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금서
김진명 지음 / 새움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대한민국의 韓은 어디서 유래하는 것인가?

 

  우리나라의 역사는 고조선이라는 신화에서 비롯해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가 기반이라고 지금껏 배워왔다. 여러 변방의 나라들이 있었고, 통일 신라를 거쳐 고려, 조선, 그리고 지금의 대한민국. 이렇게 우리의 역사를 배워왔다. 그렇다면 한반도는 기원전에는 아무도 살지 않는 미지의 세계였는가? 백두산 호랑이가 뛰어노는 그런 자연상태였는가? 하는 의문이 남는다. 물론 기록이 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으로 치부하기엔 뭔가 부족하다.

 

  『천년의 금서』는 픽션과 팩트를 절묘하게 오고가고 있다.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어디까지가 픽션인지 구분하기가 힘들다. 어찌보면 이 책에 대한 몰입도는 픽션과 팩트의 경계에서 무엇이 픽션이고 무엇이 팩트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더 몰입도가 상승했는지도 모른다. 단순한 추리소설이 아니다. 이것이 픽션이 아니라고 믿고 싶은 애국심이 소설에 대한 감탄사를 나오게 한다.

 

  주인공인 정서는 이러한 우리 자신을 투과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진실을 파헤치고 싶은 마음. 과연 고조선 이전에 문명적으로 발달한 韓이라는 나라가 존재했으며, 중국의 초기국가인 주나라가 그것을 경배했다는. 그것이 사실이기를 바라면서 나는 주인공 정서에게 감정을 이입했을지도 모른다. 진실의 키를 가지고 있는 은원이 갑작스럽게 영웅으로 등장하기는 하지만(논리적으로 너무 급전개되었다.) 그래도 은원의 논리는 정확하다.

 

  처음의 시작은 밀실살인이라는 추리소설의 형태를 띄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책이 말하고 싶은 본질은 다르다는 것이 느껴진다. 우리나라 역사를 알고 싶은 주제가 여실히 들어난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동북공정에 대해서 작가는 과감하게 거짓이라고 판명지어준다. 통쾌하다. 그것이 사실이건 아니건, 중국의 허무맹랑한 논리를 소설속에서나마 깨뜨리고 있다. 다른 나라사람이 이 책을 보면 어떨지 모르지만, 한국사람이 보기엔 너무나 좋은 구실인 것이다.

 

  결과적으로 책은 비판적인 시각이 필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지금껏 우리가 사실이라고 믿고 있는 사실에 대해 물음표를 던져보라고 충고한다. 고조선이라는 역사에 대해 일본의 잔망스러운 짓으로 인해 신화화되어 거짓이 되어버리고, 삼국시대 이전에 역사는 없다는 중국의 말을 듣지말고. 사실이라고, 상식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과감하게 물음표를 던져보라고 권유한다. 어찌보면 그것이 앎의 길이므로.

 

  한가지 더. 역사를 공부함에 있어서 역사책만 들여다보면 답이 안나온다는 것이다. 역사에 관한 기록을 역사서에서만 찾을 것이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충분히 그 증거가 들어난 다는 점을 통해서 시야의 확보를 이야기 한다. 나라의 역사를 찾아가는 과정에 해답은 공자가 즐겨읽었다는 시경이다. 어찌보면 한 우물만을 바라보고 파내려가는 오늘날의 행태에 작가는 비판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재미있다. 유익하다. 그렇게 결론지을 수 있는 책이다. 단순히 재미만을 위한 소설이 아니라 마음에 꽁기꽁기한 것을 남게 해주는 책이다. 읽어보면 동북공정에 관해 인터넷에 검색하고 싶어질지도 모른다. 무엇가는 남길 수 있는 그런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