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복으로 리셋하라 - 1일 1식 저자 나구모 박사의 몸과 마음 최적화 전략
나구모 요시노리 지음, 황소연 옮김 / 북폴리오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는 방법

나구모식 '내 몸 리셋 방법'

* 하루 한 끼에 집착하지 마라, 꼬르륵 소리가 날때 먹어라. 

* 탄수화물 연소회로가 아닌, 지방 연소회로를 쓰는 습관을 기른다.

* 덜 씻는 게 낫다! 청결 맹신이 면역의 배신을 불러일으킨다.

* 일상에서 즐기는 마약식품 및 독성물질에 유의하라.

* 심부 체온을 올리려면, 몸이 차가워야 한다.

* 나구모식 호흡법으로 알레르기를 예방하고, 심신을 편안하게 하라.

* 렘수면으로 뇌와 마음의 균형을 되찾는다.

* 따로 운동할 필요 없다! 나구모식 논엑서사이즈.

* 뇌의 명령과 지배에서 일탈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 질병, 기호 등을 통해 내 몸의 신호를 읽는다.


  바야흐로 웰빙(well-being)의 시대이다. 평균 수명이 증가한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단순히 현재를 즐기는 수준이 아니라,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원하게 되었다. 돈을 아무리 많이 벌어 물질적 쾌락만을 추구하기 보다는 건강을 해치면서 까지는 안된다는 식의 의식이 보편화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 노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해야 웰빙의 삶을 영유 할 수 있을까? 밥을 거르지 않고, 끼니를 챙겨 먹으며, 적당한 운동이 필요하다. 또한 질병에 걸리기 쉬운 환경을 만들면 안되니, 매일 깨끗하게 씻고, 향균을 넘어서 멸균의 삶을 살아야 질병에 쉽게 노출되지 않는다. 이정도가 우리가 보편적으로 알고 있는 건강한 삶을 사는 방법이다. 

  하지만 일본의 의학박사 나구모 요시노리는 이러한 우리의 상식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지적한다. <1일 1식>으로 식사 혁명을 일으킨 나구모 요시노리 박사. 그는 <공복으로 리셋하라>에서 헛배고픔, 끼니 강박, 스트레스성 폭식 때문에 늘 만복 상태에 있는 사람들에게 공복을 통해 몸과 마음을 리셋하고 매일을 최상의 컨디션으로 사는 원리와 실천법을 의학적으로 설명한다. 공복 노하우 및 자신의 상황에 맞게 공복을 실천하는 방법을 통해 절식의 스트레스와 부담을 덜어준다. 또한 덜 먹기, 덜 따뜻하게 지내기, 덜 씻기, 덜 생각하기 등 일상에서 불필요한 것을 덜어내는 '나구모식 건강법'을 소개하며, 독자들의 건강, 아름다움, 장수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도록 도와준다.

  

  1일 1식의 진정한 목적은 '매일매일 최고의 컨디션으로 일하는 것'이다

  인생에서 아무런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면 그것은 아무런 목적 없이 살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을 위해 태어났고,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없는 사람은 눈앞의 쾌락이나 일상에서의 탈출에만 시선을 고정한다. 하지만 인생의 목적이 변함없는 일상에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 오늘 하루를 의미 없이 흘려보내지 않을 것이다. 일을 대충 하지도 않고, 가족을 홀대하지도 않는다. _ 59쪽.

  왜 공복이 최고의 컨디션에 도움이 되는 것일까? 배가 불러야 힘이 난다는 옛말은 잘못된 것일까? 물론 밥을 먹어야 먹은 것을 토대로 에너지를 만들어내고 힘을 내는데 도움이 된다. 다만, 저자의 주장은 우리가 너무 '많이' 먹고 있다는 것을 지적한다. 과거 먹을 것이 부족했을때는 먹을 수 있을때 최대한 많이 먹어서 그것을 지방으로 축적시켜 놓는 방법을 취해야 했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오늘날은 먹을 것이 많이 부족한 현실은 아니다. 돈만 있다면 어디서든 먹을 것을 구매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만복의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배고플 때 먹어서 에너지를 보충하면 된다고 말한다. 그게 지방을 만들지 않아서 몸매에 관심이 많은 오늘날 더 좋다고 이야기하면서. 

  그럼 공복이 왜 최고의 컨디션에 도움이 되는 것일까? 인간에 대한 고전적인 정의를 살펴보면, 인간은 '사회적 동물, 혹은 이성적 사유를 하는 동물'이라고 정의된다. 사회적이고 이성적이라는 말은 특징이다. 공통점은 '동물'이라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인간은 동물적 본성을 갖고 있다는 소리이다. 그것을 이성으로 억제하고 있는 것일뿐. 그렇다면 몸의 기본체계는 동물과 같다. 배고프면 먹을 것을 갈구하는 본성 역시 똑같다. 동물은 배부를 때는 사냥을 하지 않는다. 그들이 배고플 때만 사냥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만복의 상태에서는 나른해지고, 공복의 상태에서는 사냥을 하기 위해서 온 몸의 신경을 극도로 끌어올린다. 이런 사실에 근거해 유비적 추리를 통해 인간 역시 동물이기 때문에 공복의 상태에서 먹을 것을 먹기 위해 최상의 컨디션을 만든다는 것이다. 즉, 배고픈 상태야 말로 최상의 컨디션을 만드는 최적의 조건이라는 것이다. 

    말할 필요도 없이, 영양을 공급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만복 상태만 끊임없이 이어진다면 몸에 무리가 가게 마련이다. 만복과 공복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룰 때 건강이 찾아온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_ 78쪽.


  배가 고프면 우리 몸에선 어떤일이 일어나는가?

  지구상의 생물은 굶주림에 맞서 치열하게 투쟁해 왔다. 그런데 공복이 아닌 만복 상태에서는 굳이 뜨거운 생명력이 표출될 필요가 없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에너지의 씨앗이 움츠러들게 마련이다. 요컨대 공복 상태일 때 비로소 생명력이 솟구치게 되는 것이다.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날 때 뇌에서는 젊음을 불러오는 호르몬인 성장 호르몬이 분비되어 지방을 연소시키고 피부와 점막을 젊게 만들어 준다.

  두 번째 꼬르륵 신호가 왔을 때는 노화 방지 유전자인 시르투인(sirtuin) 유전자가 발현해서 몸 안의 손상된 유전자를 복구시켜 준다.

  세 번째 꼬르륵 소리가 들릴 때는 지방 세포에서 아디포넥틴(adiponectin)이라는 장수 유전자가 분비되어 혈관을 맑고 깨끗하게 정화시켜 준다.

_ 58쪽.


  "왜 사는가?"라는 질문 끝에 찾은 해답

  우리는 왜 살아가는 것일까? 인생의 목적은 무엇인가? 살아지기 때문에 살아가는 것인가? 그렇다면 동물과 다를바 무엇인가? 인간은 왜 살아가는가? 라는 질문에 보편적인 대답은 '행복'이라는 키워드와 연관이 있을 것이다. 과거와는 다르게 오늘날은 평균 수명이 70세를 넘어 80세에 다다른다. 과학기술이 발전한다면 평균 수명 100세도 멀지 않았다. 다시 말하면 100년을 평균적으로 살아간다는 소리이다. 그렇다면 100년동안 이 세계에 머물면서 우리가 하는 것은 무엇일까? 단순히 먹고, 자는 것이 전부는 아닐 것이다. 행복한 삶을 영위하려는 것이 목적이 될 것이다. 조금 더 행복하게 먹고, 조금 더 행복하게 자는 것. 그것이 인간 목적이 아닐까.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전제조건 하나가 필요하다. 바로 '건강'이다. 건강하지 않은 몸으로 오래 산다는 것은 아무래도 완전한 행복을 꿈꾸기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웰빙의 삶이 각광을 받는 것이고, 건강한 삶에 집착하기 시작한 것이다. 바로 여기에 저자가 말하는 '공복'의 실천 이유가 담겨 있다. 건강한 삶을 위해 공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몸에 지방 축적을 과다하게 하는 바람에 과체중으로 인한 온갖 질병이 따라다닌다. 하지만 엄청 바쁜 삶을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따로 운동의 시간은 주어지지 않는 것이 평균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복 등과 같은 방법으로 몸이 지방을 연소하는 방법을 권한다. 

  행복해 지고 싶은가?  그렇다면 건강해야 한다. 건강해지고 싶은가? 그렇다면 공복을 실천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