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의 해석
제드 러벤펠드 지음, 박현주 옮김 / 비채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추리소설과 역사적 사실의 경계에서 모든 사건은 풀려간다.

 

  심리학의 대가 프로이트와 융의 사상을 기반으로 해서 살인사건을 풀어나가다니! 셜록홈즈와 코난 도일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들의 능력이 탁월했다고 한다면, 살인의 해석은 역사적으로 실존인물인 프로이트와 융을 데려와 이야기를 풀어냈다. 사건의 내막엔 무엇이 잠재되어 있는지, 심리학이란 관점에 의해서.

 

  뉴욕이 배경이다. 1900년도 당시의 뉴욕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작가의 말에서 모두가 사실이 아님을 밝히긴 했다.) 어쩌면 책을 통해서 당시의 뉴욕의 거리를 상상할 수 있도록 작가는 묘사했다. 법의학이라는 직업적 특성일지도 모르지만, 상당히 자세한 묘사이다. 지식이 있는 상태에서 본다면 더욱 생생하게 사건현장을 머리속으로 상상할 수 있으리라.

 

  기본적인 틀은 여느 추리소설을 따라간다. 사건이 발생하고, 그것을 해결해 나가면서 벌어지는 에피소드들. 하나씩 실마리를 찾아가면서 나오는 반전들. 그리고 사건의 해결. 여기서 베스트 셀러가 되냐 안되냐의 차이는 사건이 얼마나 논리적으로 치밀한지, 사건의 개연성이 얼마나 있는지가 관건이 된다. 그런점에서 보면 살인의 해석은 논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사건의 해결점에서 심리분석의 Fact인 프로이트의 이론을 끌어들여 범인을 해석한다.

 

  사실 소설속에는 여러가지 논리들이 작용을 한다. 햄릿, 세익스피어, 정신분석학, 프로이트. 추리소설의 구성과 사건의 흐름만 볼 수 있는 책이 아니다. 여러가지 심리학적인 사상이나, 햄릿을 분석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부분도 등장한다. 여느 추리소설보다 정점에 위치할 수 있는건 픽션과 팩트의 경계에서 팩션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일반적 추리소설에 흥미를 잃었다면 읽어봄직하다.

 

  *p.s - 책의 끝부분에 저자의 해설과 옮긴이의 말. 서평이 함께 담겨있다. 사실 그 부분만 봐도 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속에 숨겨진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많이 된다. 그것을 읽음으로써 리뷰를 쓰는데 도움이 되기는 커녕, 오히려 무뎌진 감각이 되긴 했지만. 그래도 뒷 부분은 많은 도움이 된다.(나중에 내가 이글을 봤을 때 지금의 리뷰는 사라지고, 좀 더 괜찮은 리뷰로 올리기 위해서 이렇게 글을 남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