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의 카프카 -하 (양장본)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춘미 옮김 / 문학사상사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리뷰라는 것은 무엇일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기 나름의 주장을 펼치는 것, 그리고 책에 대한 기억을 자신만의 언어로 재바꿈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작가의 생각을 같이 공유해보고, 그것에 대하여 같이 생각해보고 그런 것이 리뷰라고 생각한다. 유명한 작가나 유명한 고전일수록 책에서 나타나는 작가의 철학관이 뚜렷하다. 그것을 글의 흐름속에서 찾아내서 생각해보고, 그것이 갖는 허와 실을 생각한다. 그런데 이 '무라카미 하루키'라는 작가가 쓴 책은 리뷰쓰기가 너무 힘들다.

 

  분명히 유명한 작가이다. 삶에 대한 의미를 다시한번 생각하게 한다, 정신적 성숙을 경험한다, 삶의 가치에 대해 설명해준다. 등의 호화로운 문구들이 그를 포장한다. 더욱이 문학에 대해 전문가들이 앞다투어 그를 칭찬한다. 하지만 왜 나는 '무라카미 하루키'라는 작가의 책에 대해서는 리뷰가 힘이 들다고 느끼는 것일까?

 

  여러가지 이유를 생각해 보았다. 첫 번째로 작가가 뚜렷한 길을 제시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른 철학책이나 문학소설에는 작가가 독자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끈다. 주인공이 선(善)의 역할이라는 점 등으로 작가의 주장이 뚜렷해지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하루키는 주인공이 착한지 나쁜지 구분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해변의 카프카』의 경우에도 주인공 카프카군은 15세의 나이에 중학교를 나가지 않고, 가출을 하며, 아버지의 돈을 훔쳐서 여행길에 오른다. 상황만 놓고보면 악(惡)한 인간상이다. 하지만 이야기 속에서 카프카군을 나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이 몇명이나 될까? 이처럼 독자로 하여금 선택지의 폭이 더 넓은 것이 하루키의 특징인 것이다.

 

  두 번째는 공감하는 부분이 너무 많다. 하루키의 소설들은 절대적으로 한가지 주제에 관해 몰입되지 않는다. 물론 큰 주제는 있다. 인간에 삶의 의미? 정도. 주인공이 풀어가는 이야기 속에서 다양한 주제들이 나온다. 사람과 사람사이의 인간관계, 사랑관, 삶의 의미, 사회생활에 대한 의미 등. 『해변의 카프카』에서도 이러한 부분은 여실히 들어난다. 몇 문장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누구나 사랑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결여된 일부를 찾고 있기 때문이지. 그렇기 때문에 사랑하는 사람

     을 생각하면, 다소의 차이는 있을망정 언제나 애절한 마음이 되는 거야. 아주 먼 옛날에 잃어버린 그

     리운 방에 발을 들여놓은 것 같은 기분이 되는 거지. 당연한 일이야. 그런 기분은 네가 발명한 게 아니

     야. 그러니까 특허 신청 같은 것은 하지 않는 게 좋을 거야."  -  『해변의 카프카(하)』123쪽.

 

    "이 세상의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유 같으 건 원하지 않아. 원하고 있다고 믿을 뿐이지. 모든 것은

     환상이야. 만약 정말로 자유가 주어진다면, 사람들은 대부분 무척 난감해할걸. 잘 기억해 두라구. 사

     람들은 실제로는 부자유를 좋아한다는 것을 말이야."  -  『해변의 카프카(하)』154쪽.

 

  이처럼 추상적인 큰 주제에 대해 세밀한 주제들이 도처에 깔려있다. 그렇기 때문에 하루키 책에 대해 리뷰가 힘들지 않을까 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리뷰가 힘들다고 해서 이 책이 보잘것 없는 책은 절대 아니다. 세상살이에 대해 여러가지 의미들을 다시한번 곱씹을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책인 것 같다.

 

  플라톤의 『국가』를 포함하여 여러가지 철학전공서들은 읽을 때 마다 의미가 다르다. 그 이유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철학책을 읽을 때 마다 그것을 이해하는 영역의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20살에 읽는 『논어』와 40살에 읽는 『논어』가 다른 것 처럼. 여기 철학전공서를 제외한 또 다른 책이 볼때마다 의미가 다르게 다가오는 책이 또 하나 있다. 『해변의 카프카』가 그러한 책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