가는 하나의 과정을 무시한채 학문적으로만 만나다 보니 그러하지 않았나싶다. 너무도 뻔히 아는 이야기인 삼국유사 그것이 고학년용으로 새롭게 각색했다는 사실에 처음 이 책을 선택했고 만나면서 그 생략되었던 연결고리를 찾게된다.
 
단군신화속에는 곰과 호랑이라는 두종류의 동물이 등장하는데 그 이야기를 읽으면서 아이들은 보통 정말 우리가 곰의 자손일까라는 의구심을 가지거나  에이, 그건 그냥 지어낸 이야기일뿐이야 라고 무시해버리는 양면성을 보인다. 하지만 거기에서 우린 곰부족과 호랑이 부족이라는 것을 끄집어 내며 옛 부족국가의 형태를 잡아낸다. 끊어진 하늘길과 계란맨의 비밀 이책은 그러한 삼국유사속 신화와 설화속에서 현실적으로 우리역사를 끄집어내고 있었다.
 
처음 게란맨이야기를 살펴보자면 주몽,박혁거세,탈해왕 ,수로왕에 이르는 네명의 탄생신화로 그들은 모두 알에서 태어난 사람들이었다. 중국신화나 그리스신화에 비해 산국유사엔 유독 계란맨 이야기가 많은 편이란다.  왜 한국 신화엔 게란맨 이야기가 많은걸까? 그 궁금증을 풀기위해 닭을 숭상했던 민족적 특성을 살펴보기도하고,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특별한 일을 한 사람을 설명하기 위한 매개체가 될수도 있었음을 확인해준다. 그렇게 고정관념을 깬 다양한 사고와 상상속에서 고대 우리민족의 정신과 풍습 사상을 찾아간다.    
 

 
 
또한 우리 신화를 논하는데 있어 우리 민족에 국한된 이야기로만 풀어가는게 아니라 동양의 중심이었던 중국과 서양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범위속에서 깊은 사상을 풀어낸다.

 
 
여기서 하나 더 살펴보자면 김춘추의 출생에 얽힌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진지왕과 도화녀의 사랑  그사이에서 태어난 비형랑 그의 아들인 김춘추로 이어지는 가계도를 만날수 있었다. 신화적인 기원이야기와 역사적인 실제이야기가 시차를 두고 있데 양 끝의 실마리가 이어져있는 형국으로 신화와 역사가 한데 엉켜있는 모습으로 후손들이 신화와 현실을 하나로 이어가는데 있어 더할나위없는 모습을 보이는 그 이야기에서 아이들은 신화를 우리 역사로 인지할수 있었다.



 
일본으로 건너가 왕과 왕비가 된 연오랑과 세오녀라는 신화속에서 비단과 철기문화를 끄집어내고 임금님귀는 당나귀귀의 실제 주인공인 경문왕의 이야기를 맞추어 가는 과정에서  서른다섯가지에 이르는 세계의 당나귀라는 이야기를 추리해간다. 또한 처용가 처용무로 잘 알려진 처용의 진실을 찾아가는 이야기에선 이국적인 외모에서 추리한 신라시대 외국인과의 교류와 새로이 생겨난 풍습의 기원까지 살펴주고 있었다.

 

 

그러한 이야기들이 끝나면 지금까지 펼쳐놓은 논제들에대해 아이들 스스로 사고할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주고 생각을 정립할수 있는 정리로서 마무리를 한다. 신화와 설화이란것이 읽는 사람에 따라 해석도 달라지고  저마다의 주장이 다를수 있기에 이러한 객관적인 사실또한 꼭 필요하다 느껴지는 부분이었다.

 


 
아주 옛날에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 엉뚱하고 허무 맹란한 이야기라 치부할수 그 이야기에서 상상력과 역사를 하나로 묶어가며 알려지지않은 역사를 논하고 민족 정서를 찾아갔다. 또한 고전을 이해하는 발판을 다져간다. 그렇게 신화속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과정은 아이들의 사고력을 높이는 동시에 우리 역사를 좀 더 투명하게 만들어주었고 고전을 좀 더 가깝게 인지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