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 속의 영화]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사유 속의 영화 - 영화 이론 선집 현대의 지성 136
이윤영 엮음.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유 속의 영화>라는 책 제목이 어렵게 느껴졌다. 1장은 영화의 원리와 표의문자로 시작한다. 이 시작에 그림도 있었지만,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는 내용이 이 책의 시작을  주저하게 만들었다. 멍하니 음 이런 내용이구나 싶은 정도였다. 2장의 영화와 현실에서는 영화와 현실에 관련된 이야기가 나온다. 우리가 사물을 볼때의 시각과 렌즈를 통해서 바라본 것은 다르다. 렌즈를 통한 사물은 자칫 잘못하면 3차원적인 느낌이 아니라 평면적인 느낌을 갖게 되버린다. 자연스럽게 눈을 통해서 바라볼때는 그런 생각을 하지 못했지만, 렌즈를 통한 모습은 자칫 왜곡되어져 버리곤 한다. 아무 생각없어 보이는 영화도 있지만, 그 외의 수많은 영화의 탄생은 많은 이들의 노력의 산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내 눈이 아닌 렌즈를 통해 보여지는 세상은 어떤 느낌인지 그 매력에 빠지는 순간, 헤어나올 수 없게 되는 것 같다.

초기의 유성영화는 매우 끔찍했다고 한다. 현재는 무성영화에 대해서 잊혀져 가고 있고 사람들도 접할 기회도 거의 없다. '톰과 제리'처럼 상황에 맞는 음악과 행동만으로도 우리는 별다른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찰리 채플린의 표정과 행동 역시 많은 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유성영화가 무성영화 시절의 다양하고 풍부한 표현력을 죽이진 않았는가 하는 아쉬움도 든다. 때론 말이 필요없을지라도 쉼없이 지껄이는 것은 매우 피곤한 일이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의 삶 속에서 영화는 다른 형태의 예술들이 될 수 없었던 바로 그것, 즉 '장식'이 아니고 '필요'이기 때문이다. (100쪽) 영화는 이제 생활에서 빠질 수 없게 되어버렸다. 회식을 하고 나면 꼭 노래방을 가듯이 자연스레 영화는 필수코스가 되었다.

영화의 표현가능성이 생겨난, 그리고 영화가 예술로 태어나게 된 것은 [장면을] 샷으로 분할하는 것, 다시 말해서 촬영감독과 영화감독이 장면 자체에 대해 독립성을 획득하게 된 이후부터였다. (150쪽) 예술은 제한성을 갖기도 하지만, 예술로써 영화는 그런 것으로부터 자유롭다. 그것 역시 영화의 큰 매력이지 않을까 싶다. 다른 한편, 영화는 언어다.(195쪽) 메시지를 강렬하게 전달한다. 시각적인 영상들이 뇌리에 박혀 있다. 그것은 쉽사리 잊혀지지 않는다. 영화가 주는 감동은 (영화 중에서 지루하게 이야기를 이끌고 가지 않으면서도 감동까지 주면서 흥행에도 성공하고 예술영화로도 대박난 영화)사람의 마음을 움직인다. 따라서 영화를 찍는다는 것은 어떤 것을 보여줌과 동시에 바로 이 동일한 활동을 통해 어떤 것을 어떤 관점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363쪽) 평상시에는 영화에 대해서 별 생각없이 보러 가곤 했었다. 그다지 영화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 보지도 않았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영화를 다른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었다. 상업영화는 정직하게 돈을 벌기 위해서 만들어 진다는 점에서 뚜렷한 목적이 있어서 나쁘다고만 말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무언가를 보여주고 그것을 표현하고 이야기로 만들어지기 까지의 과정이 보여지지 않으므로 결과물인 영화만 툭 떨어지는 점이 아쉽게 느껴진다. 첫장의 빼고는 나머지 내용은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