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눈물, 한권으로 보는 그림 세계지리 백과>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아프리카의 눈물 - MBC 창사 특집기획 다큐멘터리
MBC [아프리카의 눈물] 제작팀 지음, 허구 그림, 이은정 글 / MBC C&I(MBC프로덕션)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북극의 눈물과 아마존의 눈물에 이어지는 mbc창사 특집기획 다큐멘터리 세번째 이야기인 아프리카의 눈물을 텔레비젼속에서 볼때만해도 잘 몰랐습니다. 그냥 너무 좋은 다큐프로그램, 야심찬 기획, 볼만한 프로그램이라 생각했을뿐이었습니다. 한데 책을 만나면서 아프리카하면 눈물이 절로 떨구어지며 우리 인간들의 부끄러운 모습들이 저절로 연상됩니다.
 
얼마전부터인가 난 아이들핑계로 환경문제에 부쩍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 입장이란게 참 많은것들에 관심을 가지게 하고 성장시키는 시간들이란걸 느끼게되었습니다. 이유가 어찌되었든 그렇게 환경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참 많이도 마음을 아프게 하던곳이 아프리카였습니다.  인류문명의 근원지요 이집트를 중심으로 고대문명을 활짝 꽃피웠던 그 곳은 오랜시간 강대국들의 이권다툼에 낑겨서는  끊임없는 내전속에 너무도 많은 희생을 치루었습니다.
 
한데 그렇게 슬픈 그들앞엔 아직도 너무 많은 시련들이 다가 오고 있었습니다. 산업혁명후 근대사 100년이래 비약적인 발전을 해온 다른 대륙, 다른 나라로 인해 파괴된 기후변화가 가장 민감하게 작용하며 가장 큰 피해를 보고있는 지역이되었으니까요. 산업화와는 비켜나 있었던 그들은 가난과 무관심이란 죄아닌 죄로인해 아무잘못도 없는 사람들에게 닥친 현실은 너무 가혹하기까지합니다.
 
그 이야기들은 문명을 떠나 자기들만의 전통을 고수하며 살아가는 순수함을 보여주었던 텔레비젼의 다큐멘터리속 모습과 함께 그 이면에 담겨져있는 그들의 아픔과 역사까지 책속에서 세밀하게 짚어줍니다. 
       

 
우리의 전통이 아름답듯 그들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 펼쳐지는 화보를 보면서는 몇백년전 자신들의 땅을 내주고는 보호구역속으로 숨어들어야만했던 인디언 원주민들이 그러했듯 웬지 모를 짠한 아픔이 느겨져옵니다.
 

 
케냐 북쪽으로 가는길 투르카나 호수주변은 최초의 인간 루시가 살았던 땅으로 그곳엔 현재 원시부족 카로족이 살고있습니다. 텔레비젼을 보면서 어떻게 저 많은 목걸이를 하고있을까 놀라게 만들었던 바로 그 부족입니다. 소를 숭배하고 그것이 생업인 사람들입니다. 카로족 청년 다르게는 마을축제인 드리킹데이를 앞두고 소 뛰어넘기 연습이 한창입니다. 성공해야만  성인으로 인정받고 결혼을 할수 있거든요. 취재진이 함께 생활하며 보여주었던 그 모습들이 책속에서도 펼쳐집니다.   





그렇게 입술원반 아발레가 미의 상징인  수리족도 만났고 검은색의 입술문신을 하는 플라니족도 보았습니다
 

 
하지만 전통을 지키며 살아가는 아프리카 원주민들의 삶에도 아프리카 내전의 어둠은 깊게 밀려들어왔으며  환경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지구온난화로 인한 사막화의 심각성이 그들을 지배하고 있었습니다.  
 

 
장대를 들고 마을 축제를 즐기던 그들의 손에 내전의 산물인 총이 들려지면서 죽음이 찾아온것입니다. 

 

 
그 이외에도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겪고있는 모습과  너무도 많은 동물들이 죽어가는 현실을 보았습니다. 코끼리들의 천국이었던 반제나 호수는 죽음의 호수가 되어서는 물을 찾아온 코끼리와 염소등을 진흙속에 가두어버렸습니다. 그후 코끼리들은  살기위한 물을 찾아 수십, 수백키로를 이동하고 있었습니다.  
 



 



 
그렇듯 기후변화로 인한 사막화와 선진국의 잇권다툼으로 붉어진  오랜 내전의 흔적들은 힘없고 나약한 아프리카 원주민들을 끝없는 고통속에 몰아넣고 있었습니다. 그 땅의 원주인인 동물들을 세상 밖으로 몰아내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충격적일만큼 가슴이 아프고 슬퍼지는 현실을 바탕으로 만나는 아프리카의 환경과  그들에대한 오해와 편견들, 동물 , 역사, 자원 식민지와 해방의 이야기들은 특별한 이야기로서 의미깊게 다가올수 밖에 없었습니다. 인기다큐프로그램의 아류작이 아닌 아프리카가 현재 처한 모습을 리얼하게 들려주는 동시에 지식적인 부분또한 참 많은것들을 알게됩니다.  그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아무 생각없이 저지른 일상들이 얼마나 큰 잘못이었는지 현재 지구촌이 처한 환경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인지합니다. 한 줌의 물로 행복한 땅이되어버린 사하라사막도 원래는 그런곳이 아니었고 그렇게 넓은 지역이 아니었답니다. 우리의 땅도 그렇게 되는것이 아닐까 라는 위기의식속에 전통을 전통으로 준중해주는 배려 주어졌던 환경을 받은 그대로 지켜내는 의무감을 실천해보자 소리높이게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