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가벼운 깃털 하나 - 공지영 에세이
공지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들의 들판>이후 공지영 작가에게 빠져버렸다. 여간해선 헤어나기 힘들 정도로 강력하게 내뿜는 아우라에 휘둘려 그만 순치되어버린 듯하다. 물론 이전에도 <고등어>같은 작품에 매료되기는 했지만 <별들의 들판>부터는 풍기는 냄새가 완전 달라졌음을 확연하게 느낄 수 있었다 할까. 아프게 옛일을 곱씹으며 자신이든 타인의 가슴이든 뾰족하게 후벼 파는 방식이 아닌 살갑게 다가오는 보드랍고 진솔한 글에 선뜻 정감이 갔고 메시지도 공감되는 부분이 많아서 거의 전작을 읽게 되었다.

그러던 차에 작년 어느 땐가 한겨레신문에 에세이를 연재한다는 기사가 눈에 들어왔다. 하여 손꼽아 기다리다 게시물이 뜨면 잽싸게 읽곤 하였는데 몇 편은 사정상 못 읽고 빼먹은 것도 있어 못내 아쉬웠었다. 이번에 한 권의 책으로 묶여 나와 전편을 오롯이 읽을 수 있게 되어 얼마나 반가웠는지 모른다.

그런데 시리즈물을 연재하던 시기가 마침 촛불시위로 전국이 울렁거릴 때여서 작가는 가벼운 에세이 글로 마음결이나 누그러뜨리고 있어서 되겠나 하는 자격지심이 일었던 모양이다. 글 곳곳에서 이래서는 안 되는데 하는 자책과 조바심을 드러내곤 했던 것이다. 그러나 글을 읽을수록 내게는 공지영 작가의 그 가벼운 에세이가 현장의 어떤 선동적인 격문이나 진보 진영의 학술 논문보다 더 강력하고 정확하게 현실에 대해 발언하는 것으로 들렸다. 그것도 직설적으로 감정을 배설하는 방식이 아니라 정교한 문학적 장치와 심미적 문체가 아우러진 멋진 글로써 말이다.

이를테면 “패랭이꽃이 내게 가르쳐준 것”에서 어릴 적 유리구슬 아저씨에게 사기당한 경험을 토대로 완벽한 것은 가짜일 가능성이 크니 상대방의 결점이 보일 때 오히려 안심하고 다가갈 수 있다고 넌지시 말하는 식으로 말이다.

살아 있는 것과 살아 있지 않는 것의 차이 중 뚜렷한 것은 살아 있는 것들은 대개 쓸모없는 것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었다. 말하자면 그게 화분이라면 필요 없는 누런 이파리나, 그게 꽃이라면 시들거나 모양이 약간 이상한 꽃 이파리들을 달고 있다는 거다. 반대로 죽어 있는 것들은, 그러니까 모조품들은 완벽하게 싱싱하고, 완벽하게 꽃이라고 생각되는 모양들만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누군가 너는 무슨 재미로 살아? 하고 물으면, 응, 나는 인생의 비밀을 하나하나 깨닫는 재미로 살고 싶어, 라고 대답하곤 하던 내게 패랭이꽃은 많은 의미를 남겨주었다. 그리고 가끔 누군가를 비난하고 싶을 때, 아이들을 어떻게든 이해해야 할 때, 마지막으로 나 자신을 용서해야 할 때 나는 이 교훈을 떠올려본다. 그 사람도, 아이들도, 그리고 나도 살아 있기에 보기에도 싫고 쓸모없고 심지어 버리면 더 좋을 군더더기를 가졌다는 사실을 말이다. 완벽한 모양을 가지고 완벽한 초록으로 무장한 비닐 화분을 생각해보면 이런 지푸라기 같은 결점들을 그 사람이나 아이들이나 내가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오히려 큰 위안이 되기도 한다. 너무 아름다운 청사진은 그러므로 내게는 언제나 의심의 대상이 되었다. (98~99쪽)

그러면서 이 소중한 깨달음을 오늘날의 사회 상황과 관련된 메시지로 치환하여 작가의 심경을 듬뿍 담은 발언을 하고 있는 것이다.
 

난데없이 길을 가다가 “네가 너무 예쁘니 이 아름다운 것을 보여주겠다.” 는 그 어린 아저씨는 내 인생에 여전히 출몰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싸고 맛있고 안전하다, 라는 말인데 앞에서 본 바와 같이 대도시에서 자라나 일찍이 마음고생(?)을 많이 겪은 나로서는 비싸거나 맛없거나 안전하지 않은 한 가지를 포함하지 않은 것은 의심부터 하고 본다. 왜냐하면 싸고 맛있고 안전하다는 말을 믿다가 뭉개져 버리는 것은 나와 내 아이들일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뭉개져 버린 뒤에는 이미 너무 늦어버리기 때문이다.(99쪽)

이러니 누구든 그의 글을 따라 읽다 보면 자연스레 공감할 밖에. 그리고 사태의 진면목을 또렷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건 더 말할 필요도 없을 테고. 하여 독자들은 정부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정책에 대한 홍보가 얼마나 정직하지 못하게 본질을 호도하고 있는 것인지를 시민단체의 문건이나 경제학자의 논문보다 더 명료하게 알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작가가 에세이나 끼적거리며 현실의 아픔과는 절연한 채 안일하게 살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자격지심에 빠져 촛불 시위대에 대한 부채의식으로 머뭇거리지 말았으면 좋겠다. 오히려 작가의 글 때문에 머리로 가슴으로 동조하고 공감하게 된 이들이 얼마나 많아졌는데. 그걸 작가만 모르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기까지 하다. 쌈박한 글을 읽고 나면 머릿속 꼬였던 실타래가 하나 둘 정리되고 가슴속 맺힌 응어리도 후련하게 풀리는 것을 느끼게 된다. 공지영 작가의 <아주 가벼운 깃털 하나>도 그런 기분이 들게끔 즐겁고 의미심장한 독서 경험을 제공해 주었다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