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와 늑대 - 괴짜 철학자와 우아한 늑대의 11년 동거 일기
마크 롤랜즈 지음, 강수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네 안의 늑대는 무사하니?


이 책은 언젠가 고전의 반열에 오를 것이다. - <타임즈 리터러리 서플러먼트>

인간 자신에 대한 시각을 재평가하게 만드는 역사적 철학서로 기록될 것이다. - 철학자 존 그레이


  동물의 본성을 간직한 채 인간세계로 흘러들어온 늑대 브레닌. 괴짜 철학자로써 세상의 본질을 탐구하려는 마음을 가진 마크 롤랜즈. 그들의 11년간의 동거이야기가 눈앞에 펼쳐진다. 바늘과 실처럼, 혹은 왼발과 오른발의 발맞춤처럼 그들은 11년을 함께 했다.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실존하는 인간 그 자체와 불편한 진실인 인간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풀어낸다. 늑대에 관한 이야기이자, 철학자가 인간 본성을 탐구하는 이야기. 인간과 동물의 조화를 통해 대중철학서로써의 위치를 자리매김한다.

 


  독신 철학자, 늑대의 본성에 빠지다. 

  애착, 공감, 사랑은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며 영장류에게만 있는 것도 아니다. 이것은 모든 사회적 포유류에게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이다. - 『철학자와 늑대』98쪽.


  대학에서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보다 나이가 어린 27살의 철없는 철학 교수. 늑대 브레닌을 만나기 전의 그의 모습이다. 매일 술 마시며, 화려한 솔로로써의 모습을 유감없이 보여주던 철학자. 무엇인가 회의감을 느낄 때, “96% 새끼 늑대 판매!”라는 문구를 발견한다. 가벼운 발걸음으로 구경간 철학자 마크 롤랜즈는 이성을 잃음과 동시에 무거운 발걸음이 되어 돌아온다. 늑대 한 마리를 대동한채 집으로 돌아온다.

  이 선택이 철없던 괴짜 철학자의 인생을 송두리째 흔들어버렸다. 그의 인생관을 바꿈과 동시에 세계관을 흔들어놓은 선택이었다. 브레닌을 혼자두면 집을 쑥대밭으로 만들어버리는 습성 때문에 롤랜즈는 브레닌을 항상 데리고 다녀야 했다. 바늘과 실처럼, 혹은 왼발과 오른발처럼. 줄도 묶지 않고, 브레닌을 앞서가게 하지도 않고 뒤처지게 하지도 않고, 나란히 걸었다. 그렇게 브레닌은 철학자의 반려동물로써, 아니 가족과 같은 형제로써의 모습을 갖춰간다. 

  프리드리히 니체가 한때 말한 것처럼 자신을 통제하지 못하는 사람은 대신 통제해 줄 누군가를 빨리 찾아야 한다는 것은 엄연한 진실이다. - 『철학자와 늑대』 59쪽.



  인간의 위선을 바라보는 늑대

  만약 우리가 인간을 한 문장으로 정의한다면 인간은 스스로 악의 가능성을 조작하는 동물일 것이다. 


  대표적인 인간의 위선은 무엇일까? 인간 목적은 흔히 ‘행복 추구’라고 말한다. 우리는 많은 언론매체와 도서들을 통해서 행복해지는 ‘방법’은 알 고 있다. 하지만 ‘행복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당당하게 ‘Yes'라고 대답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고 있을까? 이러한 현상을 마크 롤랜즈는 감각에 의존하여 만족스런 감정 상태를 행복하다고 착각하는 게 인간이라는 데 착안하여, 인간을 ‘행복중독자’라고 지칭한다. “요컨대 인류의 가장 명확하고 단순한 특징은 감정을 숭배하는 동물이라는 사실일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감정 상태에 따라 행복의 유무를 결정하기 때문에 감정이 사라지면 ‘행복하지 않다’라고 착각한다는 것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어떤 감정을 좇고 있지 않은가? 늑대는 감정을 좇기보다는 토끼를 쫓으며 우리에게 냉소를 날린다.

  브레닌은 토끼를 쫓는 일을 즐겨한다. 토기의 움직임을 따라 15분까지 숨죽인 채 기다리는 모습. 몸을 경직시켜 다음 순간을 위해 참고 견디는 일. 그것은 분명 유쾌한 일은 아닐 것이다. 동물이 먹이 앞에서 가만히 기다리는 것은 본능을 역행하는 일이므로. 그렇다고 브레닌은 그런 기다림을 통해서도 토끼를 잘 잡는 늑대도 아니다. 하지만 사냥이 실패로 끝나도 브레닌은 행복해한다. 사냥에 성공해야만 행복한 것이 아니라, 사냥을 하는 과정이 행복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마크 롤랜즈는 이러한 현상으로부터 즐거움과 불편함이 하나 될 때 비로소 행복이 완성된다는 철학을 발견하게 된다. 


 

  우리 안의 늑대를 깨워라 

  늑대와 사람의 공통점이 무엇인지 생각하면 쉽게 떠오르는 대답이 있다. 바로 ‘동물’이라는 점이다. 그렇다면 동물의 특징을 늑대와 사람 둘 다 가지고 있다는 말이 된다. 그렇다면 동물의 특징은 무엇인가. 바로 ‘본능’이라는 점이다. 이 책은 늑대를 판타지 속에 구겨 넣었던 우리들, 늑대를 야만과 절대 악의 상징(남자는 늑대?)속에 가두었던 우리도 한때는 늑대였다고 말한다. 야만도 사악함도 아닌 본능을 가진 그 자체로서의 늑대 말이다.

  이 부분을 주제로 다룬 것이 영화 <늑대소년>이다. 송중기가 연기하는 늑대 인간 철수는 늑대 본성의 발현이라고 볼 수 있다.

 

  어떤 인간도 날 때부터 감정을 좇아다니지는 않는다. 감정에 노예가 된 것은 길들여졌기 때문이다. 저자는 바로 세상에 길들여져 가려져 있는 우리의 참 모습을, 삶의 참 모습을 잃어버린 사람들의 내면에 있는 늑대와 같은 본성을 깨우라고 주문한다. 우리 안에는 모두 늑대와 같은 본성을 갖고 있다는 말로써 설득하면서. 즉, 우리 내면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늑대 찾기 모험을 떠나라는 이야기다. 내 안의 멸종 위기에 처해있는 늑대를 찾아 보호하러 떠나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