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비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조이스 캐롤 오츠 지음, 공경희 옮김 / 포레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미문학중 가장 와 닿는 공포소설. "누가 네 주인이야? 누가 네 주인이냐고?"


  우리는 살아가면서 수만가지 일을 접하고 실제로 경험한다. 도덕책에 소개되는 윤리적인 이야기들도 있고, 도덕책에서 금기시하는 비윤리적인 일들도 있다. 사실 문화마다 도덕의 가치에 관해서는 여러가지 의견이 분분하다. 그렇기 때문에 마이클 샌델같은 교수들이 정의에 관한 책이나, 도덕에 관한 책들이 잘 팔리는 이유다. 나라마다 고유의 문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문화가 추구하는 도덕적 가치들도 다르기 마련이다. 하지만 여러가지 도덕적 가치중에, 인간이라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도덕가치가 있지 않을까? 칸트는 '선의지'라고 정의하기도 하였다. 


  아마도 최상위의 공통 도덕규범중의 하나는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말것"일 것이다. 살인이 그 영역에 속할 것이다. 어느나라, 어느 문화에서도 타인을 살해하는 것에 대해서는 용서를 구하기는 힘들 것이다. 그렇게 우리는 살인이라는 개념에서 항상 3자의 역할이었던 것 같다. 살인을 한 사람이 되기는 힘들것이고, 살인을 당한다면 지금 이 글을 읽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살인이라는 개념에는 항상 3자적인 입장을 취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매년 노벨상 후보라는 조이스 캐럴 오츠의 책 『좀비』는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라는 부제를 통해 살인자의 경험을, 살인자의 입장을 바라볼 수 있는 책을 써냈다. 이 책을 읽노라면 살인자의 기분을 조금은 느낄 수 있다. 


  단순한 살인자의 이야기는 아니다. 한때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사이코패스의 이야기이다. 살인에 대한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부류. 그래서 공포스럽다. 인간의 내면을 여과없이 나타낸다. 죽이고 싶으면 양심의 거부를 느끼지 못하고 실행한다. 서슴없고, 계획적이고, 본능적이다. 자신의 펫(여기서는 좀비로 불린다)을 만들기 위해, 사람들에게 전두엽제거 수술을 시행한다. 수술이 실패하면 사람은 죽는다. 하지만 신경쓰지 않는다. 다른 사람을 구하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얼마나 이기적인가.


  영미문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중산층 미국 백인이 억압받는 현실속에서 나름의 자기 본능 표현이라고들 한다. 인간의 본질을 말해주는 소설. 사이코패스처럼 정신병을 앓는 사람이 오히려 사람 본성에 더 가깝기 때문에 그런것을 잘 들여다 볼 수 있는 그런 소설. 


  정상적인 이성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상태가 문제라는 것을 안다. 여느 자기 계발서처럼 이런것 좋다, 이런것이 좋다. 라고 말하기 보다는 안좋은 사례 하나를 던져줌으로써 독자 스스로 생각하게 만드는 더욱 효과적인 책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이 바로 그렇다. 살인자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본능을 여과없이 드러내는 것이 왜 문제인가를 깨닫게 한다. 


  결과적으로 아무런 배경지식이 없이 읽기엔 무슨 소리인가 싶다. 영미문학적인 배경지식이 있으면 상당히 더 재미있을 것이다. 당시 미국인들의 삶이나, 책의 배경같은 것을 어느정도 파악하고 책을 펼치는게 책을 읽었을 때 한개를 얻을 것을 열개를 얻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